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1

        8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8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에 속하는 Microgastrinae 아과의 Diolcogaster perniciosa (넓적다리도랑꼬마고치벌)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 재, 진단,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3,000원
        85.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valuable too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head and neck tumors, the diagnostic value of FNAB in the management of salivary gland tumors has been questioned. This case report presents a patient with mucoepidermoid carcinoma of parotid gland diagnosed as pleomorphic adenoma by FNAB and discusses the pitfalls in the diagnosis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4,000원
        87.
        202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88.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 만족도,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을 6주 이상 완료한 3학년을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자 수는 SBAR 보고교육을 받은 103명과 교육을 받지 않은 11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명 확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보고자신감은 의사소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3, p<.001)가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보고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명확성(β=.29, p<.001), 의사소통만족도(β=.43, p<.001), 보고자신감(β=.15,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중 실무능력을 파악하여 보고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제도와 교수방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600원
        89.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8년 7월 13일부터 2019년 10월 29일까지 1년 3개월 동안, 총 306개 국외 발 국내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 (not-distributed hitchhiker insect pests in Korea)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805개체의 편승자 해충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합 분류학적 종동정 방법(integrative identific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12목 78과 379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7목 21과 42종 67개체 의 한국 미분포종이 확인되었는데, 10종이 다중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7종은 2018년도에 이어 2019년도에도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관리해충으로 등재되어 있는 Erthesina fullo (Pentatomidae, Hemiptera)와 Tessaratoma papilosa (Tessaratomidae, Hemiptera)가 검출되었다. 이에 따라, 검출된 미분포종의 사전 조사 및 모니터링 방안 마련뿐만 아니라 침입종(invasive species) 내지 침입 가능종(invasive likelihood species)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위한 data sheet를 제공하였다.
        4,200원
        90.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 2016년 5월 3일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제출한 유엔여성 차별철폐협약 2·3·4차 국가이행보고서를 놓고, 동 보고서의 보건 인프라 조항을 분석·평가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요 분석대상은 북한이 공식적으로 유엔에 제출한 ① 북한의 여성차별철폐협약 2·3·4차 국가이행보고서, ②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추가로 요청한 쟁점, ③ 이에 대한 북한의 추가 답변서, ④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최종 견해를 표명한 보고서에 나타난 보건 인프라 부문 조항들이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조사기법에서 주로 활용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분석기제로 사용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북한의 국가 이행보고서상의 보건 인프라의 경우 보고 내용은 일부 정량적인 보고가 있지만 다수가 정성적인 내용 중심의 보고이다. 이는 기존의 보고 행태와 거의 동일한 패턴이다. 둘째,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추가 쟁점은 협약 이행 점검의 필수 사안인 여성 보건 현실에 대한 자료를 요청하였다. 무엇보다 이러한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추가 요청은 본 보고서의 미진한 보고 행태에 기인한다. 셋째, 북한의 추가 쟁점에 대한 답변서의 경우 내용적으로 접근하면 일부 누락된 보고와 추상적 수준의 초점을 벗어난 답변 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보고 행태는 북한의 심각한 오류이고 결과적으로 이는 사실 상의 북한 스스로 마지막 소명 기회를 놓친 셈이다. 넷째,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최종 견해의 경우 보건 인프라에 대한 지적과 경고보다는 보건 현실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즉,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심의와 평가에 전제되는 문제를 제기하였는데, 이는 북한이 당면한 해결과제이자 여성 보건의 선결과제이다.
        6,100원
        9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늘소아과 검정삼나무하늘소속의 미기록아속인 호리검정삼나무하늘소아속(신칭)에 속하는 Ropalopus (Pronocerodes) aurantiicollis Plavilstshikov, 1940의 한반도 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형태적 기재와 사진, 국내 검정삼나무하늘소속의 검색표를 함께 제공한다.
        3,000원
        93.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1 ~ 2월) 시설재배지 대파에 파총채벌레(Thrips tabaci)가 발생하였다. 파총채벌레의 동정은 트랩에 포획된 개체의 DNA 바코드를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주별 파총채벌레 발생은 끈끈이판 하나당 약 240 ~ 700 마리의 포획 밀도를 나타냈다. 포획 효율은 트랩 색상에 따라 차이를 보여 황색이 청색 트랩에 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대부분(90% 이상) 대파는 이들 파총채벌레의 식흔을 보였다. 이러한 파총채벌레 발생은 특정 비닐하우스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국부적 파총채벌레의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자 이들 행동을 실내외에서 관찰하였다. 실내 분석은 약 1.5 mm 정도 몸길이의 성충이 약 5 cm 까지 도약하였다. 야외에서는 이들 성충이 시설재배지 최대 높이인 2 m 까지 비행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비행 행동은 인근(2 m 이내) 시설재배지까지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실제로 전파되지 않은 것은 야외 저온 조건이 물리적 장벽을 제공하여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겨울기간 파총채벌레의 대발생은 특정 소지역에 국한되었다.
        4,000원
        94.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래나무를 흡즙하는 Stomaphis matsumotoi Sorin, 1995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충의 생체 사진과 표본을 통한 형태 정보를 수록하였다.
