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

        8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 해수를 대상으로 총 17개의 조사정점을 선정, 1996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계절별로 19종류의 VOCs를 분석.조사하였다. 조사대상 VOCs 중 methylene chloride, tetrachloromethane, 1, 1, 1-trichloroethane, trichloroethane, 1, 1, 1, 2-tetra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bromoethane, dibromoethane, bromo
        4,000원
        85.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afety of the would-be approach channel of LNG Terminal at Kwangyang Harbour, by utilizing Captains 2000 port-design simulator. Six competent shipmasters or navig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model ship was a 70,200DWT (138,000m3) LNG carri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maximum flood-and-ebb current condition and wind condition. To evaluate the navigational safety, two categories were analyzed, which were measures of vessel's proximity and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the worst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ransit safety, it was concluded that the would-be approach channel was safe on basis of the support of four tugs of 3,200hp or more and current speed of 0.5knots or less.
        4,300원
        87.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 Kwangyang Bay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4 were studied. L. Japonicus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amphipods (gammarid amphipods and caprellid amphipods), crabs, caridean shrimps and copepods. Its diets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fishes, mysids, polychaetes, tanaids and isopods. Three distinct ontogenetic feeding groups were noted : (1) 1~2 cm SL individuals preyed heavily on copepods. (2) 2~15 cm SL individuals preyed heavily on amphipods. (3) individuals over 15 cm SL preyed heavily on crabs, caridean shrimps and fishes. L. Japonicus showed seasonal changes in prey composition. These changes were not caused by seasonal changes in food availability, but by changes in the size composition of L. Japonicus occurred in the eelgrass bed.
        4,000원
        91.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retaceous granitoids related to base metal mineralization in the studied area consist of hornblende - biotite granite, leucocratic granite and micrographic granite. The major - and trace element data from granitoids, when plotted on the Hacker diagram, average contents of Al₂O₃, CaO, Mg0 and Fe₂O₃ decrease while SiO₂ increases in granitoids from Dolsan toward Namhae and Kwangyang areas. Average content of Rb is higher in Kwangyang area while Ba and Sr decrease in granitoids from Dolsan toward Namhae and Kwangyang, and as shown in triangular diagram of RbBa-Sr, which indicates gradual differentiation of granitic magma from Dolsan toward Namhae and Kwangyang. And, studies of major element variation, calc-alkaline index(61.5) and AFM diagram of granitoids indicates that granitoids have been crystallized from a calc-alkaline magma generated by partial melting of the subducted Pacific Oceanic Crust(or Kula plate) at the compressional plate margin, that is, the volcanic arc. Na₂O/K₂O ratio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granitoids indicate that they belong to I-type and magnetite series. As shown in atoms against pressure diagram, variation to the number of cations Al^(4+) Al^(6+), (Al+Fe^(3+)^(6+), Si, (Mg+Fe^(2+)), and A-site (Na+K) in amphiboles are shown as functions of estimated crystallization pressure, which the amphibole in granitoids crystallized in the pressure range of 1.8 - 3.0 kbar. According to the two-feldspar geothermometry on granitoids of Kwangyang, Dolsan and Namhae areas, the temperature of cessation of exsolution in perthitic alkali feldspars are 476 - 607℃, 489 - 640℃ and 465 - 629℃, respectively, at assumed pressure of 3 kbar, which may be the result of rapid crystallization in the shallow crustal level(5 - 7.5 ㎞).
        5,700원
        95.
        197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physical oceanographic investigations of the circulation in the Kwang Bay' were carried out seven times from May 1974 to May 1975 every other month. The average water transports through the southern entrance of the' Kwang Yang Bay were approximately 1,014×I06m3/half-tide in ebb current and 278×106m3</TEX/half-tide in flood current, while at the Noryang Sudo there were approximately 405.6×I06m34/half-tide in ebb current, and 282×106m3 /half-tide in flood current, at the maximum current intensity. The water from Seomjin River flows into the bay at an annual average rate of 84×I06m3/half-tide, the rate being fluctuated from month to month from 6.0×106m3 to 11. 5×I06m3 per half-tide.
