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61.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예술 및 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하여 필요성, 확대방안, 확대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외국의 예술·체육 활동 사례와 학부모 및 교사 의견 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사와 학부모들은 예술·체육 활동의 확대될 경우 학교생활이 즐거워 지고, 학생의 인성과 사회성 및 협동심이 함양될 것으로 보았다. 초등학교 1, 2학년의 수업시수 를 증대할 경우 확대될 필요가 있는 교육과정은 교과보다 음악, 미술, 체육 등의 활동으로 나 타났다. 교사와 학부모간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국어, 수학,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 활보다 음악, 미술, 체육, 놀이, 기타의 예술·체육 활동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 하였다. 이것은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예술·체육 활동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업시수를 증대하는 방법으로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찬 성하였으나 교사들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예술·체육 활동 확대의 필요성에 원 론적으로 찬성하지만, 현실적으로 업무 부담을 우려하여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 업시수 증대는 장기적 차원에서 고려하되 현실적으로는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예술·체육 활 동을 확대하는 방안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 운영할 때 예상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시설이나 공간이 미비하거나 프로그램이 빈약하다는 것이다. 특별교실이나 체육관, 운동장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예술· 체육 활동을 할 적절한 장소를 확보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학교의 현실적 여건을 반영 하여 예술·체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알맞은 시설과 공간 및 관련 프로그램이 제안되 어야 할 것이다.
        6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ing an experimental test of frequency response function, it was found that the heavy-weight impact noise and the concrete slab acceleration response was amplified by interaction of the finishing mortar and the resilient material of floating floor in low frequency range.
        6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eeks to characterize the dynamic behaviour of each section and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using centrifug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es. The model test was verified by the comparison of the test results with those of numerical analyses, and the natural frequency for the composite dam with concrete-rockfill was proposed as like the same centrifug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es.
        64.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조물과 지반상호간의 동적 특성을 보다 신뢰성 있게 분석하여 지진재해로부터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지반의 증폭특성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Nakamura(1989)에 의해 제시된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방법은 얕은 지반의 상시미동의 표면파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나. 최근 S파 및 Coda파 등에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 특성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 S파 에너지에 적용하였다.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후쿠오카 본진을 포함하여 규모 3.0이상의 모두 12개 중규모의 후속 지진으로부터 국내 관측소에 관측된 255 여개의 지반진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8개 주요 국내 지진관측소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진동수,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기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면 국내 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줄 수 있다.
        6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about 16 species included in Fagopyrum (Polygonaceae) genus and some of them have been found recently and named. Fagopyrum genus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major groups: cymosum and urophyllum group.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of Fagopyrum genus, to compare with the phylogeny result of Fagopyrim using previous analysis results,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each species specific marker by executing the cross-amplification on 3 species and 2 sub-species among cymosum group and 5 species among urophyllum using 136 SSR markers newly developed from common buckwheat. Cluster analysis using UPGMA showed two main clusters, each of the cymosum and urophyllum group. This result agree well with the previous findings on species relationships in Fagopyrum using different method approachs. In cross species amplification, our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transferability of F. esculentum microsatellites to the 4 cymosum species (96.3% in F. esculentum ssp. Ancestral, 61.0% in F. tataricum ssp. tataricum, 36.0% in F. tataricum ssp. potanini, 97.1% in F. homotropicum). However, the percentage of 136 SSR markers were amplified in the urophyllum species (50.7% in F. urophyllum, 50% in F. lineare, 60.3% in F. leptopodum, 66.9% in F. capillatum, 66.2% in F. gracilipes) was lower than cymosum species, except F. tataricum. In addition, we identified 61 species specific markers among each species. These results demonstrate wide potential applicabilityof these markers for the study of inter-specific genetic diversity as well as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cultivated and wild buckwheat.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