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61.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원의 확신은 가톨릭 신학과 루터 신학을 분리시키는 중요한 차이점에 속하는 조항이다. 구원의 확신이라는 주제를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교파 간 신학적인 논쟁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자하는 에큐메니칼 운동의 바른 방향 설정을 위해, 1518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이루어진 루터와 추기경 카예탄의 논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우크스부르크 심문에서 중요한 두 번째 토론 주제는 구원의 확신이었다. 여기서 루터가 주장한 견해에 따르면, 인간이 구원에 필수불가결한 조건은 인간 자신이 의롭게 된다는 확고한 확신을 갖고 믿으며 은혜를 받게 될 것을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해 카예탄은 그러한 신학은 새로운 교회를 세우는 것과 같다고 비판하였다. 루터에 따르면, 하나님의 뜻과 말씀(약속)에 대한 확고한 신뢰로서의 믿음은 개인적인 구원의 확신을 포함한다. 왜냐하면 하나님만이 구원의 근거이시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에 따르면, 인간이 자신의 구원을 협력하여 이루고자 한다면, 개인적 구원의 확신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루터와 카예탄 사이의 구원확신에 관한 차이는 두 신학자의 구원개념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또한 예큐메니칼 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구원의 확신에 관한 논쟁에서 기본적인 오해들을 제거하는 것이며 새로운 토론을 위한 길을 모색하고 여는 일이다.
        62.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1년 도입된 청소년보호법 제26조는 ‘인터넷게임중독’이 실재한다고 전제하여 인터넷게임에 대한 접근을 일정시간동안 제한하는 기술적 조치이다. 이 조항은 도입과 함께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었다. 이 제도는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저항을 잘 보여주는 논쟁사례이다. 우리는 ‘인터넷게임중독’이라는 용어가 학술적으로 여전히 논쟁적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었던 배경을 진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논쟁을 기술사회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국가 주도적 기술도입이 불러온 기술혐오를 발견할 수 있다. 기술혐오에 대한 해법은 병리적 프레임 보다 기술에 대한 비판담론 프레임으로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6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의 독도/죽도 논쟁은 학문적 성과가 반영되지 않는 국면이 적지 않았다. 어쩌면 독도/죽도 논쟁의 문제점은 죽도 영유권을 둘러싼 의견 대립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의견 대립이 학문적 근거가 결여된 채 쟁점화 되는 데에 있다. 학문적 근거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기 때문에, 학문적으로는 성립되지 않는 주장이 재삼재사 되풀이하여 강변되고 똑 같은 논의가 끝없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양국의 독도/죽도 논쟁에 대한 해결의 길을 열기 위해서 조문(법령)의 해석과 사료를 둘러싼 해석 방법을 검토하였다. 조문에서는 ‘샌프 란시스코 강화조약’과 ‘겐로쿠 죽도도해금지령’의 해석에서 조문상 명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은 의도를 해석하였다. 또한 ‘우산도’, ‘일본해내 죽도외일도 지적 편찬에 방사(日本海内竹島外一島地籍編纂方伺)’의 해석에서도 사료는 먼저 주어진 텍스트 안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검토하였다. 사실, 독도/죽도 논쟁은 거의 정리되어가고 있는 느낌이 든다.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 끝없이 논의를 지연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만약 향후의 한일 관계를 돈독한 것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이 논쟁을 끊어버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자의성을 가능한 한 배제하고, 사료·사실(史實)에 마주볼 수 있는 용기를 낼지 어떨지가 분기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65.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and works of Sébastien Castellion, a French humanist and reformer of the 16th century. The reason why I am concerned about Castellion is that his idea of tolerance is very suggestive to us who live in religious plural society. In order to fulfill this goal I first introduce a dramatic but tragic life of Castellion briefly, and then examine his central idea through his works. In particular, I will focus my interest on the tolerance issue of the 16th century that broke out between Calvin and Castellion concerning the death of Michael Servetus in 1553. In this paper, I look into Castellion’s several works dealing with tolerance problem: I select five primary works to reveal Castellion’s tolerance thought: “Preface to the Latin Bible, Dedicated to Edward VI,” “Concerning Heretics,” “Reply to Calvin’s Book,” “Counsel to France,” and “Concerning Doubt and Belief.” Castellion was a prophet of his time, a rationalist before Rationalism, and an advocate of religious tolerance in an age of intolerance. He was certainly ahead of his time. I hope this study will provide a momentum for sincere and academic concern about Castellion and his tolerance thought.
