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4

        81.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CW 78/95 in the Philippine MET including the effects of the revised 2010 Manila Amendments. It discusses the country’s maritime environment and the structures, quality of maritime education in the country and the effects on the maritime human resource. Among the various resolutions adopted at the conference, the standards of training and certifications, and promoting skills and competency will be more emphasized in this report. These will be compared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mandated by CHED and upgrade STCW trainings advised by MTC for maritime institutions. A brief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other Asian countries’ maritime training shall be offered. The recommendation pinpoints to the weaknesses of the present maritime regimes in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maritime institutions. It concludes with the need to have mutually acceptable evaluation standards in view of developing a competent human resource for the future.
        3,000원
        8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에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항해상의 조건 중 하나인 항해구역은 선박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평수구역,연 해구역, 근해구역 및 원양구역 등 4개의 구역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항해구역제도는 1961년 입법되어 2002년 선박항해구역의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이후 변화된 해상교통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평수구역을 항해하는 소형선들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서해 중부해역의 항해구역 실태를 조사하고 해상교통 환경을 평가하여 현행 항해구역제도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항해 안전성평가를 통하여 항해구역 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3,000원
        84.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atches of main species and bycatch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raschel, 15mm, 25mm, 35mm, 45mm) of stow net on anchor in the coastal waters of Seocheon after manufacturing five kinds of fishing gears and commercial fishing boat (7.93 tons) was used for it.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outhern rough shrimp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beka squid (Loligo beka), cuttle fish (Sepia esculenta),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dominant on the five kinds of experimental fishing gears. Southern rough shrimp was caught from all kinds of fishing gears and catches of anchovy was highest in the raschel codend, southern rough shrimp for 15mm, 25mm, 35mm codend and beka squid for 45mm codend. Bycatch proportion against total catches was 623,376g (28.7%) for 2,171,844g in raschel, 11,932g (1.7%) for 704,451g in 15mm, 3,616g (1.6%) for 221,432g in 25mm, 9,276g (4.9%) for 191,052g in 35mm and 2,724g (5.3%) for 51,431g in 45mm.
        4,200원
        8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안과 남해안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에서 우점하는 곁노벌레과(Paracalanidae) 2종 간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영광 인근해역을 중심으로 2007년 가을철, 2008년 겨울철, 봄철, 그리고 여름철에 걸쳐 사계절조사를 실시하였다. Bestiolina coreana는 봄철과 겨울철에 출현하지 않았으며, Paracalanus parvus s. l.는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종간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에서는
        4,000원
        86.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of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the field testes were carried out 12 times with five different mesh sizes (86.6, 101.0, 121.2, 137.7, 151.5mm) in the western sea of Korea, 2007-2009. The master curve of selectivity was estimated by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In the field testes,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catch were 26 and 987, respectively. The catch number of marbled sole was 728 and occupied 73.8% in total catch. The optimum values of l/m for 1.0 of retention probability in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were estimated 0.288 and 0.307, respectively and l/m was estimated to be 0.189, 0.203, 0.213, 0.222 and 0.230 in case of monofilament gill net and 0.171, 0.191, 0.205, 0.216 and 0.227 in case of multifilament gill net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y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The 0.5 selection range of multifilament gill net was wider about 1.5 times than that of monofilament gill net according as multifilament gill net was 0.216 and monofilament gill net was 0.148. So the multifilament gill net has a low selectivity than that of the monofilament gill net. To estimate the optimum mesh size on first maturity length 19.5cm of marbled sole, the retention probability value of 0.1 was adopted in consideration of using the gill net for marbled sole at present. The optimum mesh size were estimated to be 103.2mm and 114.0mm in monofilament gill net and multifilament gill net, respectively, on first maturity length 19.5cm of marbled sole.
