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6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최적의 임의간격 횡방향 타이닝 설계 간격을 제안하였다. 기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소음 발생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고, LCG(linear congruential generators) 알고리즘 이론을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에 집중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타이닝의 간격을 설계하였다. 실내 시뮬레이션 결과를 대구-포항 고속국도 현장에 적용하였고 기존 국내외에 적용된 임의간격 횡방향 타이닝 시공도 병행하여 실내 외 소음 및 교통소음을 비교하였다. 실내 외 소음 측정 결과, 피치 소음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임의간격 횡방향 타이닝 구간이 일반구간 보다 낮은 소음도를 보였으나, 그 효과가 크지 않았다. 교통 소음 측정에서도 전체적으로 일반 타이닝 구간에 비해 임의 간격 횡방향 타이닝 구간에서 더 큰 소음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pass-by 소음 측정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4,900원
        65.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plored measures to reduce noise applicable to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centering on densely packed housing areas. Especially, as for measures to relieve noise damage on the densely packed housing areas in Gimhae-si, the noise reduction effect is expected to be doubled if the west runway (36L/18R) is used as the preferred runway for the 36 direction takeoff, as well as if the flight bypasses the densely packed housing areas by means of sophisticated navigation using the area navigation (RNAV) procedure based on performance-based navigation (PBN). Takeoff toward the south connects the flight path to the South Sea which has comparatively low noise impact, relieving noise damage on the densely packed housing areas (apartment complexes in Naeoe-dong of Gimhae-si, etc.) near the northern end of the runway. The operation of the runway displaced threshold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on the west runway (36L/18R) of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t has been found that swing landing in spring and summer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south has a noise reduction effect on the noise sensitive areas at the side and end of the west runway (Gangdong-dong and Jukdong-dong of Gangseo-gu and Buram-dong of Gimhae-si, etc.).
        6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료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환자들의 첨단의료장비에 대한 기대수준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 MRI)은 현재 모든 임상 분야에서 가장 핵심적인 영상진단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검사 중에 발생하는 심각한 소음으로 많은 환자가 심리적인 불안을 경험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검사실의 기존 헤드셋 흡음재에서 차음재를 추가한 헤드셋의 소음저감평가와 차음재별 영상 아티팩트(artifact) 유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D 프린팅한 헤드셋 내부에 흡음재(스펀지)와 차음재(아크릴판, 구리판, 3D copper plate)를 교차 배열하여 MRI 검사소음을 녹음하여 스피커로 같은 dB 값의 소음을 발생시키며 3D 프린팅 된 두부모형의 내부에 소음측정기로 dB 값을 측정하여 정량분석을 하며 자체 제작한 헤드셋을 물팬텀에 밀착시킨 후 MRI영상 아티팩트 유무를 검사한다. 드셋의 정량평가를 한 결과, 헤드셋 평균 dB 값은 81.8 dB 로 나타났으며, 차음재를 추가한 헤드셋에서 가장 방음효과가 뛰어난 재료조합(구리, 아크릴판, 스펀지, 스펀지) 헤드셋의 평균 dB 값은 70.4 dB 값이 측정되었지만 MRI 시뮬레이션 결과 구리가 반자성체이기 때문에 아티팩트가 나타나 배제하였고 두 번째로 방음효과가 뛰어난 (스펀지, 아크릴판, e-copper plate, 스펀지) 헤드셋의 평균 dB 값은 70.6 dB 값이 측정되었고 MRI 시뮬레이션 결과 인공물 나타나지 않았다. 구리분말이 약 40%가 포함된 e-copper PLA로 출력한 재료를 동일하게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인공물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3D 프린팅 재료의 사용이 적합하였고 구리보다 경제성이 우수하며 가공이 용이하므로 적합한 재료로 선정하였다. MRI관련 연구에 있어 3D 프린팅을 이용한 상호발전이 매우 기대된다.