        6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ssay examines the seventeenth century New England Congregationalists’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half-way covenant.” According to Perry Miller, there is a radical discontinuity between them. Miller points out three major differences. First, the half-way covenant introduced a new internal/external distinction into the early fathers’ church covenant, while the latter had considered their church covenant as a visible form of the internal covenant of grace. Second, accordingly, the defenders of the half-way covenant “drastically separated” the church covenant from the covenant of grace. As a result, the church covenant was “no longer viewed as a direct manifestation of spiritual conversion.” Third, there was a generation gap: While the old generation opposed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the young generation tended to defend it. Miller share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critics’ view of the church covenant--as shown in Samuel Rutherford's polemical works against New England Congregationalism. Rutherford, for example, tended to identify Thomas Hooker’s concept of the church covenant with the Separatists’ view of it which was deeply rooted in their “pure church” ecclesiology. Both Rutherford’s and Miller’s thesis, however, represent a one-sided view. Hooker and his brethren present enough counter-evidence to show that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early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First, the internal/external distinction does not belong to a later development because it was a basic feature for Hooker’s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Hooker clearly sees his church covenant as an external--not internal--covenant. Second, Hooker and his brethren make a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the invisible/inward covenant of grace and the visible/outward covenant of grace. The latter, Hooker argues, is given for the visible church--either an explicit or an implicit form of church covenant. Third, Hooker’s church covenant does not nullify the traditional distinction of the visible/invisible church. On the contrary, it must preserve it. Finally, unlike Miller’s thought, the majority of the early Congregationalists--even in the 1630s--actually favored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The above facts must account for the reason why the defenders of the half-way covenant could claim that they had the fathers of Congregationalism (including Hooker) on their side. In short, the complex reality demands that we should seek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e issue of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the church covenant and the half-way covenant.
        6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history of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that originated in the 8th century Byzantine church. Christian art flowered in the time of the Emperor Justinian and in the 8th century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arose. The full-dress iconoclastic controversy started at the beginning of the 8th century, was dealt with by successive General Councils until the matter was solved when the 7th Nicene council of 787 approved the veneration of images. These became idolatry, threw church and society into chaos so that the Pope and the emporer and their supporters over the course of two centuries developed their own Christologies. At that time images were at the heart of the people(Minjung)’s faith. There is always a tendency for religious feelings to be transformed by images.This writer in concentrating on the 8th century controversy has reviewed its historical background, occasion and results and has attempted to deal with the question of images in relation to present day church worship. Idolatry through worship of symbols finds fulfillment in Eucharistic theology for that visualizes the presence of Christ.
