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4

        6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발생지인 구례 지역의 산수유, 때죽나무를 중심으로 2018년 8월에서 9월 사이에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난괴를 채집하여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spp.)의 온도별(15℃, 20℃, 25℃, 30℃) 발육기간, 수명 및 우화 후 15일간의 총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2.6일, 유충 5.4일, 번데기 15.0일, 30℃에서 알 1.9일, 유충 7.6일, 번데기 13.7일이 소요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 성충의 온도별 수명은 15℃에서 암컷 77.4일, 수컷 66.6일, 20℃에서 암컷 49.0일, 수컷 44.0일, 25℃에서 암컷 27.6일 수컷 28.4일, 30℃에서 암컷 18.0일, 수컷 14.0일로 암수 모두 사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명이 짧아졌으며 15℃와 30℃에서만 암수 수명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도별 총 산란 수는 15℃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사육온도에서 산란 수 차이는 없었으나 25℃에서 평균 23.2개로 가장 높았다.
        6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Korea, two species, Anoplophora chinensis and Anoplophora glabripennis, have been recorded until now. Recently, outbreaks of Anoplophora spp. were reported locally in Seoul, Ulsan, Incheon, Gimhae, and Jeonju from 2015 to 2017. In this study, Anoplophora spp. were collected in the four regions, Ulsan, Incheon, Gimhae, and Jeonju, and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oplophora spp. collected from several local regions. Twelve COI sequences of the Incheon/Gimhae/Ulsan/Jeonju populations in A. glabripennis were identical to KY357648, KY357652, and KY357651, and two COI sequences of Ulsan populations in A. chinensis were identical to AB439163. These sequences were generated from Chinese and Japanese Anoplophora samples by foreign researcher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he invasion of Chinese and Japanese populations of Anoplophora spp. into Korea.
        6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otene, xanthophyll, carotenoid anthocyan, phycopyrine, chlorophyll, and monascus pigments are used as natural coloring agents since they are more stable to human body than synthetic coloring agents. Among them, monascus pigments are a natural red pigment produced by the Monascus purpureus. For the development of edible paint using natural pigment, Monascus purpureus strain was cultured at a temperature of 35℃ for 15 days on a PDYA plate and liquid medium to produce a red pigment.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the red pigment was extracted from Hongkuk Koji in parallel with water extraction and ultrasonic wave extraction. At this time, the yield of ultrasonic extract was 2~4 times higher. Thus, Monascus purpureus strains, etc.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powder. In conclusion, natural paints made with red pigments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been edible paints that can be used as eco-friendly materials with good viscosity, enhanced spread ability and coloration.
        4,000원
        7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품종 간 변이의 폭이 좁은 포도속(Vitis spp.)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탄저병 저항성 품종을 판 별하기 위해 국내 주요 재배 품종 및 유전자원 159품종을 공시하고,Colletotrichum acutatum과 C. gloeosporioides를 엽면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Genotyping-by-sequencing(GBS) 방 법을 이용하여 포도나무 품종 간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 acutatum을 접종한 잎에서는 58품종은 감수성을, 17품종은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C. gloeosporioides를 접종한 경우에는 34품 종이 감수성을, 25품종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두 균주에 대해 공통적으로 저항성을 보인 품종은 ‘Agawan’, ‘Huangguan’, ‘Xiangfei’ 등 8품종이였으며, 이들 대부분은 유럽종과 미국종의 교잡종으로 분류되었다. 유럽종에 기원한 ‘Emerald Seedless’, ‘Tano Red’, ‘Rem 46-77(Aestivalis GVIT 0970)’ 등의 품종들은 대부분 감수성으로 판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보된 병 검정 및 유전 분석 결과는 포도나무 병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포도나무 탄저병 저항성 품종들을 개발하고 육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육종 소재 및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7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ursaphelenchus xylophilus, commonly known as pine wood nematode (PWN) and pathogen of pine wilt disease, is transmitted to new host trees through Monochamus spp.. In this study, five points were set 1 km apart placing the interface of the damaged area in the middle to measure density of the beetles and confirm the presence of PWN in Chungcheongbuk-do, Republic of Korea. The vectors collected from five traps on each point were sorted on weekly basis until the 12th week.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PWN in each collected vector by PCR with species-specific ITS primers.
        7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갈색날개매미충 알기생봉의 주요발생지인 구례, 순천을 포함한 총 5개의 지역에서 월동난괴를 채집하여 산란특성 및 월동률을 조사하였다. 야외에서 2차례(12월,4월) 채집해온 월동난괴를 실내조건(25 ± 1℃, 40~60% RH, 16L:8D)에 두고 월동률 및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순천과 구례가 각각 월동률 19.69%, 18.17%, 치사율 5.89%, 4.88%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평균수명인 약 20일 동안의 산란 분포는 주로 우화 후 1~5일 사이에 전체산란 수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우화 1일 후에 평균 산란 수 9.2개로 가장 높은 산란력을 나타냈다. 실내에서 하루 중(2시간 단위) 알기생봉의 산란은 주로 20:00-24:00에 분포하였으며 소등(24:00) 후 2:00부터 다시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7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 wing drosophila(Drosophila suzukii)is one of the serious fruit pest that has a wide range of fruit crops like blueberries, cherries and grapes. It came up the larvae cause dagmage by feeding on the pulp inside fruits and berries and spotted wing drosophila also has a adversely affect export to Austrailia and New zealand as a quarantine pest. This study conduct to survey occurrence of drosophila spp. from 2016 to 2018 on harvest period of grapevine in vinyard of Okcheon ,Yeongdong and fruit packing place for export to New zealand and USA. Vinegar and wine mixture was used to attract fruits flies. We also investigated to what color is the best stimulus to catch a vinegar flies. Our result show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otal flies trapped in red and black colo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for monitoring and control drosophilid flies.
        79.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지역 도축돈 및 도축우의 폐렴병변에서 Mycoplasma spp.의 발생 분포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부천 소재 도축장에 출하된 소와 돼지의 폐에 대하여 육안적 검사를 하고, 이 중 병변을 보인 소 192두와 돼지 257두의 폐에 대한 PCR 검사 결과, Mycoplasma spp.는 소에서 147두(76.5%), 돼지에서는 203두(80.9%) 에서 각각 검출되었다. 소, 돼지 각각의 Mycoplasma spp.에 대한 세부 primer를 이용한 검사 결과에서는 소에서 M. agalactiae가 16두(8.3%)에서 검출되었으나, M. dispar, M. bovis 및 M. bovirhinis는 검출되지 않았다. 돼지에서는 M. hyo-pneumoniae가 74두(28.8%), M. hyorhinis가 13두(5.1%) 검출되었다. M. hyosynoviae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기지역 도축우 및 도축돈에서 Mycoplasma성 폐렴이 상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