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

        8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stablished SGT cell line from human submandibular gland adenocarcinoma was used to study the TGase expression on a cellular level in vitro. Transglutaminase 2(TGase 2) is assoacitated with apoptosis, GTP binding protein, and cell marix interaction. The role of TGase 2 in salivary gland tumors is not clear yet. The pu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TGase expression of SGT cell line compared to other tumor cell lines, and to apply these results to the pathogenesis of salivary gland tumor. TGase enzyme assay of SGT, SCC-15, HN 4 and HeLa tumor cell line was 3 times repeated, and calculated. Immunoslot blot for semiquantitative protein analysis was don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SGT cell line showed the highest TGase 2 enzyme activity(about 6-16 folds) irrespective of pre or postconfluency. 2. HN 4 cell line showed the highest TGase 1 enzyme activity(about 2-3 folds) irrespective of pre or postconfluency. 3. Under postconfluency TGase 1 induction was not induced, but slightly increased in all tumor cell lines. 4. TGase enzyme activity in all tumor cell lines was accompanied with TGase protein formation. From the aboving results, the higher TGase 2 expression of SGT cell line suggested that they would come from submandibular ductal cells and have a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sis of salivary gland tumors.
        4,000원
        8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안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생체 염색시약으로 Fluorescein, Rose Bengal, Erythrosin B, Lissanúne Green B 올 인간의 결박세포인 Clone1-5c-4 cell line올 배 양하여 cytotoxicity릎 조사하기 위하여 1%, 0.25% 의 농도보 5분, 15분 동안 처리하 여 MTT assay, SRB assay를 실시하였다. 각 염색사약의 세포독성올 바교 검정한 결과, Rose Bengal과 Lissamine Green B에서 서I 포 증식 저해용이 30% 이상 나타났 고, 회복효과를 보기 위하여 시약 제거 후 1 일 배양하여 Ml‘T. SRB assay를 실시한 결과는 Rose Bengal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Lissamine Green B 에서는 더 증 가하였다. 또한 5, 15분 동안 시약처리 직 후 subculture활 실시한 후 세포의 부착과 중식정도를 관찰하였고, 회복효과를 보기 위해 3 잊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Rose Bengal은 거의 차이 가 없었으나 Fluorescein 에서는 회복효과를 보였다.0.25% 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에 영향을 주어 세포의 인위적인 손상올 형태학적으로 비교 한 염색상 세포 저해 정도는 Rose Bengal 이 가장 높-았고, Fluorescein 이 제일 낮았 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생체 염색시약이 인간의 결막세포인 Clone1•5c -4 세 포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태트렌즈 다목적 용액 내에는 보존제, 소독제, 세척제, 윤활제 둥이 포함되어 있 으며 콘택트렌즈 표면에 침착하는 단백질올 제거하기 위해 물질의 계변에 홉착되어 그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샤키고 수액 내에 열정 농도이상으로 폰재할 때 미젤 구조를 형성하여 정상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미첼구조내에서 용해시키는 특성 올 갖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연구논 계면활성제의 세척 효과와 세포독성 판계를 연구하고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변활성제 (Tyloxapol, Tromethamine, Poloxamine, Poloxamer40η) 가 생쥐의 섬유모세포인 L• 929 cell line에 미 치찬 저해 효과를 알아보 았다. 계면활성제를 농도별 <0,001-10%, w/w) 토 처리한 후 시간별 (24h, 48h)로 MTT 와 LDH 분석 방법올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친수성 콘택트 렌즈 FDA공인 W 그룹의 렌즈 etafilcon A (함수융 58%) 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꺼내어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처리시간이2, 24h) 에 따라 단백절 제거효과를 조사하였 는데 단백질이 침착된 친수성 콘택트렌즈가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제거된 단백질 량의 정량은 Bradford 정량 방법올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저해효과는 24시간 처리결과 Poloxamine의 ;성우 0.1%이하에서. Poloxamer407은 5% 이하에서. Tyloxapol 은 0.1%이하에서, Tromethamine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윷 나타내지 않았 으나, Poloxamine의 경우 1% 에서, poloxamer407은 7% 에서, Tyloxapol은 1% 에서, Tromethamine은 1.5%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소지판을 중심으로 평가된 MTT 분석 방법은 LDH 유리 분석 방법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계면활성제의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단백질 제거효과눈 Tylox따Xll > Poloxamer-때7> Tromethamine > Poloxamine 순으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량이 높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파똘 통해 미래의 계면활 성제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척효과가 뛰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9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중 널리 사용 되고 있는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단백질 게거 효과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기 위해 먼저 렌즈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계 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라 단백질 제거효과를 UV Photo-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MTT assay, LDH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계면활성제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통일 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며, 세포 수도 농도 의폰적으로 감 소하였다. 독성의 차이는 LDH assay 보다 MTT assay가 더 민감도를 보였다. 침착 된 단백질에 대한 세척효과는 동일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뛰어났 다. 단백질 제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는 최저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월둥히 뛰어났다.