        4,000원
        96.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의 수온과 염분의 관측을 1974년 5월부터 격월로 1975년 5월까지 7회 걸쳐서 실시한 자료와 그밖에 여수 측후소의 기상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은 9월이 최고로 23.8~24.2˚ C였고, 1월이 최저로 2.5~5.2˚ C여서 연변화량이 19~21˚ C이다. 2)표면에서의 열수지가 (+)일 때는 수심이 얕은 묘도 서쪽해역이 비교적 높은 수온을 나타내며(-)인때는 수심이 깊은 여수해만쪽의 수온이 높게 나타난다. 3)수면의 열수지는 1974년 5월이 93cal/cm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1975년 1월이 -340cal/cm2로 최저로 나타났다. 4)수심이 얕은 St.E에서의 표층염분의 년변화는 7월이 20.8‰,최고는 3월이 32.5%로 연변화량은 7.3%밖에 되지 않는다. 5)St.A에서 10m층의 염분의 연변화량은 7월이 30.8 로 최저,최고는 3월이 33.0‰로 연변화량 2.2%밖에 되지 않아 섬진강의 하천수영 항이 10m이상 깊이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6)St.A의 10m층과 St.E의 표층수의 염분의 차는 P-E값이 큰 7월이 10 로 최고이고 P-E값이 최저인 11월은 1.0‰로 역시 최저이다. 이것으로 보아 만내의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의 염분은 강수량이나 증발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7)표층수를 분류하면 섬진강의 하천수와 대기의 영향을 가장많이 받는곳이 묘도 서쪽의 C해역이고 그 다음이 묘도 주위의 B해역이며,여수해만과 노량수도를 잇는 A해역은 가장 적게 영향을 받는다. 8) 강수량이 많고 수면에서 열수지도(+)인 5월과 7월은 표층과 10m층의 안정도가 커서 251×10-6~297×10-6이며 수면에서 열손실이 크고 강수량이 적었던 11월,1월 그리고 3월은 수직 안정도가 /-1×10-6~14×10-6으로 수직혼합이 쉽게 일어날수 있어 오염물질의 확산이 훨씬 잘도리 것으로 사료된다. 9)수직안정도는 조류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4,000원
        97.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의 물리해상 조사를 1974년 5월, 7월과 9월 3회에 걸쳐서 실시하고 그 자료를 연구 분석 하였으며 여수축후소가 발표한 기상 자료에 의해서 해황에 미치는 기상 조건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내의 해수 유동은 주로 조류에 의한 것이며, 섬진강의 담수가 이에 첨가되어 같이 움직이고 있다. 따라서 만내의 해수는 유입량보다 유출량이 담수의 유입량 만큼 많이 나타난다. 수질은 저 염분이며 섬진강 물이 이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2. 노량수도에서의 유속은 비교적 큰 편이며, 이곳에서는 지형적 영향으로 밀물때 진주만 쪽으로 나가는 유출량보다 썰물때 광양만내에 들어오는 유입량이 다소 많다. 3. 썰물 때 여수해만을 통하여 들어오는 해수는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지며, 하나는 노량수도로, 또 하는 북서절하여 묘도를 우회하여 지진도와 강탄을 거쳐 만의 서쪽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하는 묘도 남쪽수도를 통하여 우순도를 지나 만의 남서해역으로 유입된다. 4.썰물 때 만의 남서해역의 해수도 북쪽수도를 우회하여 여수해만 쪽으로 흘러나가며, 극히 제한된 최남서부해수가 묘도남쪽의 좁은 수도를 통하여 엿해만 쪽으로 흘러나간다. 그리고 노량수도를 통하여 들어온 해수도 광양만 동쪽해역을 통하여 이와함께 여수해만쪽으로 흘러나간다. 5. 만내 수온은 표층이 5월에 17℃내외, 7월과 9월에 22~24℃, 10m층은 5월에 16℃ 내외, 7월에 22℃ 내외, 9월에 24℃ 내외였다. 표층과 10층의 수온 차는 5월에 약 1℃ 표층이 높게 나타났으며, 7월과 9월은 깊이에 의한 차는 없었다. 6. 만내의 수온은 13~15시경에 최고이고, 일출직전이 최저로 일교차는 약 2~4.5℃로,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7. 관측점에서의 염분의 일 변동은 3.7‰로, 만조시 고염준, 간조시 저염분으로 나타난다. 8. 만내외 염분은 5월에 최고 28‰ 7월에 최고 28‰, 9월에 최고 31‰였으며, 10m층은 5월에 30~32‰, 7월에 30~31‰, 9월에 30.5~31‰로 표층 염분은 계절에 따라 변화가 크다. 그러나 10m층은 거의 일정하다. 9. 일반적으로 만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감에 따라 해수의 염분은 점차로 낮아진다. 10. 담수의 유입과, 만의 대부분이 수심이 얕아 바람에 의한 수직혼합이 심하기 때문에, 만내의 수색은 맑지 못하며, 6~9정도이다. 투명도는 대개 1내외이고 9월에는 여수해만 쪽이 5이상 되는 곳도 있다. 11. 점원 방류한 Rhadamine B 30분호의 확산계수는 장축 및 단축방향으로 각각 785.6×102 m2/sec 및 15.×102 m2/sec였다. 12. 평균 기온은 1월에 1.5℃로 최저이고, 최고는 8월의 2.58℃가 되며, 최저기온의 월 평균도 1월이 -1.8℃로 최저이고, 8월이 23.5℃로 가장 높다. 13. 빙점 이하의 날씨도 년 55일로 1월은 제외하고는 비교적 적다. 14. 겨울철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북서풍이 30.1%로 풍속이 6.6 m/sec이고 2월에는 27.1%로 6.3 m/sec이다. 이것으로 보아 겨울철에는 매일 평균 5시간 이상 6 m/sec의 바람이 분다고 생각된다. 여름철은 매일 3시간 내외의 3~4m/sec의 남남서풍이 불며, 정온 상태는 9월이 10%로 가장 높다. 15. 강수량은 1월이 최저로 17.1mm이고, 7월이 262.6mm로 최고이며, 연 총강수량은 1313.7m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의 하나이다.
