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8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 신품종 '올캐'의 특성을 구명하고, 화경제거 유무 및 제거방법이 '올캐'마늘과 '남도'마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올캐'마늘은 추대기 및 수확기가 '남도'마늘보다 20일 정도 빨랐다. 지상부 생장은 '남도'마늘보다 떨어졌으나 뿌리 발달은 좋았다. 각 품종의 수확적기에 수확할 경우 구 중량은 '남도'마늘이 '올캐'마늘 보다 20% 정도 많았다. 40g 이상의 대구 비율도 '남도'마늘이 48%로 '올캐'마늘 25%에 비해 두배 정도 많았다. 인편수는 '올캐'마늘이 '남도'마늘 보다 1.9개 정도 많았다. 열구 발생률은 '올캐'마늘이, 저장중 부패율은 '남도'마늘이 높았다. 화경을 제거할 경우 무처리에 비해 잎마름 속도가 빠르고 그 정도도 심했으나 화경제거 방법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엽면적은 잎마름률과 같은 경향이었다. 수확 50일 후의 구중은 화경 제거구가 무제거구에 비해 '올캐'마늘은 11%, '남도'마늘은 13%정도 많았다. 40g 이상의 대구 분포비율은 화경제거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올캐'마늘은 약 27%, '남도'마늘은 약 44% 정도 많았다. 따라서 두 품종 모두 화경을 제거해 주는 것이 대구 생산에 유리하며 특히 '남도'마늘은 화경제거 효과가 컷다. 화경제거 방법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열구 발생률과 저장중 부패율은 화경제거 유무 및 제거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000원
        82.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한 협치 기제로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이 의무화되고, 2010년 현재 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종결 및 2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에 도래하였다. 하지만 1기 평가의 미진, 파행적 계획과정의 답습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구속력, 강제력 강화를 위하여 사회복지조직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의 G구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중심 거버넌스 이론, 조직요건 및 전문적 관료제적 측면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관 중심의 편협한 위원선정, 관 중심적 협의체 영향력 행사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적 관료제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주무관이 상근간사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표협의체-실무협의체-실무분과의 계층적 조직구조를 부정하고 개별적인 조직으로서의 활동을 조장하고 있었으며, 관계 중심적․의무감의 조직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구성원의 역할 법제화를 통하여 위원들의 자주적 활동을 보장하고, 민간간사 또한 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정기적인 교육과 사업 평가의 공식화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비단 서울의 G구 뿐만 아니라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밑거름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7,700원
        83.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s stone buildings are varied in their types such as stone pagodas, stone lanterns, stone bridges, stoneworks, etc. These account for more than 30% over the entire cultural properties, but research achievements are lacking compared to wooden building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hape, role and transition of Tapgu, which had been used to set up boundary at a stone pagoda, one of the stone buildings. The 20th stone pagodas, which have relative accuracy in its forming year, have been studied around national treasure or treasure between 7th century and 9th century.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role and meaning of Tapgu, and at this writer's option, Tapgu is defined as follows: First, each structure plays a different role. A structure to pass the load in the upper part to the ground can be seen as a stair or a pedestal, but a structure to form double foundations can be considered as Tapgu. Second, Tapgu can be used to divide areas with stones or stepping stones. As a result, the shape, role and transition of Tapgu is as follows: Firstly, when it comes to its shape, Tapgu includes flagstone type, belt type, double foundation type, compound type. Flagstone type had been used to set up boundary at stone pagodas by using foundation stone, belt type by keeping apart from stone pagodas, and double foundation stone by installing dual foundation stones. Secondly, Tapgu is considered to set up boundary in the case of flagstone and plate stone, and acts like a structure which can prevent surrounding area of stone pagoda from coming up while being stuck around stone pagodas. Belt type was installed only for the purpose of forming boundary. At the bottom, double foundation stone had been used to pass the load in the upper part to the ground in the same way as the foundation stone in the upper part, and the boundaries were set varying the size. Thirdly, when it comes to the transition of Tapgu, flagstone type of boundary stone had been installed in the 7th century, and belt type of boundary stone had been mainly installed in the 8th century. And double foundation stone had been installed in the 9th century. Comprehensively, flagstone type and belt type had been made around the 7th and 8th century when Tapgu was regarded important and stone pagoda started to be built. At the turn to the 9th century, the role of Tapgu had been increasingly losing in the construction of stone pagoda, and foundation stone started to appear.
