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1

        4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발효노니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의 면역활성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 에서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 6종을 처리하여 XTT 세포독성평가, Nitric Oxide 생성 측정, Cyokine 생성 측 정, immune marker genes 발현분석 수행하였다. 뿐만 아 니라 양성대조군으로 LPS와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 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처리 농 도 및 처리군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지표성 분 6종 중 SCP 및 ASE에서 NO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 였다. 뿐만 아니라 ASE 처리군에서는 IL-6 및 IL-1β의 생 성이 증가되었으며, iNOS 및 TNF-α의 immune marker genes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발효노니 추출물 효능 평가에서는 발효시 NO 생성 및 IL-6, IL-1β의 생성, COX2 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는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의 선천면역 활성증가를 타나내며 노니 및 발효노니 표준화 연구에서 지표성분으 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발효노니는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제품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 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 분은 유용성분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교제인 붕산과 아크릴 수지 바인더에 삼인산(3 인산), 피트산(6 인산) 또는 폴 리인산암모늄(10 인산)을 혼합하여 인계 난연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인계 난연 코팅액을 부직포에 각각 코팅하여 높은 난연 효과를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난연성 부직포를 연기밀도기준시험(ASTM E662), 산소한계지수기준시험(ISO E622), 수직연소기준시험(UL 94)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들의 난연 효과는 phosphate 그룹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천연 또는 합성 바인더 수지에 관계없이 그 효과는 ammonium polyphosphate > phytic acid > triphosphate의 순서로 나타났다. 천연 탄화수소 화합물도 바인더 수지의 난연성을 결정하기 위해 조사되었다. 그 결과 천연 탄화수소 바인 더 수지가 난연성 부직포 제조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4,000원
        4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수에 유출된 유류는 대기와 해수와의 접촉을 통해 다양한 풍화 과정(증발, 확산, 분산, 유화, 용해, 산화, 침전 및 생물분 해 등)을 통해 물리·화학적 변화와 함께 생물학적 분해과정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풍화작용 중 가장 즉각적이고 빠르며 오염물질의 질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알려진 증발(evaporation)에 대한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휘발유, 등유, 경유 를 대상으로 25 ℃(해수 연평균 온도)와 35℃(적도 부근 온도) 조건에서 유류의 휘발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일정 기간마다 채취 한 유류를 전처리하여 GC/MS 분석을 수행하고, 탄화수소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4,000원
        4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odor is referred to or described as an unpleasant smell that creates a disagreeable atmosphere and may impinge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Most of the odors that stimulate the human sense of smell and engender feelings of discomfort and disgust are odors mixed with various chemicals substances. Among designated odor substances,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so-valeraldehyde may cause an irritating and sour sensation and give rise to headache, dizziness, vomiting, and unconsciousness. These aldehyde substances are mainly discharged in high concentrations from food chemicals, petrochemicals, and printing industry sources. The odor control technologies applied to prevent odors from aldehydes are absorption, adsorption, as well as biological methods and combustion methods. The threshold concentrations of aldehydes are low so that odors can be easily experienced even at very low concentrations. It is not easy to control aldehydes due to their particula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ecause aging and poor management of the odor prevention technology is usually only available. In this study, trends with regard to research effort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is effective in treating aldehydes were summarized.
