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6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얀마는 생태적 다양성과 함께 풍부한 수량, 비옥한 토질 등 양질의 농업환경을 갖고 있다. 1960년대 동남아의 최대 쌀 수출국이었던 미얀마가 농업 후진국으로 전락한 것은 농업에 대한 열악한 투자와 자본과 기술의 부족으로 농업의 기계화나 비료 사용이 극히 제한되어 농업생산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얀마 농업분야의 현 상황을 검토한 후 한국의 발전과정에서 도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얀마의 농업개발을 위한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미얀마의 농업과 농촌발전을 저해하는 제약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생산비용에 비해 낮은 품질의 농산품, 낮은 생산성, 농업인프라의 부족 등 농업생산분야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불안정한 수급에 의해 농산물가격의 급격한 변동 및 저장시설부족으로 인한 농산물마케팅에 문제점가 있다. 셋째, 농업 연구 및 지도 관련기관 직원들의 기술 및 지식수준이 매우 낮으며, 낙후된 시설과 장비부족 등으로 농민들에게 제한적인 농업기술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넷째, 농촌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한 금융시스템이 설립 당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효성이 매우 떨어진다. 다섯째, 정부내 연구 및 지도기관간의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지질 않아 농업연구결과가 현장에 연결되는데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미얀마의 농업발전을 위해 한국의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경우 미얀마의 현재보다 더욱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1960년대부터 녹색혁명과 백색혁명 및 새마을운동을 통한 복합적인 농업개발을 통하여 농업분야를 포함한 성공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한국의 경험으로부터 미얀마의 농업개발을 위해 제시되는 중요한 교훈은 시대환경과 흐름에 맞게 농업정책이 조정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의 발전경험을 중심으로 미얀마의 농업발전을 위한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의 생산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농업용수 개발 및 관개시설의 개선사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전문기관을 신설 또는 조정하여 연구와 농촌지도를 통해 생산현장에 새로운 기술을 전파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둘째, 농촌지역을 활력화 시킨다. 농촌인프라를 개선하고, 농촌금융을 선진화하며, 새마을운동을 통한 정신계몽을 추진하는 등 농촌지역을 활력화 시킨다. 셋째, 농산물 도매시장과 농산물의 가공저장시설의 건설 및 유기적인 유통체계를 구축하여 농산물유통체계를 개선한다.
        4,900원
        6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최근 농림수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농업·농촌부문 국제협력사업의 규모 및 협력 대상지역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가 전수할 수 있는 경험, 기술의 목록(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농업·농촌부문에서 적용할 수있는 국제협력 모델 수립을 위하여 이들 경험과 기술을 기초로 한 원조 프로그램을 7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원조 프로그램은 미곡 생산성 증대 및 산업화 체계 구축, 원예작물생산성 증대 및 산업화 체계 구축, 축산업 발전체계 구축, 농업 인프라 구축, 농업기술 개발 및 보급, 지도, 농촌종합개발,그리고 농업정책 종합 컨설팅 등이다. 협력사업은 역량개발,컨설팅, 시설장비물자와 같은 현물지원 등 세 가지의 형태로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원조 프로그램이 협력사업으로 추진되는 경우의 추진 주체는 정부와 민간부문(기업, NGO), 국제사회 등으로 효과적인 역할 분담과 원조조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농업·농촌부문에서의 추진주체간 협력형태는 “선진화 방안”의 표준 “원조모델”을 참고하여 정부-NGO간 협력 사업 형태, 정부-기업간 협력 사업 형태, 정부-국제사회간 협력 사업형태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에 부응하여농업·농촌부문에서 협력대상국에 적용 가능한 개발경험과 사업기술 항목들을 발굴, 선정함으로써 국가 전체의 개발협력 기본방향에 부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 개발경험과 사업기술 항목들을 참고하여 대상국의 요청에 맞는 세부 사업내용을 협의함으로써 농업·농촌부문 협력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농식품부와소속기관에게 원조 프로그램과 추진주체의 역할 및 협력형태등에 대한 기본적인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사업간 조정능력이 제고되고 사업추진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농촌부문에서 협력대상국은 우리나라의 개발경험과 사업기술 및 이를 토대로 수립된 협력 모델을 근거로 하고, 또한 자체 개발전략과 공여국기구의 국별협력전략 등을 참고하여 적합한 사업을 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맞춤형 협력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선정된 경험, 사업기술을 중심으로 협력사업이 추진될 경우 관련인력, 조직기관의 역량이 제고되어 지속가능한 사업이 될 수있게 하는 것이 향후 협력대상국의 농업·농촌부문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6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semination process of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results has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typical R&D results.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adequately considered on the basis of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performance system, the resulting management plans, and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results of agricultural R&D in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exposed the problem of the inadequat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areas, particularly the lack of unified R&D-related institutions and the inadequacy of the system to monitor outcomes.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in the agricultural R&D programs in Korea, the policies pertaining to agricultural R&D performance, results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in the U.S. and Japan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we proposed strategies to improve the agricultural R&D policies in Korea.
        6,900원
        6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 th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four major agricultural insect pests including B. tabaci, M. persicae, P. xylostella and T. urticae, electron-beam was irradiated with different doses of 30, 50, 70, and 100 Gy. The effect of electron beam wa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longevity, egg hatching, emergence, and fecundity. Eggs hatching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were more inhibited as increased irradiation doses. Especially B. tabaci and T. urticae eggs were perfectly inhibited to hatch at a dose of 100 Gy. However, these pests showed no lethal effect on the nymph/larva, pupa, and adult stages. When irradiated on the eggs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the emergence was inhibited from nymphs/larvae to adults. Individually, B. tabaci emerged adult did not lay eggs at a dose of 70 Gy. Besides, fecundity of P. xylostella emerged adult decreased at a dose of 100 Gy. On the contrary, irradiation did not affect the longevity of P. xylostella adult. When irradiated on B. tabaci, P. xylostella, Myzus persicae and T. urticae nymphs/larvae, emergence was inhibited at doses of 70 and 100 Gy, and decreased the fecundity and inhibited the hatching of laid eggs. However, the longevity of adults did not affect
        66.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strategies for domestic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So far, it grows quantitatively so fast, but because of lack of continuous management, it does not work properly. Previous studies have some outcome for vitalization of e-commerce, but they have limits that they neglect rapid changes of e-commerce circulation structures and practical problems farmers go through when they sell their products. This study deals with these problems more than previous. The first phase of this study analyzes two cases of overseas successful and failure e-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example, Wine.com and Webvan.com. The second phase analyzes As-Is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domestic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Finally this study asserts three strategies for domestic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Web 2.0 environment.
        6,100원
        68.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aper mainly deals with the strategic position and vital function of prataculturae in agricultural area of the central plains of China, and analysi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inciple problems of prataculturae in agricultural area, such as unsound ideological recognition, deficiency relevant policies, and unset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prataculturae. And poses the corollary commitment measure to develop prataculturae in agricultural area, for example, to develop biology feeds and return it to soil as animal excrements, implement the "grain crops, cash crops and forage crops" strategy into practice, strengthe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enhanced pratacultural development, enlarge raising scale, promote grass industrialization, strengthen project management to promote grass industry level, reinforc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enhance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scientific research achievement, and realize the leaping development of prataculturae.
        7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