        4,600원
        8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mbolic meaning of pattern designs attached on the main building of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CPG). While most of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the value and evaulation of the CPG building in terms of architectural history, relatively little insight has been gained on the symbolic meaning and nature of the pattern designs. What kind of connections are related between the emblem of Governor-General of Chosun(Korea) and those of CPG? What symbolic meanings are engraved on the pattern designs? The researcher then took up the task of elucidating symbolic meanings of patterns and their relation to the building. The existing pattern on the outer wall of the CPG building consists of the symbol of sun(太陽輪), mums(菊花輪), and angle of stairs(雁木角). According to the Japanese studies of emblems, these visual elements symbolize ‘the sun of Japan’((日の丸) or ‘the emperor’, ‘the royal family’, and ‘rays of the sun’. Based on these preliminary finding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following in-depth connections: (1) relations with the emblem of Governor-General of Chosun, (2) relations with the emblems of local autonomous entity, Kyoungsung in Chosun. (3) relations with the emblem designs of the local provinces in Japan etc. In conclusion, patterns of the main building were not just an architectural decoration, but they had significant meanings utilizing design elements and methods adopted by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Japan. The patterns found at the ceilling and floor of hall in the CPG building were associated with the emblem of Governor-General of Chosun. Therefore, all the patterns of the CPG building are powerful symbols that have meanings for the colonial rule by using the shape and method of city identities that Japanese local provinces had enacted. That is,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they were designed for special meanings that Korean and Japanese are united as a single body(內鮮一體) for a subject of the Emperor of Japan(皇國臣民).
        5,200원
        8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π형 단면은 장대교량에서 경제적인 대안으로서 보강거더의 단면형상으로 채택되고 있지만, 동적 내풍안정성에는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π형 단면의 동적 내풍안정성을 향상시킬 방안으로 공기역학적 제진장치중 extensioner를 사용하여 비틀림 플러터 풍속의 향상을 도모하고, 가장 효과적인 extensioner의 단면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플러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등류조건에서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변장비 B/D=7.7~12.5를 가지는 총 6가지 기본단면에 9가지의 형상비를 갖는 extensioner를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변장비 B/D=7.7에서 가장 낮은 플러터 발생풍속을 보였으며, extensioner최적의 단면비는 α=30o~40o, a/b=0.59~0.84일때 β=12.8o~25o, b/ B=0.08~0.12일 때 효과가 우수하였다.
        4,200원
        8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붕장어에 대한 스프링형 그물통발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한 시험조업은 경남 거제시 능포 인근해역에서 2002년 9월25일~9월27일에 실시되었다. 시험어구는 현용어구인 15mm, 20mm 및 시험을 위해 제작한 25mm, 30mm 그리고 수산자원보호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35mm와 대조어구로써 통수공 6.7mm의 플라스틱 통발을 각각 50개씩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망목선택성은 Kitahara(1968)와 Fujimori(1996)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적정망목은 어체 동주와 체장과의 관계 그리고 망목선택성 Master Curve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835미로, 붕장어 537미(64.4%), 게류 225미(26.9%), 기타 73미(8.7%)였다. 2. 망목선택성 곡선의 Master Curve에서 최대 전장/망목(max. 1/m)의 값은 23.9로 추정되었다. 3. 붕장어 스프링 통발의 적정망목은 34.0mm로 추정되었다.
        4,000원
        91.