        4,200원
        87.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지역의 지형은 해안과 인접한 소규모의 곡저평야에 속한다. 이 곡저평야는 낮은 구릉지 사이 개석된 곳에 충적물이 매적되어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안정동위원소비 분석과 토양유기탄소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의 기후환경 복원을 시도하였다. I 시기(약 6,600±60 yr B.P.-5,350±60 yr B.P.)는 전반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이었으나, 건습변화에 있어서는 약건조(또는 약습윤)→습윤의 미변화가 감지된다. II 시기(약 5,350±60 yr B.P.-2,200 yr B.P.)는 현재와 비슷한 온난습윤한 기후환경을 나타낸다. 4,720±60 yr B.P.와 4,210±50 yr B.P. 사이는 전체 퇴적층 중 가장 습윤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4,210±50 yr B.P. 이후에는 점차 습윤에서 약습윤(또는 약건조)환경으로 이행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III 시기(약 2,200 yr B.P.-210±60 yr B.P.)는 앞선 두 시기와 확연히 구분되며, 약습윤(또는 약건조)의 기후환경을 나타낸다.
        4,000원
        8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and their cor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middle Yellow Sea of Korea, shrimp beam trawl were carried out for the fisheries survey. Fisheries resources of 81 species, 57 families, and 6 taxa totally were collected by shrimp beam trawl in the middle coastal ecosystem of Yellow Sea of Korea. Species were included 6 species in Bivalvia, 6 in Cephalopoda, 22 in Crustacea, 2 in Echinodermata, 5 in Gastropoda, and 40 in Pisces. Diversity indices (Shannon index, H') showed seasonal variation with low value of 2.14 in winter, and high value of 2.67 in spring. Main dominant species were Oratosquilla oratoria, Octopus ocellatus, Acanthogobius lactipes, Cynoglossus joyneri, Rapana venosa venosa, Loligo beka, Chaeturichthys stigmatias, Raja kenojei, Microstomus achne and Paralichthys olivaceus, that were occupied over 58% of total individuals, and 55% of wet weight. Fisheries organism made four coordinative seasonal group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ing stronger seasonal variation than spatial variation. PC from PC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ross-correlationships with seawater temperature, NH4-N, TP and chlorophyll a (P 〈 0.05).
        4,500원
        8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안 염해지 수목 식재를 위한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을 선발하고자 한국 서해안 해안림의 식생조사와 토양염분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은 전체 평균 EC1:5 0.11dSm-1이었고, 최저 0.00dSm-1, 최고 0.68dSm-1이었다. 토양염분(EC1:5)은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 방향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Ⅰ지대〉Ⅱ지대〉Ⅲ지대〉Ⅳ 지대 순으로 각각 EC1:5 0.14dSm-1, 0.11dSm-1, 0.10dSm-1, 0.08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52과 104속 24변종 157종 총 181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1:5 0.51dSm-1를 초과하는 곳에서 EC의 특이값 또는 이상치의 수준으로 여러 번 출현하는 수종은 곰솔, 청미래덩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었다. EC1:5 0.41~0.50dSm-1에서는 EC1:5 0.40dSm-1 이하에 속하는 식물들 이외에도 왕자귀나무, 멀구슬나무, 계요등으로 출현빈도가 매우 낮았다. 전체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등 이었고, 중요도가 높은 수종은 소나무, 곰솔, 이대, 청미래덩굴, 굴피나무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90.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서해 중부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서 142점의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였고, 12개 측선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의 퇴적상은 소량역질사, 사, 소량역사질니 등 다양하게 나타났고 외해방향으로 세립해진다. 조직변수는 조상대와 조간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이고, 조하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세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음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인다. C-M도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조상대와 조간대의 퇴적물은 밑짐이동과 점이부유가 혼합된 형태로 이동하고, 조하대의 퇴적물은 점이부유와지속적부유의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도표에서 하부조하대의 퇴적물은 밑짐과 뜬짐 2가지의 이동모드가 모두 나타나는 이중모드의 형태를 보인다.
