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0

        81.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event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effective keyboard selection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ransverse plane angle changes during vertical keyboard typing. Sixteen healthy men were recruited. All subjects had a similar typing ability (rate of more than 300 keystrokes per minute) and biacromion and forearm-fingertip lengths. Four different types of keyboard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 90˚, or 120˚, and a standard keyboard) were used with a wrist support. The test order was selected randomly for each subject.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easu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a keyboard typing task. The collected EMG data were normalized using the reference contraction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MG data, a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5, was used.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G amplitude of all seven muscles (upper trapezius,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extensor carpi 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flexor carpi radialis, and flexor carpi ulnaris) assessed during the keyboard typing task. The mean activity of each muscle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transverse plane angle increased. The mean activity recorded during all vertical keyboard typing was lower than that recorded during standard keyboard ty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nd error scor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verse plane angles of 60˚ and 120˚ with regard to comfort. In conclusion, a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muscle activity compared with vertical keyboards with other transverse plane angles.
        4,000원
        85.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CVA has an advantage that its natural frequency can be easily controlled by changing the area ratio of the vertical column and horizontal part. The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LCVA under harmonic load. This study experimentally obtained the first and second mode natural frequencies of the LCVA from shaking table tests using white noise and compared the values with the ones by previous study. Test results show that the measured first mode natural frequency of the LCVA is larger than the calculated one when the area ratio is larger than 1. The second mode frequency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area ratio, which is due to the sloshing motion effect resulting from the large area of the vertical column.
        4,000원
        86.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평 배향 액정 모드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과 음의 유전융 이방성 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과 양의 유전율 이방성 액정을 사용한 인플래인 스위칭 모드가 대표적이다 . 이 대표적인 세 구동 방식의 화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최척화된 위상지연 값 조건하에서 밝기, 명암대비율과 색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액정과 음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가 밝기와 명암대비율 면에 있어서 인플래인 스위칭 모드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양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 칭 모드는 시야각 방향에서 적은 색 변이 특성을 보인다.
        4,000원
        87.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在汉语的音节单位中,韵腹是不可缺少的音段音位,声调是不可缺少的超音段音位。因此,我们认为韵腹和声调是分化汉语音节功能最大的因素。汉语的音节结构本身很固定,音节构成还有许多限制条件,因而音节数量实际上要比简单的数学组合少得多。从古代汉语到近代汉语,汉语语音朝着简化的方向发展,尤其北方话的浊音清化而引起的声母数量的减少和入声韵尾的消失使得音节的数量大幅减少,发展到现代,普通话的音段音位的组合只有400多个,包括声调的音节只不过1200多个。汉语是一个音节可以作为词或者词素的单音节语言,同一个音节有不少包括许多的意义,很多单音节单位离开上下文无法区分出意义,只有在多音节的组合中才能区分出意义。因此,分化同音字的根本出路是扩展音节,由单音节发展为多音节。汉语词汇的复音化从上古后期就开始,音节的数量逐渐减少,而词汇的数量却随着社会的发展而大量增加,势必产生大量的同音词,影响人们的交际。因此词汇只能单音节向多音节(包括双音节)发展。例如;《普通话三千常用词表》的3,996个常用词汇中,多音节词汇多达71.65%之多,单音节只有28.35%,单音节词汇中,音段音位同一,只能依靠声调分别词义的占58%,包括声调同一音节的占42%,可见在单音节词汇中声调的音节分化能力还很明显,但音节数量不足同音比率依旧过高。《普通话三千常用词表》的多音节词汇中,因音段音位同一,只能依靠声调区别词义的占5.76%,包括声调同一音节的占0.84%,可见在多音节词汇中,声调的区别意义的作用大幅下降。 为了研究多音节词汇数量和声调的分化能力之间的相关关系,本文分析了《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的各等级别多音节词汇数量与音段音位 如表所示,随着多音节词汇的增加,音段音位同音率和音节同音率按累进比率增高,声调仍然持有一定程度的词汇分化能力,但是与单音节的同音率比较,多音节的同音率要少得多。甚至在许多已经词调化(金立鑫,2008)的多音节词中,某些单音节语素的声调通过轻声化的途径开始消失。因此可以说普通话的声调作用正在演变过程中,声调在区别意义上还存在一定的功能,但是这个作用在多音节词中越来越弱,只有在单音节中才基本保留其辨义的功能。
        8,100원