        4,500원
        4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ysanthemum boreal, C. indicum, and C. indicum var. albescens are well-known wild Chrysanthemum species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In this study, volatile compounds from three wild Chrysanthemum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four different flowering stages and analyzed using HS-SPME-GC-MS to determine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volatiles. As a result, 132, 151, and 142 peaks were identified from C. boreale, C. indicum, and C. indicum var. albescens, respectively. Furthermore, 70 out of 132 peaks were identified in C. boreale with a matching ratio of >90% from library search. In addition, 85/151 and 76/142 peaks were identified from C. indicum and C. indicum var. albescens. Forty-nine volatile compounds were found commonly in all three wild Chrysanthemums through all four different flowering stages. However, six, seven, and five unique compounds were detected only in C. boreale, C. indicum, and C. indicum var. albescens, respectively. One hundred volatile compounds were selected for multivariate analysis considering volatile compounds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one-way ANOVA (p < 0.05) det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77 out of 100 volatile compounds. In addition, PLS-DA showed the different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flowering stages in each wild Chrysanthemum. PC1 of each Chrysanthemum accounted for 45.8 56.9, and 11.9% in C. boreale, C. indicum, and C. indicum var. albescens, respectively. PC1 of C. boreale and C. indicum clearly separated the BF stage and the other three stages. Conversely, PC1 of C . indicum var. albescens showed a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unds between the BF/BO and HO/FO stages. In addition, the different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could be visualized using a heatmap from three wild Chrysanthemum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flowering stages.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particular volatile compounds in three wild Chrysanthemum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4,000원
        4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plants are various organic compounds with small molecular weight and high vapor pressure. The metabolomics approach was recently introduced to analyze VOCs involved in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abiotic and biotic stresses,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nd genotypic differences. In addition, this approach is widely used in combination with identification of VOCs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etc. First, in this review,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metabolomics approach to analyze VOCs synthesized in plants using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S-SPME-GC-MS) is discussed. In addition, metabolomics approach, such as extraction and analysis of VOCs using HS-SPME-GC-MS, conversion, and processing of mass spectral (MS) data, a database for VOCs identification, useful statistical methods, and statistical tools and applications, are explained. Finally, multi-omics in combination with other omics techniques, such as genomics, transcriptomics, etc. are suggested as prospects of a metabolomics approach for VOC analysis in floricultural plants using HS-SPMEGC- MS. Therefore, the metabolomics approach of HS-SPMEGC- MS will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of VOCs synthesized in plants. Furthermore, the multi-omics approach will help understand gene function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VOCs and help develop new development cultivars with nicer floral scents 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floricultural industry.
        4,000원
        4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자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추출방법에 따른 무 추출물들의 향미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의 신맛은 무 흰색 부위의 열수 추출물이 6.9의 센서 값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다. 신맛은 8.0의 센서 값을 나타내어 무 초록색 부위의 콜드 브루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감칠맛은 무 흰색 부위의 열수 추출물이 8.3의 센서 값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다. 단맛은 무 초록색 부위의 콜드 브루 추출물이 6.8 의 센서 값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쓴맛은 무 초록색 부위의 고온 가압 추출물이 7.5의 센서 값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자코를 이용하여 무 추출물들에서 총 16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확인하였다. 무 추출물 속 휘발성 향기성분들 중 methanethiol이 주요한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들은 무 추출 물의 향미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페로몬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 및 중복 교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페로몬 성분인 Z9-14:Ac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은 농도 의존적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조사한 7성분 중 Z9-14:Ac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가장 컸다. 성페로몬의 혼합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단일 성분에 비해 컸다.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은 실험실 조건에서 중복교 미가 가능하고, 첫 교미율이 58.3%인데 비해서 두 번째 교미율이 72.2%로 증가하였다. 교미한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과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의 차이가 없었다. 성페로몬 트랩에 교미하지 않은 수컷이 시험기간 중에 포획되지 않았다. 대조구인 교미하지 않은 암컷 성충을 장착한 트랩에서도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은 포획되지 않았다. 비록 실내에서 교미한 수컷 성충은 성페로몬 성분에 대해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처럼 촉각 반응을 보였다고 할지라도 실제 야외 망실 하우스에서 교미를 한번 한 수컷 성충은 비행 능력 등 활력의 문제로 트랩에 포획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야외 노지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에 대한 수컷 성충의 유인 정도는 추후 좀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4,000원
        5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유통되는 액상 유제품에 함유된 17종의 과불화화합물 (PFCs) 함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수행되었다. 샘플을 액체-액체 추출을 통해 추출하고 LC-MS/ MS로 정량 분석하였다. 시중에 유통중인 98개의 액상 유제품 샘플에서 PFCs의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PFTeDA를 제외한 16종의 PFCs가 검출되었다. 총 PFCs의 함량은 0.9037 ng/mL로 액상 우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PFPeA, PFDS, PFHxA도 액상우유에서 0.1 ng/mL 이상의 농도 수준을 보였다.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수행한 연구와 비교했을 때 PFOA와 PFOS의 잔류 패턴은 유사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농도 수준은 0.1 ng/mL 미만이었다. 액상 유제품은 다양한 가공단계(살균, 혼합, 지방제거 등)를 거쳐 총 PFCs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짧은 탄소 사슬을 가진 PFCs가 크게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식품 안전에서 원료의 PFOS와 PFOA의 잔류정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5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Ligularia stenocephala and Ligularia fischeri, edible wild plant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solated by th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analyzed by GC-MSD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Forty-eight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s from L. stenocephala and the major compounds were sabinene, cis-ocimene, trans-caryophyllene, and β-elemene. Fifty-on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s from L. fischeri and the major compounds were α-pinene, germacrene-D, transcaryophyllene, endo-1-bourbonanol and 1-limonene. The common volatile flavor compounds between two plants were transcaryophyllene, sabinene, β-elemene and β-cubebene etc. However, α-phellendrene and myrcene were identified in L. stenocephala, but were not identified in L. fischeri. However α-pinene, germacrene-D and limonene were identified in L. fischeri but were not identified in L. stenocephala.
