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2

        6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in summer season to increase high temperature tolerance using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on cucumber in greenhouse. The water stress of cucumber in greenhouse by the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showed as control〉250 mM〉500 mM treatments in order. The photosynthesis rate of cucumber at 30℃ did not show difference with each hydrogen peroxide treatment in temperature controlled greenhouse. However, the photosynthesis rate of cucumber in the control and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at 40℃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otosynthesis rate of cucumber in combined treatment with 1,000 mg·L-1 CO2 supply and hydrogen peroxide was also higher than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t of photosynthesis in 250 mM and 500 mM treatment. The value of Fv/Fm and Fm/Fo of chlorophyll fluorescent in 500 mM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t 40℃ was highest. Also the activity of POD, the antioxidant enzyme, was higher with high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high temperature limits for growth were 43℃ in the control, 44℃ in the 250 mM and 46℃ in the 500 mM according to analyze chlorophyll fluorescent Fo. The high temperature tolerance in cucumber increased approximately 3℃ by the hydrogen peroxide treatments under this experiment conditions.
        4,000원
        62.
        2005.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mal respon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was investigated in a thermal environmental chamber during summer season. Eight thermal conditions combined with four air temperatures (24, 26, 28, 30℃) and three relative humidities (40, 60, 80%) were selected. Subjects of seven females and seven males were questioned in the chamber for three hours, where thermal and comfort sensations were surveyed every fifteen minutes. During the period of thermal response experiment, four thermal parameter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ir velocity, and globe temperature were monitored in the test chamber. The repeatability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rmal response were discussed. The thermal sensation vote (TSV) of females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dicted mean vote (PMV) calculated from the thermal parameters and human parameters. However, the TSV of male shows a slight discrepancy with the PMV. The neutral points of both female and male are very close to 0.18 of PMV, indicating that college-age Korean like to a slight warm environment compared with Western people. The thermal sensation vote of subjects is well correlated with the comfort sensation vote.
        4,000원
        63.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뭘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 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44.8%),Lumbrineris longifolia (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 (4.5%), 다모류의 Hetero
        4,500원
        64.
        200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5.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 습윤한 1993년 여름철과 고온 건조한 1994년 여름철과 관련된 동아시아에서 대조적인 여름철 몬순순환의 특성을 상, 하층 대류권의 대기순환 특성과 함께 전구 해수온도 및 적도 대류성 강수장을 분석함으로써 조사하였다. 1993년의 경우, 동아시아, 중앙 북태평양 및 미국 서부지역에서 500hpa 면과 200hpa 면의 음의 지위고도 편차가 나타났지만, 1994년의 경우, 이들 지역들에서 양의 편차를 보였다. 1993년의 아열대 제트류는 평년보다 다소 남쪽에 치우쳐져 한반도 북쪽에 위치하였다. 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동아시아지역에는 평년보다 많은 여름철 강수와 낮은 여름철 기온이 나타났다. 이는 오오츠크해로부터 동해로 저온 습윤한 기단의 확장에 때문으로 판단된다. 대조적으로 1994년의 아열대 제트류는 평년보다 다소 북쪽에 위치하였고, 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의 갑작스런 북상은 동아시아 여름철 강수대의 북상을 동반하였다. 따라서, 아시아 여름철 강수 및 기온 편차는 1993년과 반대 양상을 보였다. 적도 태평양상의 해수온 편차에서는, 1993년은 엘니뇨가, 1994년은 라니냐가 각각 나타났다. 오스트레일리아 고기압과 마스카렝 고기압의 북서 연변을 따른 하층 적도 횡단류와 관련된 서태평양과 인도양에서 이상적인 대류성 강수는 이들 대조적인 동아시아 여름철의 대규모 대기순환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아시아 여름몬순지역에서 평균된 200 hPa 면의 동서바람편차는 한반도 여름 기온편차와 음의 상관을 보였다.
        4,200원
        66.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s in the seawater of live fish tank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n their existence were investigated by collecting samples from fish markets and restaurants in 6 different cities. Pathogenic vibrios and coliform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most probable number (MPN) procedure, and aerobic plate count was enumerated by the standard pour plate method. No Vibrio cholerae O1 was detected in all the samples tested. Detection rates of Y. cholerae non-Ol,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n all the samples tested were 7.7%, 69.2% and 23.1%,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of the seawaber measured were higher in the pathogenic vibrios positive samples than in those negative samples. However, higher salinity and pH were shown in the pathogenic vibrios negative samples than in positive samples. The aerobic plate counts and MPN of total and fecal coliforms in the seawater were higher in the presence of pathogenic vibrios than in the absence of pathogenic vibrios. In this study, the presence of pathogenic vibrios in the seawater tested was closely related with other physiochemical parameters and populations of coliforms, indicators for food safety.