        8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직형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냉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농업시설에 적합한 10RT 규모의 수평형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을 240m2 면적의 온실에 설치하고, 이 시스템의 냉방성능을 분석하였다. 응축기 출구온도가 40℃에서 58℃로 상승함에 따라 소비전력은 11.5kW에서 15kw로 상승하였으며, 고압이 1,617kpa에서 2,450kPa로 변화하였다. 냉방성능계수는 지중온도 25.5℃에서 2.7 수준이었으며 지온이 상승함에 따라 하강하여 33.5℃에서 2.0 수준이었다. 또한 온실 내부로부터 흡수하는 열량(냉방열량)은 같은 지중온도 수준에서 각각 28.8kW, 26.5kW이었다. 가동 8시간 후 지열교환기가 설치된 60cm깊이의 지온은 14.3℃가 상승하였으며 150cm는 15.3℃가 상승하였다. 반면 지열교환기가 매설되지 않은 60cm 깊이는 2.4, 150cm 깊이는 4.3℃의 지온상승을 보였다. 열매 체유가 지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평균 7.5℃의 온포가 하강하였으며, 토양온도가 평균 27.5℃ 수준에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열량은 평균 46kw로 지중열교환기의 단위 길이 당 약 36.8W의 열량을 방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팬코일 유닛이 온실로부터 흡수하는 냉방 열량은 평균 28.2kW이었으며, 열매체유의 온도는 4.2℃ 상승하였다. 축열조내 열전달매체유의 온도가 26.0℃에서 2.0℃까지 하강하는데 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평균 축열율은 29.7kW, 총 축열량은 321MJ이었다. 또한 2.0℃까지 냉열을 축열한 후 25.4℃까지 방열되는 시간은 외기온이 평균 28.5℃일 때 4시간이었고, 총 313.0MJ의 에너지가 방열되었으며, 이때 평균 방열율은 21.7kW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89.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건축물의 수평진동에 대한 허용가속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준 용하고 있는 사용성 기준인 ISO 6897과 캐나다기준에서는 최대가속도를 정하여 거주자의 거주성을 만족하도록 하고 있다. 수평진동실험은 1차원 수평 진동대를 사용하고, 진동대용 룸은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과 유사하게 설계 및 제작하였다. 실험평가방법은 피험자를 40명 모집하여, 8명씩 5개조로 나누어 주파수 0.2Hz~1.2Hz 범위에서 가속도를 증가시켜 허용가속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평진동 실험으로 얻어진 누적분포를 0~25%, 26~50%, 51~75%, 그리고 76~100%로 나누어 추세선을 작성하였다. 또 국외 사용성 평가기준에 반영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험에 적합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진동에 대한 피험자들의 느낌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고유진동수에 따라 피험자가 견딜 수 있는 허용 가속도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평가되었고, 고유진동수가 높을수록 고유진동수가 낮은 경우보다 허용가속도의 크기가 작았다.
        4,000원
        9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순환유동층 열교환기에서 최적의 운전과 설계에 대한 지식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입자 유동에 관한 기초적 지식이 부족하기 순환유동층 열교환기를 최적 설계하는 데에는 아직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순환하는 물속에 고체입자(유리)가 유동하는 수평 원형관에서 압력강하와 마찰계수에 대해 실험적으로 측정한다. 고체입자의 직경은 3 mm와 4 mm를 각각 취급하였고 레이놀즈수의 범위는 10,000에서 45,000이었다. 연구 결과 4 mm 직경의 입자가 3 mm의 입자보다 마찰계수가 더 컸다. 그리고 고체입자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서는 마찰계수는 고체입자의 농도보다 유체속도에 의해서 더 영향이 컸다. 그러나 입자의 농도가 큰 운전조건에서는 고체입자의 농도도 마찰계수에 큰 영향을 주었다.
        4,000원
        9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인 각형 라멘 구조물에 있어서, 상하지진동은 수평지진동에 비하여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고 간주되어, 내진설계에 있어서는 수평지진동만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공간구조물에서는 수평지진동에 의해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연직방향으로도 구조물의 동적응답이 크게 증폭되며, 또한 상하지진동에 의해서도 연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구조물의 동적응답이 크게 증폭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평 상하 양방향의 지진동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구조물의 가장 간단한 구조형식인 아치를 대상으로, 수평 상하지진동의 동시입력에 대한 순간가속도 응답배율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지진동의 단독입력시의 등가정적지진력을 이용하여, 지진동의 동시입력에 대한 등가정적지진력을 제안하였다.
        4,000원
        92.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eld sequential 액정 디스플레이(FSLCD)는 컬러필터를 사용하지 않아 높은 투과율 특성을 보이고 광 원으로 LED를 사용함으로써 색재현성이 매우 우수하다. 하지만 FSLCD(60Hz 구동)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액정의 응답속도가 5ms이하로 고속응답 특성을 보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응답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셀의 최적 구조를 연구하여 5ms 이하의 응답시간을 얻었다. 그리고 ECB 모드에서 높은 구동전압과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해 필름 보상을 연구하였다. 판상형 액정필름(discotic film)과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의 위상차 값을 최적화함으로써 구동전압을 5V로 낮추고 상하좌우에서 160° 이상(CR>10:1)의 시야각을 실현하였다.
        4,000원
        9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진동대를 이용하여 고층 건축물의 수평진동에 대한 지각임계가속도를 측정하였다. 바람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의 과도한 진동은 거주자들에게 시각차와 현기증 같은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초고층 건축물 거주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속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초고층 건축물은 1차 고유주기에 지배적이다 본 연구진은 1차 고유주기를 재연하기 위해 진동대를 사용하여 사인파진동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진동하우스를 제작하고, 건장한 4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0명의 피험자를 8명씩 5개조로 나누고, 특정주파수범위에서 가속도를 증가시키면서 수평진동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하였다. 수평진동실험으로 피험자들의 진동에 대한 인지도를 누적분포표로 만들고, 의 누적분포에 대해 추세선을 그려서 성능평가곡선을 작성하였다.
