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4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ent knowledge and beliefs of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reading instruction from the Shulman’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view, and explores the realities of reading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questions were consisted of three areas: items for in-class reading instruction, teacher’s belief on reading, and teacher’s content knowledge about reading. The data revealed that the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insufficient content knowledge for reading instruction, particularly in word analysis skills such as phonemic awareness, letter sound relationships, word frequency, and other topics related to reading. However, teachers’beliefs were different from their knowledge. Whereas their content knowledge about phonics, reading aloud, or story-based reading method is lower, they believe that those skills are effective for read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alities of reading classroom were different from teachers’ beliefs. Although teachers believe that rich print environment facilitates the learners’ reading development, the print environments were little provided and they did not refer to print for their teaching.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teacher training which focuses on reading instruction needs to be emphasized for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6,600원
        4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relations in English with a focus on analysis of effects of reading journal writing which integrates reading and writing. Three groups (reading, writing, reading journal writing) had different treatments for 8 week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ading journal writing group had the highest post-test writing scores compared with the two other groups. This group’s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from the reading group’s. The same results were also found in the higher-level group. As for the lower-level group, however, the scores of the writing group were highest. These results support the bidirectional hypothesi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higher-level and the lower-level reading journal writing group had the highest post-test reading scores;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reading test do not seem to be clearly related to any hypothesis of reading-writing rela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and of the analysis of reading journal suggest that effects of reading journal writing can vary with reading texts and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7,800원
        43.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hort essay is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a presentation read at the annual Institute seminar held at SNU on the 5th of December to exchange views on the function of read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t begins with the discussion of a need on the paπ of policy makers of English teaching to reassess and revise the dominantly pragmatic and instrumentalist philosophy particularly working in the pedagogy of reading in English. According to the revisionist review of the present writer, the guiding spirit of the 4-skill orientation has so far tended to overvalue the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functions (or ’grammar’ as is termed here to contrast with the 'text’ that follows) at the cost of the human or readerly values carried by signifying textuality of the reading material. Language should and is fated to reflect and realize the lived experience of concrete and individualized people and society. English is a natural and cultural language that embraces a11 these cultural resourcefulness and expressiveness before it is a foreign language. Strategies of reading pedagogy ought to reflect this fundamental as well as human or value-oriented aspect of language despite the limited level of the language on the part of its leamers.
        4,300원
        4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을 조사하고, 토론과 읽기 활동에 따른 관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중학교 2학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전 학생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관점은 상대주의(n=2), 반증주의(n=2), 상대주의와 절충주의의 경계(n=1), 반증주의와 절충주의의 경계(n=3), 상대주의, 반증주의 및 절충주의의 경계(n=1), 귀납주의와 절충주의의 경계(n=1)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지식에 대한 현대적인 과학철학적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토론 및 읽기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지만, 일부 문항들에서 귀납주의 항목을 선택했던 학생들은 토론과 읽기 활동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같은 응답을 유지하는 견고성을 보였다. 이는 전통적 과학철학 관점에서 현대적 과학철학 관점으로의 변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한 예이다.