        4,000원
        68.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f refi-igerated chicken (average weight of 500g) legs treated with acetic acid (AA), lactic acid (LA), or citric acid (CA) during between June and August, 1998 were assessed. Chicken legs were immersed in solutions containing 1 % individual acids for 10 min. Chicken legs treated with AA for 10 min during storage of 16 days at 4℃ had a significantly (P$lt;0.05) lower levels of aerobic plate counts (APC) and gram-negative bacterial counts (APC) compared to those of LA or CA. AA had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LA or CA. Microbiological shelf-life of refrigerated chicken legs treated with AA increased eightadditional days compared to the controls. Sensory scores of chicken legs treated with acidulant were in the $quot;liked less$quot; to typical category during storage of 12 days at 4℃.
        4,000원
        7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고온기에 반결구상추를 식물공장에서 재배할 때 자주 발생하는 잎끝마름증 현상을 경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품종, 육묘배지, 베드 기울기, 베드위치, 급액량과 같은 최적의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Rex와 Flandria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비록 생육은 약간 저조했으나 상품성이 높고, 잎끝마름증 발생율이 적어 여름철 고온기에 적합한 품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묘배지는 물리, 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코코피트에서 상추의 생육량이 높았으며, 근권부에 배양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줄 수 있는 베드의 기울기는 l~2%가 적당하였다. 급액량은 반결구상추 생육에서 베드당 2l가 적합하였다 베드설치 높이에 따른 반결구상추 생육은 베드의 높이가 낮을 때가 높을 때보다 좋았다. 이것은 베드높이를 낮게 설치함으로써 작물주변의 온도와 습도분포가 결구상추의 생육에 적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71.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름철에 수행된 체감실험 결과이다. 연구의 목적은 함국인을 대상으로 여름철 체감실험을 통해 SET*(PMV)와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ASHRAE Standard 55-74의 쾌적영역과 한국인의 쾌적영역을 비교 검토한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에 대하여 생리 및 심리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냉방시 온열쾌적감을 분석하여, 온열환경지표(PMV, SET*)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청년 및 고령자에 대하여 각각 쾌적영역을 제시하였다. 냉방시 체감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년층의 중립 SET*(TSV=0)는 26.4℃이었지만, 고령자의 경우는 26.9℃ 이었다. 2. 청년과 고령자의 발한은 평균피부온도 34℃ 근처에서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3. 청년층의 온열적 중립영역은 SET* 25.4~27.5℃(0.20〈PMV〈0.85)이지만, 고령자의 중립영역은 SET* 25.8~28.0℃(0.43〈PMV〈1.07) 이었다.
        4,000원
        72.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s and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by the squid angling fishery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3-1995. The condition of the common squid fishing largely depended on the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area of Gampo. Monthly mean water temperatures during June m September in 1993 and 1994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1995 in Gampo area. But the values between July and August in 1995 were about 5℃ lower than those in 1993 and 1995. Coefficients of variation (CV) of water temperature showed the lowest value during July ~ September in 1993, however,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in July and August in 1994. Catch per unit effort (CPUE ; kg/angling) showed a peak with 73.7kg in 1993 when the CV was low.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CPUE of 39.6kg was observed in 1994 when the CV was high.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 stability of water temperatures and the weak strength of cold water have caused the good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4,300원
        7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온실 온도환경의 효율적인 제어는 온실의 주년재배와 고도활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31개 지역의 기후자료를 분석하여 고온기 온실의 기온관리에 있어서 목표 온도 유지를 위한 지역별 적정 최대환기횟수를 결정함으로서 온실의 기온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 유리온실의 설정온도 유지를 위한 강제환기는 40% 차광 유리 온실에서 최대환기횟수 1회/min로 35℃ 유지가 가능하였으나 환기만에 의한 한계 최고실온 30℃ 유지는 불가능하였다.
