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63.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culture methods on development of embryos with each developmental stage after heat shock in bovine oocyt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ellows. 1. The culture method after heat shock on development of embryos was better drop-culture than co-culture. 2. The medium without amino acids were not effect of heat sock on development of embryos but it was in need of amino acid during formation of blastocyst.
        4,000원
        6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재배시 적합한 배지와 배양액농도를 선발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공시작물은 백리향(Thymus vulgaris L.)으로 하였다. 배양액의 농도는 European Vegetable R&D Center에서 개발한 herb 배양액(EC=2.4)을 0.5, 1, 2, 3배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배지는 고형배지로 펄라이트 단용, 코코피트 단용 그리고 펄라이트와 코코피트 혼용(50:50 v/v)을 사용하였고, 비고형배지로는 DFT를 사용하여 총 4처리로 하였다. 생육은 다른 배지 처리구보다 담액수경에서 가장 좋았다. 펄라이트와 담액수경에서는 배양액농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감소하였으나 코코피트는 1배, 혼용 배지는 2배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체중을 보였다. 엽록소와 비타민 C의 함량 또한 다른 배지 처리구보다 담액수경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배지의 종류에 따른 무기물 함량은 NO3-N과 Mg를 제외하고 모두 코코피트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NO3-N의 함량은 담액 수경에서 1000 ppm 내외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백리향의 생육은 DFT를 사용하여 herb배양액 0.5배(EC =1.2mS/cm)농도로 재배한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4,000원
        69.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mbryonic development ability and the appearance of blastocysts of bovine in vitro fertilized oocytes cultured in different culture media, and also to evaluate survival rate after thawing of frozen embryos by using 1.5 or 1.8M ethylene glycol(EG) with sucrose or trehalose. Fertilized oocy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 ) monolayer of cumulus /granulosa cell prepared by TGM 199+5% calf serum(TGM199), ii)GRlaa+5% CS, iii)SOF+5% CS, and they were cultured after insemination for 9 days, at 39˚C, under 5% in air, but SOF+5% CS was cultured at 39˚C, under 5% 02, 5% GO2, 99% N2. Blastocysts derived from GRlaa + 5% CS on day 7~8 after insemination were frozen by using 1.5M EG or 1.8M EG with/without 0.2M sucrose or O.1M trehalose. The development rate of blastocysts on day 7 after insemination in SOF+5% CS was significant higher than in TCM199 or CR1aa(P<0.05). The appearance rate of blastocysts on day 7-8 after insemination was higher than in TCM199, when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in GRlas or SOF. The survival rate of frozen blastocysts after thawing tended to increase, when blastocysts were frozen by using 1.8M EG with 0.2M sucrose or O.1M trehalos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F or CRlaa media with amino acids was superior to TCM199 with monolayer in terms of blastocyst development in culturing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nocytes, and sucrose or trehalose was supposed to prevent embryos from the freezing shock.
        4,000원
        71.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환식 펄라이트 고형배지경에서 토마토의 영양과 환경특성을 고려한 생육단계별 최적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 야채시험장표준액(야시액)을 2 수준(l/2, 1.0 배액)으로 하여 실험을 하였다. 전반적으로 일본 야시액 1배액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식물체내 무기이온함량도 적정치로 나타났다. 따라서 1배액의 양수분 흡수율에 의해 토마토 순환식 고형배지경용 배양액을 조성 하였고 그것을 SCUT 배양액으로하였다. 생육단계별로 육묘기. 영양생장기 및 결실기로 나누어 양수분 흡수율(n/w)을 계산한 결과, 육묘기에 N 13.5, P 3.3, K 7.0, Ca 7.0 및 Mg 3.5 me.L-1이었고, 영양생장기에는 N 14.2, P 3.3, K8.0, Ca 7.5 및 Mg 4.0 me.L-1, 결실 비대기에는 N 10.0, P 3.0, K 7.0, Ca 6.0, Mg 3.0 me.L-1로 조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단계별로 조성된 시립대 순환식 토마토 배양액(SCUT)을 네덜란드의 순환식 배양액 (PBG)과 함께 비교실험을 수행한 결과 근권내 pH 와 EC변화는 저농도구인 1/2배액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근권내 무기이온함략 변화는 시립대액에서는 생육단계별로 조성배양액을 바꾸어 공급하면서 실험한 결과 1/2배액에서 근권내 N, p 함량이 적정수준이하로 나타났고 2배액에서는 근권내 N, K, Ca, Mg 함량이 집적되어 고농도로 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1배액에서는 전반적으로 근권내 무기양분이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시립대 배양액에서 토마토의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높게 나타났다.
