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6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of high thermal conductive concrete and its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re evaluated. Magnetite aggregates with volume ratio of 42.9%(max.) and steel powder of 1.5% are replaced with normal aggregate and their are evaluated. Several models for thermal conduction like ACI, DEMM, and MEM are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and they are verified to reasonably predict the thermal conductivity with increasing addition of magnetite aggregates and steel powder.
        6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natural fine aggregates(NFA) and recycled fine aggregates(RFA) was applying 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To replacement of OPC,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was used and incineration ash and recycled aggregates powder were used as alrali activator, Fundamental performances of lightweight famed concrete has been tested. Results showed that as the increase of foam conduction ratio, the strength and the density has been decreased
        63.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Crushed-stone sludge obtained from production processing of crushed aggregates were recycled to manufacture artificial aggregate. Compressive strength , Elastic modulus, Splitting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freeze/thaw, Carbonation test were conducted for artificial aggregate concrete. The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strength and freeze/thaw and depth of carbonation resistance of concrete using crushed-stone sludge aggregate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crete using normal crushed stone. but elastic modulus, splitting and flexural strength were lower than those of concrete using normal crushed-stone
        6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is widely used to evaluate the internal condition of concrete without loss of the structural integrity. In this study, the specimens were made for the varying the lightweight fine aggregates replacement rate of 0, 50, 100%. These specimens were used to measure the ultrasonic velocity and maximum frequency were analyzed. As Lightweight fine aggregates substitution rate was increased, the ultrasonic velocity and the maximum frequency bandwidth were also increased
        6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various difference sizes of lightweight fine aggregates were used to make concrete specimens. The pressure waves, ultrasonic velocity and maximum frequency were measured for the specimens. Initial ultrasonic velocities were influenced by the sizes of lightweight fine aggregates, but not by the maximum frequency bandwidth.
        6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roperty of concretes using surface treated lightweight aggregate. Slump of concretes using surface treated lightweight aggregate measured 120~140mm, which are lower than slump of NWAC. Compared to compressive strength of NWAC,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s using surface treated lightweight aggregate showed a level of 82.8~95.9%.
        6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중을 받는 대상제체의 하중경감과 구조물의 경량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법은 기존의 인공경량성토공법을 개선한 공법으로써 다공성의 경량골재인 bottom ash와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는 슬러리에 기포제를 혼합 발포시켜 경량의 성토재료를 제조하고 이를 대상 구조물에 적용하는 기술이다. 이 공법의 소재인 기포혼합콘크리트의 경우도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 의존적 변형이 발생되고, 외기 환경에 노출되므로 내구성능 저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적용한 경량성토제의 시간 의존성 장기거동과 내구성 문제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작업으로 콘크리트의 배합인자별 역학적 특성 분석을 토대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기거동과 내구성 실험에 필요한 배합변수를 설정하여 그들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기포혼합콘크리트는 건조수축변형률이나 크리프 등의 장기거동과 동결융해 및 탄산화의 내구성 측면에 있어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bottom ash의 혼입이 저항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철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6개의 단순지지형 실험체를 제작하여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골재의 종류와 전단철근의 유무로 하였다. 실험체는 전단경간비가 2.5, 폭 200mm, 유효깊이가 300mm인 직사각형 단면으로 4점가력을 받도록 계획하였다. 기존 강도식을 사용하여 실험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였으며, 전단해석모델을 사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실험체의 전단거동을 예측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실험체의 전단 성능은 천연골재를 사용한 실험체와 서로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9.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순환 굵은 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RC) 보의 부착거동을 평가하였다. 총 4개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실험변수는 굵은 골재의 종류(천연 및 순환골재)와 순환골재의 흡수율로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흡수율이 3%와 6%인 순환 굵은 골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체는 단순지지 형태로 집중하중을 받도록 계획하였다. 실험체의 부착특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Ichinose가 제안한 실험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실험결과, 순환 굵은 골재의 흡수율에 따른 부착 특성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7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장기 지속하중을 경험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특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된 실험결과를 다룬 내용으로 이를 위하여 천연골재를 사용한 시험체, 순환굵은골재로 100% 대체된 시험체와 순환잔골재로 50% 대체된 시험체 등 총 3개의 보가 계획 및 제작되었다. 1년간 재하된 지속하중을 경험한 이후 파괴시까지 다시 재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단기 휨거동에서 초기 강성 및 최대내력은 골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최대내력시의 강성이 순환골재를 사용한 경우 천연골재에 비해 28 및 23% 작게 나타났고 인장철근 및 압축측 콘크리트의 변형률도 순환골재를 사용한 시험체가 천연골재를 사용한 시험체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순환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실험값을 ACI규준 의한 계산값과 비교한 결과 크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천연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와 대등한 휨 성능을 보였다.
        73.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골재의 화학적 안전성을 진단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암석기재학적 시험(ASTM C 295)에 관한 연구로서, 이 연구를 위하여 골재의 입도 분석, 피막 검사, 풍화 ·오염상태, 암석학적 기재, 그리고 알칼리-골재 반응성 광물 및 암석의 정성·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남 울진군 매화천 유역 A, B 지역의 하천 골재에 대하여 암석기재학적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 풍화상태는 F(신선) 등급과 WS(약간 풍화) 등급이며 골재의 피막과 오염 상태는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 알칼리-골재 반응 광물이나 구조적으로 취약한 암석이 함유된 골재는 매화천 A 지역 골재 전체의 26 wt.%, B 지역은 19 wt.%로 집계되는데 이는 양호한 골재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화학적 방법과 몰탈바 방법으로 더욱 정밀한 시험을 거쳐 안전성이 확인되어야 한다.
        74.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weathering products of anorthosite were investigat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trace the development of halloysite particles and aggregates. Tiny short tubes or spheres precipitate on the plagioclase surface in the initial stage of weathering and form the compact globular aggregates. With continued growth, several globules are coalesced into wrinkled halloysite aggregates, and short tubes or spheres in globules grow into long tubes forming sheaf-like aggregates. Particle shape of halloysite varies with changing supersaturation degree of weathering solution, and determines the morphology of halloysite aggregate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