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6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FRP로 보강된 장방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구속효과에 미치는 형상계수의 영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Lam and Teng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FRP 종류를 구분하고, 단면형태에 따라 총 150여개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면의 형상계수가 구속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P로 보강된 장방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기둥에 비하여 구속효과가 28%에서 67%까지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정방형 형태는 장방형 형태에 비하여 약 20% 정도 증가되는 구속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FRP 보강에 대한 구속효과 산정식은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실무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속효과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6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valuates the shear strength, behavior and failure mod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deformed GFRP reinforcing bar. Four concrete beam specimens were constructed and tested. It was carried out to observe failure behavior and load-deflection of simply supported concrete beams subjected to four-point monotonic loading. Load-deflection for FRP reinforced concrete beam member were predicted.
        6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FRP를 이용한 보강에서 낮은 내화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보강된 FRP의 외부를 내화보강하는 방법에 대한 내화실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피복에 홈을 형성하여 FRP를 매입하는 보강 즉, NSM보강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서의 주요 변수는 보강방법과 사용 내화재료로서, Perlite계 재료를 표면에 분사하여 보강하는 방법, Calcium silicate계 보드로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 그리고 추가로 홈내부에 Polymer mortar 또는 Calcium silicate조각을 삽입하여 보강하는 방법으로 보강한 뒤 가열로 내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전달을 관찰하였다.실험결과, Perlite계 내화뿜칠로 표면을 보강하는 경우보다 Calcium Silicate계 내화보드로 표면을 보강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홈 내부의 에폭시가 유리전이온도에 도달할 때의 외부 표면온도 820℃까지 내화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4.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성능 개선을 위하여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사용량, CFRP시트 보강 유무에 따라 총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 NER 시리즈의 경우, 표준실험체 NBS와 비교하여 12~46% 내력이 증가하였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보다 최대내력이 22~77% 증가하였다. 그리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으로 보강된 실험체 NER 시리즈는 부착슬립, 피복분리 형태로 파괴되었으나,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을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CFRP시트의 연속보강에 따른 콘크리트 구속효과 및 모재와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부착강도 증가로 인하여 부착슬립의 형태로 파괴되었다.
        6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using Groove and Embedding FRP Rod and CFRP Sheet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est result shows that retrofitting specimen(RBCJ-SR2, SRCB2) designed by the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load-carrying capacities were increased 1.78 ~ 2.29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6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lexural behavior of concrete beams with steel bar and FRP reinforcement.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the influence of the flexural stiffness, cracking, deflection behavior. Specimen with FRP reinforcement showed a higher strength than specimen with only steel bar. Concrete strength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in flexural strength and ductile deformation.
        67.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hat flexural behavior evaluated High-strength Concrete Beams reinfrced with FRP plates according ro replacement ration of recycled aggregate. As a result, maximum load was higher than existiong of unreinforced when the reinforced with FRP plates and no decrease in load about increased fo replacement ration of recycled aggregate. Some specimens was greater than ACI 440-2R referemce value.
        68.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optimal performance based seismic retrofit method for fiber-reinforced polymer (FRP) jacket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RC) frames is presented. This optimal method minimizes the amount of FRP material while satisfying the constraints on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maximum strain of concrete, and shear failure prevention of columns. Both of shear reinforcement for preventing shear failure of columns and flexural reinforcement for improving the flexural capacity of columns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This method is applied to 3-story RC frame and the reinforced locations and the numbers of FRP reinforcement plies are obtained.
        6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has been widely used due to its high performance per price ratio. However, its durability is highly depended on the temperature, so it requires reinforcement on concrete structures. In this study, a long-term behavi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 concrete strengthened by FRP tested on the freeze-thawing time increases, freeze-thaw evaluat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as the frequency of freeze-thaw cycle increases, the flexural strength decreases, and the reinforcement effect, in turn, decreased. On the other hand, as the frequency increases, detachment at the binding site occurred due to the decreased durability of concrete
        7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retrofi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ve been widely performed for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owever, in spite of the weakness of FRP for fire, the research result of it is not enough for practical use. In korea, fire is most frequent disaster which occurs in building. This means the improved structural capacity of building by a retrofit with FRP may be lost by fire if the FRP was not properly protected from it. In this paper, a fire analysis result is presented for the evaluation of damage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 enhanced by FRP. As a result, the loss of strength of RC member is able to be predicted by using FE analysis with proper material properties for temperature variation.
        7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retrofi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ve been widely performed for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owever, in spite of the weakness of FRP for fire, the research result of it is not enough for practical use. In korea, fire is most frequent disaster which occurs in building. This means the improved structural capacity of building by a retrofit with FRP may be lost by fire if the FRP was not properly protected from it. This paper present a fire test of concrete block reinforced by FRP. From the test, it was found that the bond capacity of FRP attached to concrete decreased from temperature loading of 65℃.