        4,000원
        9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진동대 실험을 통한 수평진동에 대한 체감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국외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실험의 적절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실험은 1차원 수평 진동대를 사용하고, 무빙룸은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과 유사하게 설계 및 제작하였다. 실험평가방법은 피험자를 40명 모집하여, 8명씩 5개조로 나누어 주파수 0.2Hz~1.2Hz 범위에서 가속도를 증가시켜 체감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평 진동 실험으로 얻어진 체감도 누적분포를 0~20%, 21~40%, 41~60%, 61~80%, 81~100%로 나누어 추세선을 그려서 성능평가곡선을 작성하였다. 또 국외 사용성 평가기준에 반영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험에 적합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진동에 대한 피험자들의 느낌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주파수에 따른 지각임계가속도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인간의 수평진동지각에 대해 감각적요소 즉 시각적, 청각적요소가 얼만큼 영향을 주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4,000원
        9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세 위치제어를 위한 미세 산업용 로봇의 작업물의 정도 보정을 위해 마이크로 조정기가 고안되었다. 피에조전기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능동 메커니즘을 증폭시키기 위한 메커니즘 설계는 위상 최적설계와 형상 최적설계의 진일보를 위해서 기하학적으로 구조적으로 둘 다 필요하다. 메커니즘의 총괄적인 기하학적 장점과 기계적 효율이 객관적성능으로서 고려되었으며, 이는 입력의 힘분에 출력의 변위, 지지발의 수직 운동과 조정기의 구조 강성의 각각의 비이다. 이들 목적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순차 선형 프로그램최적 기준법이 위상 재료 분포, 능동 구조물과 굽힘힌지의 기하학적 차원을 위해 사용되었다. 이 연구는 메커니즘의 능동성을 최대화 할 뿐 아니라, 위치도의 정확도와 충분한 작업공간을 보장하는 종합적 설계 공정을 보여준다. 실험은 역학적, 구조적 성능의 비교를 통해 설계공정을 유효화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4,000원
        96.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다양한 목적의 대공간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들 공간에 대한 다목적요구로 인해 최근 건립되는 대형 스포츠시설들은 스포츠뿐만 아니라 공연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를 수용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다양한 이벤트 상태의 제공을 위해서 건물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방식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부분적 개폐는 자유음장과 확산음장의음향적 연결을 초래하여 음향설계단계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1/10 축소모형을 이용하여 확산음장과 자유음장의 음향적 연결에 따른 음장의 음향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중주파수 대역에서의 잔향시간은 개구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주파수 대역에서보다 빠른 감쇠를 나타내었다. 또한 EDT는 모든 주파수대역에서 개구율 증가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감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료도는 개구율이 12.5%에 이르기까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이후에는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에너지 감쇠패턴의 분석결과, 이중 및 삼중의 감쇠패턴이 나타나고 있으며, Schroeder 적분에 의한 잔향시간의 산출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부분적 개방형 공간의 잔향예측에 있어서 EDT가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7.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가 온도하중을 받을 때 지반의 전단저항과 슬래브 하부와 지반과의 마찰 등에 의해 생기는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을 고려하여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지반위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강성도로포장의 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탄성지반위의 얇은 판을 이용하여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을 고려하기 위한 해석 공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판요소와 쉘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법에 의한 모델을 개발하여 수치해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해석 공식과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한 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매우 비슷한 결과가 도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슬래브의 상부와 하부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와 슬래브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할 때, 콘크리트 슬래브의 응력 분포에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이 미치는 민감성을 여러 가지의 다른 슬래브의 두께, 탄성계수, 그리고 지반의 수직탄성계수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에서 온도하중을 받을 때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은 슬래브의 응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4,300원
        9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주요 각국 사용성 평가기준을 검토하여 건축물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합리적인 접근방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인천지역의 풍기후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용성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건축물의 사용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사용성을 위한 평가시간과 재현기간의 결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인천의 풍기후에 적합한 사용성 평가방법은 평가시간을 10분, 재현기간을 1년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사용성 평가기준의 제정에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가 수직 하중을 받을 때 지반의 전단저항과 슬래브 하부와 지반과의 마찰 등에 의해 생기는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을 고려하여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슬래브 하부의 수평 저항을 고려하기 위한 해석 공식을 유도하였고 퓨리에변환을 이용한 변환영역에서 이러한 공식의 해를 구하였다. 또한 판요소와 쉘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법에 의한 모델을 개발하여 수치 해석 결과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해석 공식과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한 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매우 비슷한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크리트 슬래브의 응력 분포에 슬래브 하부의 수평저항이 미치는 민감성을 여러 가지의 다른 슬래브의 두께, 탄성계수, 그리고 지반의 수직탄성계수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에서 슬래브 하부의 수평 저항은 슬래브의 응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