        200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 구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시험시 두 재료의 계면에서 파괴가 유도되어 순수한 부착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계면에 원형의 비부착면을 삽입하여 직접인발시험에 의해 부착강도를 측정하는 실험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새로 제안한 실험방법에 의해 계면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두 재료의 탄성계수비 및 비부착면의 면적 (균열률)에 따른 계면에서의 파괴에너지를 산정하였으며, 부재의 크기 및 하중에 대한 보정을 감안하여 무차원함수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부착강도 시험방법의 신뢰성을 입증하기 위해, 3가지 크기의 원형 비부착면(균열률 0.2, 0.4. 0.6)이 삽입된 신 구 콘크리트 복합시편(유황 폴리머 콘크리트+보통 콘크리트)을 사용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고 앞서 전개된 무차원함수로부터 계면 파괴에너지를 역산하였다. 시험결과, 모든 시편이 계면에서 파괴가 유도되었다. 또한 실험 데이터 및 해석결과를 분석하여 균열률이 0.4~0.6인 경우에 부착강도의 오차가 가장 적게 발생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4,000원
        9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 plug묘 육묘시 일장조절에 의한 우량묘 생산을 위해 자연일장을 대비로 하여 11.5시간, 12.5시간 및 13.5시간의 일장 하에서 월륜과 창녕대고 품종을 200공 plug tray에 육묘한 후에 직경 16cm pot에 이식하여 16시간의 일장 하에서 재배하였다. 엽수, 엽초경, 초장 및 엽초장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13.5시간 일장에서의 초장과 엽초경은 일장처리 20일 후에는 감소하였다. 일장에 따른 생육은 엽수 및 엽초경은 장일조건에서 생육이 좋았으나 초장 및 엽초장은 장일에서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장일조건에서 육묘한 것일수록 이식 후에 구가 크고 비대도 빨랐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육묘기간 중의 장일처리로서 도장의 억제 및 우량묘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93.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원관리형 자망.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해구의 자망.통발어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서해구의 대표적인 어종 중의 하나인 민어를 어획대상으로 하는 민어 연안 유자망어업과 피뿔고둥을 주 어획대상으로 하는 기타 통발어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조업실태와 대상어종의 체장조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구의 연안어업 총 허가건수는 12,944건(조업건수 7,558건; 2001년 12월말 현재)이며, 그 중에서 자망어업이 5,154건(조업건수 3,724건)으로 39.8%, 통발어업이 1,025건(조업건수 662건)으로 7.6%를 차지하였으며, 서해구에서의 조업율은 연안 자망어업과 연안 통발어업이 각각 72.3%와 64.6%로서 타 업종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2. 민어 유자망어업의 주어기는 7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이며, 주어장은 서해 남부 연안의 섬주변의 수심 약 15∼50m(주로 30m 이내)이고, 조업은 저질이 펄 또는 사니질인 해역에서 사리때를 전후하여 1일 1∼2회 1주일 정도 창조시 투망하여 1∼2시간 정도 어구가 조류에 표류하도록 한 후 양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민어 유자망어업의 현장조사 결과 어획된 139마리의 체장 범위는 43.0∼120cm이고, 모우드(mode)는 85cm였으며, 꽃게.병어.가오리 등이 소량 혼획되었다. 4. 서해구에서의 피뿔고둥을 주대상으로 하는 기타 통발어업은 꽃게 어기(9월 초순∼10월 중순)를 제외한 시기에 연중 조업하며, 서해 연안의 수심이 10∼20m이고 저질이 사니질인 해역에서 보통 전날 투망하여 다음 날 양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기타 통발어업의 현장조사 결과 조사기간 중 어획된 피뿔고둥 5,372마리의 갑장 범위는 4.5∼8.5cm이고, 모우드(mode)는 7.5cm였으며, 피뿔고등 91.7%, 배꼽고등 4.8%, 민꽃게.쥐노래미.조피볼락 등이 3.5% 정도 혼획되었다.
        4,000원
        94.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500원
        9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산단층이 지나는 한국 남동지방 지각의 QP-1 및 QS-1를 한국자원연구소가 설치한 9점의 지진관측소 자료를 바탕으로 확장 Coda 규격화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1994년 12월부터 2000년 2월에 일어난 근지지진에서 707개 지진기록에 대하여 1∼2, 2∼4, 4∼8, 8∼16및 16∼32Hz의 대역필터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 관측점의 QP-1는 (7±2)×10-3에서 (5±4)×10-4으로, QS-1는 5±4)×10-4에서 (5±2)×10-4로 주파수가 1.5Hz에서 24Hz로 늘어남에 따라 줄어드는 주파수 의존성이 보인다. 이들 값의 지수 회귀선은 QP-1가 0.009(±0.003)f-1.05(±0.14), QS-1가 0.004(±0.001)f-0.75(±0.14))이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