        4,300원
        7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 보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비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이 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으로 전환됨에 따라 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에 적합한 배양액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이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및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 야채 시험장 표준액을 1/2 배액, 1 배액 및 3/2 배액으로 조제하여 오이를 재배한 결과, 오이의 초장은 배양액농도를 높임에 따라 짧아졌으며 엽장, 엽폭 및 처리 농도간에 차이가 없었고 상품과수와 상품수량은 1 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양수분흡수율(n/w)에 따라 개발된 오이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SCU 배양액)은 영양 생장기 동안 N 11.4, P 3.3, K 6.0, Ca 4.5 및 Mg 3.5 me.l-1, 생식 생장기 동안 N 10.4, P 3.3, K 5.0, Ca 4.5 및 Mg 3.5 me.l-1이었다. 2. 순환식 배양액으로 개발된 SCU 배양액의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산기 배양액, PTG 배양액 및 SCU 배양액에서 오이를 재배한 결과, 근권내 EC와 pH는 모든 배양액에서 생육기간 동안 안정적이었다. 배양액 내의 다량원소를 측정한 결과, 산기 1 배액, PTG 1 배액, SCU 1/2 배액, SCU 1 배액 및 SCU 3/2 배액 모두 오이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배양액내 N, P 및 K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Ca 농도는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Mg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오이의 광합성속도는 SCU 1 배액, SCU 3/2 배액 및 산기 1 배액에서 높았다. 생육은 SCU 1/2 배액에서 가장 낮았고 SCU 1 배액과 SCU 3/2 배액, 산기 1 배액 및 PTG 1 배액에서는 처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내 N, P, K 및 Mg 함량은 SCU 1 배액, 산기 1 배액 및 PTG 1 배액에서 적정 수준을 나타냈고 엽내 Ca 함량은 PTG 1 배액에서 낮았다. 총수량은 SCU 1 배액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산기 1 배액에서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개발된 배양액(SCU 배양액)은 오이 순환식 고형배지경에 적합한 배양액이라 할 수 있다.
        4,600원
        74.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배지경에서 육묘기와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의 차이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농도는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로 각기 다르게 처리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로 처리되었다. 모든 배지에서 총과수, 총수량, 상품과수 및 상품수량은 1.0mS/cm보다 2.0-3.0mS/cm에서 훨씬 더 높았다. 기형과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 순이었으며 비타민C 함량은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 순이었다. 모든 배지에서 육묘기에는 2.0-5.0mS/cm, 정식 후에는 2.0-3.0mS/cm로 관리했을 때, 상품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육묘기 뿐만 아니라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는 총수량, 상품수량 및 당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총과수와 상품과수는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4,000원
        75.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묘들은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의 각기 다른 배양액농도로 재배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의 농도로 옮겨져 재배되었다. 육묘기 때에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3.0mS/cm로 높임에 따라 유묘의 광합성속도는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0.5-3.0mS/cm 범위 이상의 농도에서는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경경 및 지상부 건물중은 펄라이트에서는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5mS/cm로 높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미클라이트에서는 2-5mS/cm에서 높았으며, 피트모스에서는 3mS/cm일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묘의 초기생장에 대한 배지별 적정배양액농도는 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펄라이트에서는 3-5mS/cm, 버미클라이트와 피트모스에서는 각각 2-5mS/cm, 3mS/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후에 배양액농도를 1mS/cm에서 3mS/cm로 높임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육묘기와 정식 후에 계속하여 5mS/cm의 고농도로 재배한 것들의 건물중은 단지 조금 증가하였다.