        4,000원
        46.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드만의 “Among School Children” 읽기는, 언어의 근본적 비유성, 즉 말해진 것과 다른 것(들)을 의미하는 속성에 근거한 그의 해체론 전개에 중요한 예이다. 이 시에 관한 그의 논의의 초점은 마지막 시행 “How can we know the dancer from the dance?”가, 전통적 해석들에서와는 달리, 수사의문문이 아니라 문법적 의문문으로 읽힐 수 있으며, 이 때 이 시행은 예술적 형식과 내용 사이 그리고 더 나아가 기호와 지시체(또는 의미) 사이의 숨겨진 차이성을 드러낸다는 데 있다. 드만에게 있어서 이 차이성은 언어의 자의성과 언어 기호의 비고착성에 직결되며, 이들은 다시 의미의 불확정성을 넘어 읽기의 불가능성으로까지 이어진다. 의미의 불확정성은, 다시 말하면, 주어진 표현에 적용될 문맥을 결정할 수 없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퍼스에 따르면, 의미작용(signification)이 무한한 기호과정에 속해있긴 하지만, 해석의 공동체(community)라는 의미작용 외부의 원리에 의해 의미작용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에코는 이 원리로부터 비록 어떤 해석을 배타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옳은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그 해석이 부적절하다는(illegitimate) 것은 문맥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이때 문맥이란, 한 텍스트내의 특정한 표현이 문제가 될 때, 그 표현을 들러 싼 텍스트 자체, 더 정확히 말해서, 그 텍스트의 요소들 사이에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일종의 일관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 텍스트의 일관성은 해석의 최소 조건이 된다. 드만의 “Among School Children” 읽기는 이 조건에 비추어 부적절함이 드러난다. 결국, 해석의 최소 조건에 의해 의미의 불확정성은 읽기의 불가능성이 아니라 텍스트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읽기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4,500원
        50.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52.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중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읽기 지문에 나타난 고빈도 어휘 뭉치(lexical bundles)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고, 어휘 뭉치가 갖는 구조적, 기능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원어민 참조 코퍼스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읽기 지문을 코퍼스로 구축한 후 고빈도 어휘 뭉치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과서에 비해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 지문이 다양한 내용과 더 많은 양의 텍스트를 다루므로 예상대로 더 많은 어휘 뭉치가 출현하였으며, 어휘 다양성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휘 뭉치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동사구 결합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은 중학교 읽기 지문은 구어 담화적인 성격을 지녔으며, 전치사구 결합 유형의 비율이 높은 고등학교 읽기 지문은 학술적인 글의 특성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고등학교 교과서 어휘 뭉치의 기능적 분석 결과 지칭 표현 기능의 어휘 뭉치가 70%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교과서 읽기 지문이 문어적 특징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한편, 중학교 교과서의 고빈도 어휘 뭉치 유형이 고등학교 교과 서에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원어민 코퍼스에서 빈도 높게 쓰인 표현이 교과서에서는 쓰이지 않은 경우와 원어민들의 사용 빈도에 비해 교과서에서의 사용 빈도가 지나치게 높은 어휘 뭉치도 있었다. 이는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꾸준히 향상시 킬 수 있도록 어휘와 어휘 뭉치 표현이 학년별, 학교급별 연계와 위계를 고려하여 반복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활용 빈도와 중요도를 고려한 어휘 뭉치를 교과서에서 균형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53.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부진’과 ‘읽기 부진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약 10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읽기 부진아’의 특성과 학교 현장에서 진행되는 읽기능력의 진단 및 지도 실태와 연수 경험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읽기 부진아’의 개념을 여러 층위에서 폭넓게 정의하고 있었으며, ‘읽기 부진’의 진단 검사 도구의 사용 양상도 매우 다양하였다. 전체 연구 참여자의 약 80%가 자신이 담임하는 학급에 ‘읽기 부진아’가 1-2명이상 존재함을 파악하고 있었으나 이중 49명(50.5%)만이 현재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교사의 약 83.3%가 학급 내 ‘읽기 부진아’를 발견하고 자발적으로 지도를 시작했으며, 이들 중 22명(44.9%)만이 읽기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교사 중 관련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27.1%에 그쳤는데, 이들은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지 않는 집단에 비하여 오히려 연수 경험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를 지원하는 연수의 내용이나 방법이 읽기 부진아를 지도하는 실천적 측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하여 좀 더 면밀한 파악과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읽기 부진아’ 지도는 학습자에게 필수적인 기초 능력을 길러주는 ‘초등 교사의 전문성’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지원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5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practice on badminton skil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during practice with observation learning, repeated reading and mixed practice combining observation learning and repeated reading. Methods: Thirty-six 5th grade mal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control, observation learning(OL), repeated reading(RR), and mixed model(MD). Before performing the striking skill, they observed the badminton expert’s performance three times in real time. They were asked to peform high clear striking as a badminton skill 20 times at pre-test, practice, retention(RT) and delayed retention(DR). During intervention, control group watched video clips not related badminton, OL was asked to watch the video containing the expert performance in saggital view, RR was required to read the customized reading material, and MD watched the expert’s video and read the reading material.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score between pre-test, RT, DR in MD.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MD seems more effective practice to learn badminton skill for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