        4,000원
        95.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라오스지역에서 분포하는 미소 나방인 Promalactis vittapenna종을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미기록 종의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 정보,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제시하였다. 또한, 라오스 전체 종에 대한 분류학적 키를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9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rldwide, oral cancer accounts for 2%–4% of all cancer cases. It is estimated that more of 90% of all oral neoplasms ar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follow-up outcomes in patients with OSCC invading the mandibular body bone who underwent primary rad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ve surgery by fibular free flap or CAD-CAM T-mesh with pathological study on two cases. In this article, two cases of mandibular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OSCC invading the mandibular body bone are reported. A 68-year-old 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pain on the lef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on the mandibular OSCC, a enterocutaneous fibular free flap from right leg was used to cover the intraoral mucosal defect. The other 51-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pain on the righ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on the mandibular OSCC, reconstruction was done with a reconstruction plate and a fibula free flap from right leg. Unfortunately, fibular free flap was lost due to infection of the flap at post-operative 1month, secondary reconstruction using a custom-made type T-mesh and iliac PCBM was done to repair on the mandibular defect after four years postoperatively. The customized CAD-CAM T-mesh was made prior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mirror image of remained jaw. Patients with OSCC invading the mandibular body bone are required an accurate segmental mandibulectomy immediate reconstructive surgery with various methods and followed by adjuvant radiation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oral function and esthetics after surgery. Postoperative CCR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nal pathologic findings such as lymph node metastasis and main lesion free margin safety, and this has an essential relationship in the prognosis of postoperative recurrence. We reviewed reliable treatment options on two patients of OSCC in mandible with pathologic findings.Worldwide, oral cancer accounts for 2%–4% of all cancer cases. It is estimated that more of 90% of all oral neoplasms ar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follow-up outcomes in patients with OSCC invading the mandibular body bone who underwent primary rad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ve surgery by fibular free flap or CAD-CAM T-mesh with pathological study on two cases. In this article, two cases of mandibular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OSCC invading the mandibular body bone are reported. A 68-year-old 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pain on the lef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on the mandibular OSCC, a enterocutaneous fibular free flap from right leg was used to cover the intraoral mucosal defect. The other 51-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pain on the righ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on the mandibular OSCC, reconstruction was done with a reconstruction plate and a fibula free flap from right leg. Unfortunately, fibular free flap was lost due to infection of the flap at post-operative 1month, secondary reconstruction using a custom-made type T-mesh and iliac PCBM was done to repair on the mandibular defect after four years postoperatively. The customized CAD-CAM T-mesh was made prior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mirror image of remained jaw. Patients with OSCC invading the mandibular body bone are required an accurate segmental mandibulectomy immediate reconstructive surgery with various methods and followed by adjuvant radiation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oral function and esthetics after surgery. Postoperative CCR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nal pathologic findings such as lymph node metastasis and main lesion free margin safety, and this has an essential relationship in the prognosis of postoperative recurrence. We reviewed reliable treatment options on two patients of OSCC in mandible with pathologic findings.
        4,000원
        9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량, 여행객, 외국 이주민 등의 증가로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 병의 국내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검역기관 종사자들의 업무량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가 원인병원균인 감자 제브라칩병의 경우, 발생하게 되면 감자를 초토화시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한다. ‘Ca. L. solanacearum’의 감자와 토마토 등의 가지과(Solanaceae) 작물과 당근을 포함하는 산형과(Umbelliferae) 작물이 기주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국내에 유입되지 않은 감자 제브라칩병과 매개충인 토마토 감자 나무이(tomato potato psyllid; TPP; Bactericera cockerelli Sulc.)에 대한 예찰 조사를 수행하였다. 예찰 조사를 위해 전국을 7개 권역(경기-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및 제주)으로 나누고, 각 권역에 속하는 3개 지역 중심으로 수행하였는데, 경기-강원 권역은 인천, 화성, 춘천 및 홍천, 충청 권역은 공주, 세종 및 청주, 전북 권역은 익산, 완주 및 정읍, 전남 권역은 보성, 고흥 및 순천, 경북 권역은 상주, 김천 및 안동, 경남 권역은 거창, 함양 및 진주, 제주 권역은 구좌 및 성산 지역이 해당되며,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매개충 TPP 조사를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예찰 조사는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2018년 예찰 조사결과, 감자 제브라칩병과 매개충인 TPP는 국내에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해 구축된 전국적인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할 수 있었고, 국외 외래유입병들의 예찰 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
        4,000원
        99.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iomyoma is a Benign tumor that develops in smooth muscles and is known to occur more in women in age between 40s and 50s. The most common site of leiomyoma is uterine (95 %). It occurred in oral region is very rare about 0.065 % and usually developed in upper and lower lips, palatal site, buccal site and tongues. The prognosis of leiomyoma is very positive. The recurrence rate is extremely low to 2 % below. In present study, we report a 78 year old female with a lesion located in temporomandibular joint cavity which was suspected as a malignant tumor. Additionally, this paper reports contains a literature review of oral leiomyoma. Rare location with painless leiomyoma of present case will be considered to be caution.
        4,000원
        100.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국제 교역량, 여행객 및 외국 이주민 등의 증가로 인해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 병의 유입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가 원인병원균인 감귤황룡병의 경우, 발생하게 되면 감귤과원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국내 유입되지 않은 감귤황룡병과 매개충인 아시아감귤나무이(Asian citrus psyllid; ACP; Diaphotima citri)에 대한 예찰 조사를 남부지역에 집중된 유자 재배지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유자는 감귤황룡병의 기주가 될 수 있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작물로 기후 특성상 우리 나라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예찰 조사는 전남과 경남에 속하는 각 3개 지역 중심으로 수행하였는데, 전남 권역은 고흥, 보성 및 광양 중심으로 그리고 경남 권역은 거제, 통영 및 남해 지역이며,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ACP 포획을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예찰 조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에 걸쳐 수행하였고 2018년은 6월부터 10월까지, 2019년과 2020년은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예찰 조사 결과 감귤황룡병과 매개충 ACP는 국내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해 구축된 전국적인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할 수 있었고, 국외 고위험 식물 병들의 예찰 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