        4,000원
        7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평지에서도 양질의 시금치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 확립을 위해 재배 시기별 차광효과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환경조사 결과 제 4차작기(7월 15-8월 24일)의 무차광 PE온실이 기온과 지온 모두 각각 33.1℃, 28.6℃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제 3차(7월 1일-8월 5일), 제 2차(6월 16일-7월 22일), 제 5차(8월 5일-9월 12일), 제 1차(5월 24일-6월 28일) 순이었다. 나. 차광자재에 따른 온실의 온도환경은 8월 6일부터 12일까지 7일 동안 12시부터 15시까지 조사한 결과, 은색차광망은 외기 보다 1.1℃, 무차광 보다 3.1℃, 혹색차광망 보다 2.3℃ 기온 상승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지온에 대한 효과는 은색, 흑색 모두 PE온실과 외기에 비하여 약 2℃정도 온도 하강효과가 있었다. 다. 추대로 인하여 시금치 재배가 어려운 시기인 제 1차 작기에 국내종 2점과 도입종 6점을 재배한 결과 국내종은 무궁화, 도입종은 만추 파루크, 선라이트품종이 수량과 생육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라. 여름철 시금치 재배시 파종시기에 따라 차광효과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시기는 7월 1일부터 8월 24일이었다.
        4,300원
        75.
        199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76.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장마후 예취시에 많은 그루터기의 고사가 일어나 초지가 황폐화하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장마기간에 목초의 생육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인 그루터기내 저장탄수화물 함량의 변화- 토양중의 수분함량 및 온도 초지내의 온도, 습도 빛 광도와 같은 미기 상을 장마기간동안에 조사하였다. 조사는 1984년 6월부터 7월사이에 실시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갇다. l 목초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장마전 예취시 예취후 3일째에 약 2.9%로 떨어졌으
        4,000원
        77.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biological yields(BY) of varieties by the developmental growth stages and shoot weight(SHW), leaf area(LA), root dry weight(RW), number of tillers(NT), shoot and root ratio(S/R), weight of a tiller(WT) as facto
        4,000원
        78.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rizontal scale and movement of tidal front zone, front in the western regions of Korea in summer are studied in conjunction with numerical model and NOAH-11 satellite data analysis(AVHRR multi -channel sea surface temperature). In numerical model result, tidal mixing is dominant in the southeast region of Hwanghae, near field of Taean, Kyunggi bay, near field of Jangsan cape, Seoan bay, mid-east Chinese coast. But the results of the NOAH infra-red image analysis show that low surface temperature by tidal mixing is clear in the southeast region of Hwanghae, near field of Taean, near field of Jangsan cape but not in the Kyunggi bay, Seoan bay and mid- east Chinese coast in August and September, temperature gradient of frontal zone in the southwest region of Hwanghae is 0.05°∼0.1℃/㎞ and tidal mixing is dominant in the near field of Maenggal kundo and Hajodo and low surface temperature extends southwesrward. Early in August, west-east front(0.2°∼0.6℃/㎞) on the south region of Jindo moves northward and persists at east half on the joining line of Jindo and Sohuksando late September. The axis of front on the west region of Jindo is northeast~sorthwest early in August and moves westward until late September The tidal mixing in the near field of Jangsan cape is dominant in the region between Jangsan cape and Baengyougdo early in August and between Baengyougdo and Daechungkundo in late September. The axis of front on the west region of Jangsan cape is south-north and its temperature gradient is 0.2°∼0.4℃/㎞.
        4,000원
        79.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obtain some fundmental data to improve the dietary life and to establish the nutritonal education and policy on inhabitants lived in isle area near by demilitarized zone in Korea. For this, 33 families in the area of Kyodong island located at Kanghwa-Gun, Kyungki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Trained surveyors visited each house to survey the food and nutritional status in summer during 3 days in August, 1987.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foods they were taking totalled 17 categories and 134 kinds of which 104 kinds were vegetable foods. The average amount of food intake was 1465.3g per person per day, animal food occupied 9.6% only. The intake amount of fruit among vegetable foods, and fishes, shells, milk and eggs among animal foods wa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Each proportion of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to the total energy intake was 70.4%, 9.7% and 19.9%. The foods they used to take a lot were rice, potatoes, cucumbers, cabbage KIMCHIE and YULMOO KIMCHIE in order of their intake amount. The energy intake was 3064㎉ which is higher than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the energy ratio of cereals to the total energy in take is 76%. If the amount of fat intake is fixed to 20% of total energy intake, the amount of fat intake is 68g, but the actual amount of fat intake was only 33g. With an increase of total energy intake, supply of calcium and vitamin A should be increased much more.
        4,200원
        80.
        198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파종방법, 배수화도 및 여름철 예취관리가 오차드그라스 채초지의 목장건물수량, 고사물량, 초지의 잡초발생 및 피복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심험설계는 주구를 조파와 산파로 하고 세구를 배수랑호구와 배수불랑구로 하였으며, 세세구는 장마전 예취구와 장마후 예취구를 두어 세세구 배치 3반후으로 하여 1983년 9월부터 1984년 10월까지 실시하였던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지의 목장건물수량은 1회 예취시에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