        4,300원
        91.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fishing status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raschel, 15mm, 25mm, 35mm, 45mm) of stow net on anchor in the coastal waters of Seocheon after manufacturing five kinds of fishing gears and commercial fishing boat (7.93 tons) was used for it. Total catches of raschel, 15mm, 25mm, 35mm, 45mm codend were 816,949g, 203,994g, 1,405g, 51,576g, 194g in September and 40,545g, 66,974g, 14,692g, 12,647g, 12,655g in October. Dominance species wer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raschel codend,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15mm and 35mm in September, and the amount of catches was very small in 25mm and 45mm codend due to the fishing gear damage. In October, dominance species were anchovy and beka squid (Loligo beka) in raschel, 15mm, 25mm codend, and cuttlefish (Sepia esculenta) and beka squid were mainly caught in 35mm and 45mm codend. In addition, total length of anchovy and cardinal fish (Apogon lineatu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dend mesh siz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ntle length of cuttlefish and loligo beka.
        4,000원
        92.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wimming crabs, Portunus trituberculatus(Miers) are commercially important off the coasts of Korea, Japan and China. Harvest of swimming crabs has been fluctuated along their distribution ranges. Fluctuations in the interannual harvest of swimming crabs may be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 during the larval period. The survival rates, intermolt periods, and growth of larval swimming crabs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Larval swimming crabs are released and undergo development from April to August off the western coast of Korea in the Yellow Sea. Sea surface temperatures off the 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he larval season were used for the laboratory experiments, and ranged from 22 to 26℃. Larvae were individually cultur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22℃, 24℃, 26℃, and 28℃. Zoea molted to megalopa at all temperatures and developed to the first crab stage at 24℃, 26℃, and 28℃. Survival rates from zoea I to the first crab stag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Intermolt period and the growth rate of the mean carapace length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Our research helps understand the changes in survival rate and growth of larval swimming crabs resulting from changing oceanic temperatures. Further, our study suggests that the fluctuations in fishery harvest of swimming crabs off the coast of Korea may be related to changes in larval survival affected by changing ocean conditions.
        4,000원
        94.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슨한 포화 사질토 층에 위치한 구조물은 지진 시 액상화로 인해 막대한 인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분류된 지역은 구조물의 설계 및 운영 시 액상화 발생 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한반도의 경우 중진 지역에 해당되고 역사 문헌의 발생 기록을 제외한 어떤 액상화 피해도 보고되지 않음에 따라 오랫동안 액상화에 대해서는 안전지대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해외 지진 사례에 의하면 국내 서해안 지역 지반과 유사한 비소성 실트질 흙에서의 액상화 발생과 이로 인한 피해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액상화 가능성 평가 기법 합리화의 일환으로 서해안 두 부지를 대상으로 피에조콘 관입시험(CPTu)과 표준관입시험(SPT) 결과를 이용하여 액상화가능지수(LPI)를 산정하였다. LPI는 심도 20m까지의 액상화 가능성을 통합 적분하여 액상화로 인한 지표면 피해 발생 정도를 지수로 제시한다. 먼저 대상 현장에 대해 시나리오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한 후, CPTu와 SPT로부터 산정된 LPI 값을 비교하였다. 액상화 저항 강도를 의미하는 진동저항응력비(CRR) 값에 의하면, CPTu로부터 구한 보정 콘 선단저항력 (qc1N)CS가 40에서 120 사이인 경우 또는 CRR이 0.23 이하인 경우에 SPT로부터의 산정된 값보다 작게 평가되었다. 또한 CRR 차이는 세립질 함유량이 큰 흙에서 두 방법 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4,500원
        95.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ine algal flora of three uninhabited islands of Sipidongpado, located in the middle 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regarding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intertidal zone during July 2008. A total of 27 marine algal species (3 green, 8 brown and 16 red algae) was identified from the three islands. Among them, 15 species occurred at Byeongpungdo, 17 at Keunssangseom, 22 at Deungdaeseom. Eleven species were found at all three islands: Ulva pertusa, Ulva conglobata,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Caulacanthus ustulatus, Chondria crassicaulis, Polysiphonia morrowii,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Symphyocladia linearis. The total biomass of macroalgae in July at Deungdaeseom was 2,387.2 gm−2. Dominant species was S. thunbergii showing highest biomass (1,512.1 gm−2) in the intertidal zones at Deungdaeseom. Thus we can conclude that S. thunbergii is the representative species of this island.