        4,000원
        54.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대하여 다양한 식물체 메탄올 조추출물과 천궁유래 물질들을 이용하여 살비활성과 기피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2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을 조사한 결과, 천궁(Cnidium officinale)에서 93.3%의 살비율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기피 효과의 경우 도라지, 미국자리공, 백목련, 어성초, 천궁, 칡잎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피 및 살비활성이 가장 높은 천궁의 메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물질들과 천궁 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 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헥산(hexane)층 처리 3일 후에 90%의 높은 살비효과를 보였으며 기피반응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천궁 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은 처리 7일 후에 90%의 살비활성을 보였고 T-tube olfactometer 실험에서 모든 작은소피참진드기가 무처리 구로 이동하여 기피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천궁 조추출물과 천궁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를 이용하여 작은 소피참진드기의 방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fermented sausage using goat meat and evaluated its applicability. For this, the samples were prepared by dry-fermenting a control (100% pork) and two treatments (50% goat meat replacement or 100% goat meat replacement) for 21days. The moisture content, ㏗ and water activity were decreased in all treatments whereas lactic acid bacteria (LAB),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and volatile compounds were increased during dry fermentation periods. In comparison of treatments, the dry-fermented saus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ximate compositions, yield, ㏗, water activity, LAB and TPA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However, sausages with goat meat also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C14:1, C18:1t and C18:3 than the control (P<0.05).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showed increased level of hexanal, octanal and 1-hexanol as replacing pork by goat meat in dry-fermented sausages (P<0.05). Goat meat replacement increased flavor intensity of dry-fermented sausages,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overall acceptability score of the control and treated samples (P>0.05). Therefore, goat meat could be useful on raw material in dry-fermented sausage as well as pork.
        4,200원
        5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수경재배 시스템과 결합하여 상추를 재배하고 수확 후 플라즈마 활성수와 과산화수소 0, 3, 6% 농도에 침지 처리를 하여 생육량 및 바이오 활성 물질 함량을 비교하였다.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로 인하여 근권부 생체중이 저해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엽장과 근권부 생체중을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상추 지상부의 chlorogenic acid와 4-hydroxy3-benzoic acid, 4-hydroxy benzoic acid 그리고 지상부 총 페놀 함량은 과산화수소 6%에 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근권부에서 측정된 이차 대사산물인 quercetin 및 근권부 총 페놀 함량은 과산화수소 처리구보다 플라즈마 활성수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과산화수소 처리 기간 동안 상추의 뿌리는 직접적인 피해를 받으며 괴사하였으나, 잎에서는 과산화수소 6% 처리에서 바이오 활성 물질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라즈마 활성수 처리 상추는 생리 장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과산화수소 6% 처리와 유사한 양의 이차대사산물 증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뿌리의 바이오 활성 물질 함량이 가장 높았던 결과 등을 고려 할 때 근채류 및 엽채류의 수경재배에 플라즈마 기술을 적용할 시 작물의 바이오 활성 물질 함량을 증대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0.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iss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a motor vehicle painting booth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Most particulate matter was emitted during the spraying process, in which the PM10 concentration was 16.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drying process. When the paint was being sprayed, the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1.0~2.5 μm accounted for 39.4% and particles greater than 2.5 μm in diameter accounted for 30.6% of total particles. On the other hand, small particles less than 0.5 μm in diameter accounted for 52.4% of total particles during the drying process. In contrast to the particulate matter, high concentrations of VOCs were emitted during both spraying and drying processes. Butyl acetate, xylene, toluene, and m-ethyltoluene were the most abundant VOCs emitted from the motor vehicle painting booth. Additionally, xylene, butyl acetate, toluene, and 1,2,3-trimethylbenzene were the dominant ozone precursors. Especially, xylene exhibited the highest ozone production contribution (32.5~44.4%) among 34 species of the ozone precursors.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 suitable management strategy for air pollutants from motor vehicle painting booths.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