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62.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구조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화재 시 폭렬과 함께 취성적인 파괴를 나타내는 단점으로 인하여 내화설계 시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제어를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섬유(PP섬유)의 혼입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여러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고 되었으나, 이들은 대부분 콘크리트 공시체를 대상으로 한 내화실험의 결과로서 최적의 PP섬유 혼입량에 대한 부재수준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설계를 위한 최적의 PP섬유 혼입량을 제시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강도와 PP섬유의 혼입량을 변수로 하는 기둥부재의 내화실험 및 잔존강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 할수록 기둥 실험체의 잔존 축강도비는 증가하였으며, PP섬유 혼입량을 0%에서 0.2%까지 증가 시킬수록 기둥의 잔존 축강도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적의 PP섬유 혼입량으로서 0.2%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76.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used packing in view of energy saving and efficiency of mass transfer, comparing with conventional pac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wing to low pressure drop under high load, 25㎜ NSW-ring, pp. can cause energy saving 2. The unique magnitudes of used packing are as follows C_o=5.78, m = 0.67, n = 0.46 3. Used packing can make high efficiency including energy saving because of low pressure drop per the number of transfer unit. To rate the characteristic of packing, it should be carried out that the measurement of pressure drop per packing height and per the number of transfer uni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used packing by earring out above experiment and could be used as basic reference for design and predicting efficiency of packing tower which is filled with same packing.
        77.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담수직파재배법 확립을 위하여 질소시비수준, 생장억제제, 그리고 파종밀도를 달리하여 담수표면직파재배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 시비 수준, 파종 밀도에 따른 수량의 변이에는 처리간 아무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그 원인은 심한 도복 발생으로 생각된다. 2. 생장조절제 PP333의 처리에 의한 간장은 3-4Cm 짧아졌으나 이것이 도복억제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3. 담수표면직파의 경우 단위 면적당 영화수를 최대로 하는 적정파종량은 6Kg 종자 / 10a 수분이었다. 4. 담수표면 직파 재배에서 안정된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도복 억제가 필수적이며 이는 재배법을 통해서 보다는 도복 저항성 품종의 개발을 통해서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78.
        198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p333 조정제가 대두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p333 수용액을 파종후 35일과 개화기에 각각 8, 5, 3% 농도로 엽면살포하여 이에 대한 재생육형질과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경화는 조기 그리고 고농도 처리에서 다소 큰 경향 이었다. 2. 절간별 단경화의 효과는 조기처리에서 1∼3절, 5∼7절과 9∼11절 등 하, 중, 상위절에서 컸으며 후기처리는 1∼3절과 10∼12절에서 컸다. 3. 절간별 경태는 조기처리에서 1절 4절과 6절 이상에서 후기처리는 4적과 8절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4. 건연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처리구는 개체당 0.2∼0.5g이 감소하였고 감소도는 조기처리에서 컸으며 농도간에는 별차가 없었다. 5. 건근중은 개체당 0.3g으로 처리간에 관계없이 무처리와 동일하였다. 5. 절간별 입수 및 입중은 조기처리에서 5절이상 후기처리에서 1∼3절 사이에서 감소경향이었고 농도간에는 고농도에서 증감변화가 컸다. 7. 도복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단경화가 촉진되고 100입중의 감소가 없이 안전한 수량성을 나타낼 수 있는 조기 5% 농도처리가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