        4,000원
        92.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93.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bovine somatic cells was evaluated using nuclear transfer. A single donor cell derived from fetus of HanWoo(Korean Native Cattle) was selected and deposited into perivitelline space of each enucleated oocyte before electrical fusion and activation. Nuclei of donor cells starved for 7 days (37%) tend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constitute embryo the blastocyst stage better than those of donor cells starved 3, 14 and 30 days. The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P<0.05) in reconstitute embryos derived from large size donor cells(51.2%), than those from small medium size donor cells(76.6 and 73.5, respectively). The developmental rate to blastocyst of reconstructed embryos from medium size donor cells was higher than those from small and medium size donor cel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n appropriate culture period for induction into quiescent stage and the size of donor cells effect on the efficiency of nuclear transfer using cultured bovine cells.
        4,000원
        97.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study the antitumoral effect of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s, the cytotoxicities to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 (U937) and lymphocyte were measured by MTT method. The water extract of Selaginella tamariscina was partitioned into chloroform (CHCl₃), ethylacetate (EtAc), n-butanol (BuOH) and water (H₂O), successively. CHCl₃, EtAc and BuOH fractions of Selaginella tamariscina showed the cytotoxicity to the U937 cells but they had no effect on the cytotoxicity of lymphocyt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umor-specific cytotoxicity of Selaginella tamariscina fractions might have been attributed to their genotoxic effect on actively proliferating cells. The express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was then evaluated by northern blotting.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53 was induced by Selaginella ramariscina fraction V but no expression of p53 was induced by CHCl₃, EtAc, and BuOH fractions of Selaginella tamariscin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53 induced by Selaginella tamariscina water extract (fraction V) should be required for the cytotoxicity on U937 and the other fractions of Selaginella tamariscina mediated the U937 disruption.
        4,000원
        9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쥐 배반포로부터 내부세포괴(inner cell mass, ICM)를 outgrowth로 분리하여 증식 시킴으로써 배아주(embryonic stem, ES)세포를 확립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배란처리와 교미에 의해 생산된 ICR 생쥐의 3.5일 배반포를 sDMEM내의 배아성 섬유아단흥배양층에 배양하여 ICM세포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3.5일부터 분리한 ICM세포들은 배양 7, 8일에 각각 1,500 및 3,200세포의 미분화세포로 증식하였다.
        4,000원
        100.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레드 클로-버의 액체배양세포로부터 내산성 세포선발에 대한 몇가지 요인들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액체배양세포의 유도에는 auxin원으로 2,4-D 2 mg/l와 cytokinin으로 BAP 0.5 mg/l를 혼합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여러가지 기본배지중 PC배지가 액체배양세포의 유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내산성 세포를 선발하기 위하여 EMS를 여러가지 농도에서 4시간 처리했을 때, 가장 효율적인 EMS농도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