        7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형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FRP를 구조부재로 활용한 신설 구조물 시공을 위해서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FRP 부재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FRP 곡면부재는 수작업 (hand-lay-up) 또는 필라멘트 와인딩 (filament winding) 작업에 의해서만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대량 연속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발성형법 (pultrusion method)으로 생산된 FRP 부재가 상대적으로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FRP 부재를 일정곡률을 유지하며 인발로 뽑아낼 수 있는 신개념의 곡면 FRP 부재 인발성형법 제안 및 성형장비를 개발, 곡면 FRP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곡면 FRP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시 야기될 수 있는 FRP와 콘크리트 부착면의 동결융해 영향을 분석하였다.
        7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uctural Performance Test of FRP-Concrete Composite Deck according to Existence of Shear Connecting Plates by Long Term Exposure was performed to study the Performance Evaluation. As the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is deck has sufficient service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as a bridge deck.
        74.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evaluate experimentally the long-term behavior of concrete beam with FRP Bars. All beams reinforced with steel, GFRP, AFRP and CFRP were under sustained loading for approximately 300 days. As the results of test, it found that calculated results obtained from ACI 440.1R-06 were overestimated comparing to test results, and it exhibits the variability of the long-term deflection factor along the types of FRP bar
        75.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using high performance FRP material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est result shows that retrofitting specimen(LBCJ-CRU, CRS, CRUS) designed by the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load-carrying capacities were increased 1.30~1.54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76.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FRP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으로서, 표면매입 보강 (Near-Surface-Mounted Retrofit, NSMR)방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방법은 콘크리트에 홈을 형성하는 추가의 작업이 필요하지만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고 FRP가 표면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표면매입 보강공법 즉, FRP판을 세워서 표면에 매입보강하는 공법의 보강효과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보를 제작한 뒤 기존의 표면부착 보강과 표면매입 보강을 실시한 뒤 실험을 통하여 보강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매입보강의 경우에는 중앙부를 부분적으로 비부착시켜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FRP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보강방법으로서 FRP판을 세워서 표면에 매입하는 보강방법은 기존의 판 부착보강에 비하여 높은 보강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I 440-2R의 휨보강시 내력산정방법을 따르고 정착부분의 세가지 파괴형태를 고려함으로써 표면매입 보강된 부재의 내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7.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격 하중 재하 실험의 경우 빠른 하중 재하 속도로 인해 실험 데이터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부재의 국부적 손상을 측정하지 못함으로써 부재의 동적 거동을 왜곡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격 실험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명시적(explicit)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이용하여 FRP Sheet 및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저속 충격 하중 하에서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 모델은 1방향 및 2방향 부재이며 충격 하중 재하 시 부재의 국부적 파괴를 고려하고 있다. 해석결과 강섬유에 의해 보강된 SFRC와 UHPC 부재의 경우 충격 저항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FRP Sheet로 보강한 경우 GFRP가 CFRP보다 우수한 충격 저항 성능을 보였으며 FRP Sheet의 방향성에 의한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해석은 충격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그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78.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단열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중단열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은 내/외측에 두 개의 콘크리트 벽체와 중앙부 단열재로 구성되어,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중단열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을 구조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와 단열재 부착면의 전단내력에 대한 검증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파형 FRP 전단연결재로 보강한 중단열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의 전단연결재의 매립깊이, Pitch, 폭에 따른 전단내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동일단면적에서 Pitch가 넓은 경우 전단내력이 소폭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매립깊이가 깊을수록 전단내력을 증가하였고, 폭 12mm 와 18mm의 경우 각 각 35, 40mm 이상의 매립깊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79.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퍼포본드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로 이용한 합성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의 합성이용은 재래적인 방법에서 필요한 거푸집 조립 및 탈형 등의 작업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FRP 판과 콘크리트가 합성 구조체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FRP 판의 표면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FRP 판에 잔골재를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FRP 판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였다. 합성보에 추가적인 휨 및 전단보강은 하지 않았다. 비교를 위해 두 가지 종류의 비교 실험시편을 제작하였다. FRP 판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은 비교 실험시편과 FRP 판 대신에 철근으로 보강한 비교 실험시편이다. 모든 시험체는 중앙에 집중하중을 재하하여 파괴까지 실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 퍼포본드 FRP 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영구 거푸집 대용 및 인장 보강재로도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80.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설 사업에서 FRP를 단순 부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수보강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지속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크리프와 건조수축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하여 FRP의 보강효과도 달라지며, 처짐 및 변형의 회복성능, 잔존 내력 역시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CFRP, GFRP가 휨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보강 성능을 파악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하중을 제거하여 장기 변형 및 처짐의 회복성능을 파악하고, 잔존하는 내력을 알아보고자 정적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한 결과, FRP 보강 실험체는 즉시 처짐을 제어하는 측면은 매우 효율적이고, 즉시변형 회복량 또한 즉시 변형량보다 큰 결과를 보였다. 잔존강도 실험을 통하여 CFRP로 보강된 실험체가 가장 큰 내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RP로 보강된 보는 지속하중에 의한 부착성능 및 잔존내력에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