        6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loit of Ham Suk-Hun in Korea Christianity history was new and authoritative speech (Matthew 8:29). He criticized old and powerless Korea Christianity by using new authoritative language and presented the new religious vision and spiritual energy that have given risen to prospective task in Korea Christianity today. He thought fundamental problem of Korea Christianity as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s consciousness of the times in disregard of history. He regarded Korea Christianity which has become lukewarm ashes and withered trees as formal idealism of religious belief which has taken history as just luck by chance. He sorted phenomenon of Korea Christianity in two aspects.?Firstly, systematized and privileged Christianity denied national solution, democratic demand in 1950s and pursued their interests by taking side with high and mighty people. Secondly, democratic Christianity that is not for construction of church but for construction of race conscience, not for a privileged minority but democratic religion for a majority and to service not to rule, to do an ascetic life not to be a state of euphoria. His writing criticized the realty of Korean society. In that situation the privileged class who make a monopoly of riches in clover life and neglect the people who suffer from absolute poverty after the Korean War. What he said is God’s words that spring up in the people. The person who tell and hear are the masses. So, someone who can not see the people’s mind can not hear this story even if he heard that. Hence they can not only hear the people’s speech but also can not speak true freedom. Ham thought that it is foolish to argue with them. Salvation is possible only by God’s grace. There is a confession of faith and life that are against human system and authority. He distinguished a new form of religion with old one and regulate Roman Catholic as an old form of religion that boast the power of a number and quantity. A new form of religion is for resist unfaithfulness and that is for freedom of the people’s spirit. Ham criticized Korea Christianity’s role and task in the desperate realty of Korean society. He conveyed God’s intention by the people’s voice in the land. God use Ham for Korea Christianity’s repentance and reformation prior to reformation of society. Because Korea Christianity did not role of prophets even though they have God’s words. His speech which was sent 50 years ago will become coordinates to Korea Christianity in identification and future direction.
        6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俛宇 郭鍾錫(1846-1919)의 󰡔大學󰡕 해석 중 특히 ‘明德’에 대한 해석 및 그와 관련해 다른 사람과 논쟁한 것을 중심으로 그 설의 특징과 의미를 논한 것이다. ‘明德’에 대해, 기호학파 洛論은 本然之氣로 보고, 湖論은 心의 光明處 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데, 이는 모두 心卽氣의 입장을 전제로 한 것이다. 반 면 嶺南學派는 朱子가 心統性情으로 해석한 것에 근거하여 心合理氣의 관점에 서 理를 위주로 해석하였다. 19세기 퇴계학파의 정맥을 이은 柳致明은 명덕을 氣淸理徹이라 하였는데, 그 의 문인 朴致馥은 ‘주자 이래 相傳한 嫡訣이라’ 하였다. 유치명의 견해는 명덕을 心合理氣의 관점에서 본 것이다. 그런데 李震相의 心卽理를 위주로 하는 학자 들은 氣를 겸하여 논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이런 점에서 郭鍾錫의 설도 마찬가 지이다. 그런데 곽종석은 󰡔대학󰡕 삼강령․팔조목의 논의구조에 나아가 明德과 心을 엄 격히 다른 것으로 변별함으로써 하늘에서 얻은 心之本體를 가리킬 뿐만 아니 라, 行事를 통해 얻어지는 孝忠恭重 등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점이 스승 이진상의 설 및 동문들의 설과 변별되는 가장 특징적인 점으로, 동문 들과 논쟁한 핵심 사안이었다. 그는 명덕을 선험적인 본원은 물론 후천적인 경 험을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丁若鏞이 후천적 경험만을 중시한 것과도 일정 부분 연관성을 갖는다. 대체로 19세기 主理論者들이 主宰性을 강조하기 위해 본체․본원을 강조하고 있는데 비해, 곽종석은 행사를 얻어지는 實得을 모두 명덕에 포함시키고 있어 主宰性과 아울러 實用性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다른 학자들과 변별되는 점이 다. 이런 점에서 그의 체용론은 본체에 치중하지 않고 該體用의 논리를 갖고 있 다 하겠다.
        7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어도(釣魚島)는 바다 속의 고독한 섬이기는 하지만, 양안삼지 (兩岸三地)1)의 주목을 끌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조어도와 일본은 미국의 원동(遠東)2)의 전략적인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일 본은 이 지역의 자원에 대해서 탐욕을 내었다. 1971년 미국이 <오키나와 귀환 협정>을 체결할 때 조어도를 귀환 구역에 포함 하였는데 중국의 강렬한 항의를 받았다. 1972년에 중일은 조어도 문제를 다시 해결하기로 결정하였다. 일본은 조어도 해역에서 작 업하는 어민들을 감시하였고 중국은 조어도의 주권을 포기하지 않 는다고 주장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