        4,000원
        76.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진퍼리고사리의 전엽체 증식을 위한 배지를 선발하고, 포자체 증식을 위한 적정 배양토를 구명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엽체 증식연구는 배지종류(1/4, 1/2, MS 배지, Knop 배지), sucrose (0, 1, 2, 3, 4%),의 농도를 달리한 배지에 전엽체 300 ㎎를 각각 접종하여 8주간 배양한 후 전엽체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포자체 형성 연구는 분쇄한 전엽체를 인공토양위에 접종하여 수행하였다. 인공토양은 원예상토, 펄라이트, 마사토의 비율을 다르게 조성하거나 원예상토단 용으로 사용했다. 그 후 접종한 전엽체를 12주간 배양한 다음 포자체 형성 및 생육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내 전엽체는 2% sucrose를 첨가한 MS 배지에서 생체중과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포자체 형성을 위한 배양토 조성 실험에서는 원예상토:펄라이트 2:1(v:v)와 원예상토:마사토 2:1(v:v)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이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인 생육은 원예상토:마사토 2:1(v:v)가 우수하였다.
        7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20 free amino acids in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while cultivating Lentinula edodes. The total incubation period was 90 days, and the total amount of free amino acids was confirmed every 45 days. Among the 18 kinds of amino acids whose increase and decrease patterns were confirmed, 10 amino acid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among which cysteine increased from its initial value of 9,889 ± 3 μg/L to 12,909 ± 2 μg/L at 45 days and 29,256 ± 4 μg/L at 90 days. Six amino acids with decreased expression patterns were identified. Arginine decreased to 83,751 ± 2 μg/L after 45 days from its initial value of 161,787 ± 1 μg/L and to 79,055 ± 7 μg/L at 90 days.
        7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is one of most important medicinal (Glycyrrhizae radix) herb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ation and they are also important commercial products used worldwide in sweetening and flavoring. They contain the similar compounds, such as the triterpenoid saponins and flavonoi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G. uralensis Fischer and its medicinal constituent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propag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nodal explants of G. uralensis Fischer, and to establish a reliable protocol for micropropagation. Methods and Results : Young and actively growing stem segments were excised from adult plants of new cultivar ‘manju’. They were cut into a 1cm nodal segments with single node after sterilization, and cultivated in the differen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wo weeks. For shoot multiplication, one-node stem segments, approximately 1 ㎝ in length, were taken from in vitro derived shoots and subcultured. After four weeks of culture, the efficacy of each medium on shoot proliferation and growth was determined, and these shoots were transferred onto medium with different auxin hormones for rooting. Conclusion : After seven to ten days of culture, shoots began to emerge from axillary buds. They showed a vigorous growth and elongation in multiplication medium. During culture period, in vitro cultured plantle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ponses to the respective medium with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in vitro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palntlets could depend on its reaction to the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and this micropropagation techniques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healthy and vigorous plant production.
        7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is a multipurpose small tree with unique berries of high nutritional and pharmaceutical values has wide spread distribution from Eurasia to South east Asia. In recent times the medicinal benefits of vitamin tree are inclining, hence, efforts were taken to propagate them in vitro to exploit their medicinal property. Methods and Results : The tissue culture potential of them was investigated for the ability to induce shoot organogenesis in leaf explant, and induction of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from leaf tissue. Moreover, we also determined the effective induction medium for callus and somatic embryo production from H. rhamnoides. To induce the callus form leaf tissue, several phytohormone combinations such as 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6-benzyladenine (BA),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and 6-benzyladenine (BA), and Kinetin (K) were tried with the Murashige and Skoog (MS) as well as woody plant medium (WPM). In MS basal medium, the combination of 2,4-D and K showed the best callus induction rate of 71%, whereas in WPM basal medium the combination of NAA and BA showed the best callus induction rate of 91%. The adventitious root induction form callus was also attempted by using MS and B5 medium with the phytohormone combinations of IBA 1 – 5 g/ℓ. In MS medium, root was induced only at 4 g/ℓ of IBA and 64%, 51% and 55% root induction results were obtained at 3 g/ℓ, 4 g/ℓ and 5 g/ℓ in B5 basal medium, respectively. The somatic embryos were induced only in half strength MS with the triple phytohormone ratio of 2:1:2 of NAA, BA, and K. Conclusion : The in vitro propagation of sea buckthorn was successfully employed by generating callus, adventitious roots as well as the induction of somatic embryos form the leaf tissues derived callus. Our results provided a valuable addition to the utilization of H. rhamnoides thus enabling their propag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