        4,000원
        96.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함평만 해역에서 CTD, 조류 및 조석 자료를 이용하여 해수의 물성구조 및 조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지역 대기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수온, 염분은 여름철에 고온, 저염의 저밀도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겨울철에 저온, 고염의 고밀도 상태를 보였다. 특히, 여름철 소조기에 중심수로를 따라 조석전선과 유사한 수온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조석전선 위치를 나타내는 SH(=log10(H/U3), 여기서 H는 수심, U는 M2조류진폭)값은 2.4-3.5로 평가되었다. 또한 성층계수(φ)는 0.985-6.998 Joule/m3으로 내만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전선구조 발생은 함평만 내부의 넓은 갯벌을 포함하는 독특한 지형학적 특성과 조류 세기의 지역적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함평만 입구에서 관측된 조류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창조시간 보다 낙조시간이 짧았다. 이러한 조류의 비대칭적인 낙조우세현상은 넓은 대조차 조간대가 분포하고 있는 함평만에서 천해조의 발달로 인한 조석 왜곡 현상 결과로 해석되어진다.
        4,000원
        97.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ee bird-watching science museums near the Yellow-sea area. The two museums on the construction are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and the other is located in Chunnam province which are already operated for several years to now. The bird-watching science museum is similar to conventional science museum in terms of exhibiting objects, but in detail the bird-watching science museum is specialized in bird-watching and study it's ecology. So the sight should be near the place where the bird can be seen easily and the building should be built in ecological way. Now establishing museum in local area as a community development is pretty popular in Korea. as tourism purpose. But the main purpose of bird-watching museum should be educational and cultural way and next tourism. So in this study I tried to pick designing point of architecture and exhibition of bird-watching museum.
        5,700원
        9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에너지원가 상승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서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새만금 지역은 광활한 면적과 서북서풍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풍력발전의 적지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상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풍력자원을 조사한 것으로 군산지역의 평균풍속은 4 m/s 정도이며, 도서지방을 연계하는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최적지로 손색이 없음을 밝혔다. 또한, 풍력자원의 출현밀도를 판별하는 Weibull의 분포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형상계수를 매개변수로 하여 풍속밀도계산을 한 결과, 군산지방의 풍속출현을 예상할 수 있었다.
        4,000원
        9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 크기와 육지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면서 해안사구가 잘 발달된 서해 중부의 3개 도서(옹진군 덕적도와 굴업도, 보령군 원산도)를 선정하여 사구성 곤충의 다양성을 측정하였고, 도서간의 종다양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는 2007년 봄과 여름에 걸쳐 1차와 2차 사구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3개 도서의 사구 서식곤충은 총 12목 43과 78종으로 조사되었고, 진정한 사구성 곤충은 4목 15과 26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종의 분류 결과, 진사구성으로 거저리과의 Phaleria atriceps (Lewis)가 한국 미기록종 임이 밝혀졌다. 지역적으로 보면, 사구 서식곤충(진사구성 곤충)은 덕적도에서는 9목 21과 34종(3목 10과 13종), 굴업도 7목 19과 28종(4목 12과 15종), 그리고 원산도 12목 37과 60종(3목 14과 23종)으로 나타났다. 3개 도서의 지리적 여건(면적, 해안선길이, 육지로부터 거리)과 사구 서식곤충의 출현 종수를 비교해 본 결과, 육지로부터의 거리(원산도 11km>덕적도 75km>굴업도 90km)가 사구서식 곤충 종의 출현종수(원산도 59종>덕적도 34종>굴업도 28종)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10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안연안 국립공원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종과 어류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5년 3월부터 10월 사이에 족대와 뜰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모두 8목 15과 27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모래로 이루어진 백사장의 조수웅덩이에서는 망둑어과의 날개망둑이 우점종이었고, 자갈이 깔린 바닥에는 미끈망둑이 주로 서식하였다. 바위와 암벽으로 이루어진 조수웅덩이에는 우베도라치를 포함한 베도라치류와 망둑어과의 별망둑, 점망둑이 우점하였다. 한편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