        5,200원
        98.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만의 주요 정책 및 향후 운영계획 수립 시 정확한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대 석탄 및 철광석 처리 항만인 광양항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과 인공신경망모형을 활용하여 모형간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총 121개월의 월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석탄 및 철광석 물동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정하여 공급관련요인과 시장·경제관련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광양항 석탄 물동량 예측모형의 경우, 입항선박 톤수, 석탄가격 및 대미환율이 최종변수로 선정되었고 철광석 물동량 예측모형의 경우, 입항선박 톤수, 철광석가격이 최종변수로 선정되었다. 인공신경망모형의 경우, 모델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Hyper-parameters를 조정하며 최적 모델을 선정하는 시행착오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공신경망모형이 단계적 회귀분석에 비해 우수한 예측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예측 모형별 예측값과 실측값을 그래프 상 비교 시에도 인공신경망모형이 단계적 회귀분석에 비해 고·저점을 유사하게 나타냈다.
        9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물량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결정하는 요소는 입지조건, 하역능력, 보관, 운송 에 연계된 모든 요소들에 사항을 참조하여 선사에게 유리한 조건의 컨테이너터미널을 선별 선택한다. 컨테이너터미널의 On-Dock 서비스 가능 여부 또한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선택을 결정짓는 요소의 한 부분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On-Dock 시스템의 업무적 알고리즘, 엠 티 컨테이너 반출 알고리즘, 풀 컨테이너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On-Dock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 우선 순위 알고리즘, 반출입 작업 우선순위 알고리 즘, 엠티 컨테이너 야드 장치 할당 규칙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자동 할당 방식과 수동 할당 방식을 이용해서 컨테이너 반출 시간 및 컨테이 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알아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반출 컨테이너 우선순위 지정 및 장치장의 블럭을 지정하여 반출 컨테이너 할당을 제 어 한다. 즉, 최적 컨테이너 선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터미널은 엠티 컨테이너 반출 시간을 줄이고, 야드의 컨테이너에 대해서 불필요한 리핸 들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Non On-Dock과 On-Dock 시스템의 작업 운영 결과는 실제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운 영되고 있는 반출 작업 운영(시나리오) 형태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며, Non On-Dock 시스템을 적용 할 때 보다 시간이 약5분 정도 신속하게 반출이 가능하다. On-Dock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사에서 수출 오더를 관리하기 위 해서 엠티 컨테이너를 배정 하고, 수입 화물에 대해서는 D/O를 관리하며 반출 후 회수 관리와 컨테이너의 손상, 청소, 수리, 제어 등의 서비스를 지원 하므로 대외 선사 서비스를 강화하여 컨테이너터미널 물량 유치 및 영업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양항은 ‘98년 개장 이후 현재 16개 선석(5만 톤급 12선석, 2만 톤급 4선석)을 운영 중에 있다. 특히 광양지역은 광양만권의 핵심 역할을 하는 광양항이 위치하고 있다. 본 논문은 광양지역의 물류도시 발전 전략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SWOT/AHP 분석 방법을 사 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익 창출형 물류 비즈니스 모델 창출, 항만기능과 연계된 국제적인 배후물류단지 개발, 공동물류창고 운영 등의 비용절 감형 물류 비즈니스 모델 창출, 자유무역지역의 고부가가치화 전략 그리고 광역항만클러스터 조성 등에 우선순위를 두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 이 바람직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도출된 우선순위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주 기로 동일한 설문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보다 심도 있는 심층면접이 나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략이 보완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보다 심층적이고 실증적 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