        69.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targeting Songpa of Seoul,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noise mitigation in roadside buffer green spaces. Noise of Songpa Street buffer green space was determined to be higher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In addition, it was most of 60 db or more. However,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of the buffer green was not greatly affected by time. In the case of noise reduction rate, during the day time it was the order of the mounding type (18.14%)> plain type (5.73%)> slope type (4.08%), And, in the case of night time, it was the order of the mounding type (11.29%)> slope type (10.22%)> plain type (4.42%). Noise reduction rate, all of the daytime, was the highest in the mounding type. As a result of the factors on the amount of reduction of noise, More physical structure is mounding type, green structure is the stratification of green space,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s large, the higher the tree planting dens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reduction effect is high. Also, factors affect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day and night were different.
        7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철도에서 주거지역, 상가와 같은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외부에 전파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대책이 적용되고 있다. 반면, 역사 플랫폼에서 열차 정차 및 통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공해는 탑승을 위해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다소 불쾌감과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상역사에서 플랫폼에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흡음형, 간섭형, 공명형과 같은 여러 방음벽에 사용하고 있는 구조들을 플랫폼 단부에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구조해석 검토를 수행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각 경우의 플랫폼에 대한 소음해석은 VIRTUAL LAB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7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의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도로가 확장되고 있다. 도로의 확장은 도로와 주거지를 가깝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고 이에 따라 교통소음 피해가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도로와 인접한 주거지역, 공공기관, 병원 등에서 지속적인 소음피해가 발생하여 시민들의 불편이 증가 하였다. 도로교통소음은 자동차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타이어와 노면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구분되며 실제 자동차 주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소음 중에서 타이어와 노면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교통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타이어와 노면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 하다. 본 연구는 주행 중인 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로 교통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복층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 전·후의 5분 등가소음도 측정을 통해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포장과 복층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소음 저감 효과를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성능 유지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청소차의 효율을 확인하고자 공극 막힘을 인위적으로 재현한 뒤 고압 살수·진공 흡입 청소차를 동원하여 청소를 실시하고 청소 전 후의 현장투수계수 시험을 통해 공극 회복 평가를 수행하였다.
        7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로 교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타이어와 포장 사이의 마찰, 엔진, 에어펌핑 음 등이 주원인이다. 저소음 도로포장 공법은 타이어와 도로표면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을 저감시키는 기술로 교통소음으로 인한 민원, 불편 등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포장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층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 기술에 대한 성능 및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은 상부층을 작은 골재로 포장을 하여 타이어와 도로 표면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켰으며, 하부층에는 굵은 골재를 두어 에어 펌핑 음으로 인한 공명음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저소음 포장이 완료된 도로는 일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약 9dB의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소음 저감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경제성 분석은 방음 벽, 방음 터널의 설치비용을 고려하여 동일 구간 설치시 발생하는 비용을 비교하였다.
        7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pplied automotive vibration control technology to reduce interlayer noise of apartment housings. Light-weight impact sound and heavyweight impact sound were test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ound insul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automotive vibration control technology was superior in light-weight impact, however, heavyweight impact sound was unplaced.
        74.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high speed railway system of a train which has maximum speed over 400km/h, is to develop core generic environmental technologies which are soundproof technology. Also this technology contains the emitting noise performance of high speed operated train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technology of core sound proof system which is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to cope with the noise increased about 7~9dB as the operating speed increased to 400km/h. In view of technology, this study is to the new soundproof shape design, noise absorbing material development, core soundproof facility development, noise reduction method which contains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noise, the concrete bed track reflecting noise reduction, the specifications absorbing block of concrete bed and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core soundproof system.
        75.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내 음 환경 개선을 주목적으로 식물의 실내소음저감에 관한 연구로, 챔버 내 상록 피침형 관엽수종인 아라우카리아를 배치한 후 실내음향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향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Fig 2, 3, 4). 아라우카리아 식재에 의해 실내 잔향시간, 흡음률에 있어서 뚜렷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고, 흡음성이 높은 종이 재질 구조물의 흡음률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특히 고주파 대역으로 갈수록 그 효과가 좋았던 결과에 따라 실내 식물배치에 의한 주파수 대역별로 부분적인 소음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의 배치방법을 달리하여 잔향시간, EDT(sec)와 D50(%)값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배치 방법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던 결과로 식재 위치에 따른 소음저감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식물을 통한 실내환경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향후 다양한 실내음향 파라메타간의 상호 영향성에 관한 실험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며, 세부적인 실험을 위해 식물의 잎모양과 식물높이, 토양의 흡음 등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