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81.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mungbean cultivar Soseon (Vigna radiata (L.) Wilczek)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KM9003-2B-783 and V2939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JARES) in 2003. “Soseon” has erect growth habit, heart leaf, green hypoc
        82.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mungbean variety Samgang (Vigna radiata (L.) Wilczek) was improved from the cross between Keumseongnogdu and V2939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JARES) in 2002. Samgang has erect growth habit, lobed leaflet, green h
        83.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ponses of six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varieties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were investigated. The mungbean varieties were BARI Mung-2, BARI Mung-3, BARI Mung-4, BARI Mung-5, BINA Moog-2, and BU Mung-1. Two-third seeds of each variety were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and the remaining one-third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Rhizobium strains TAL 169 and TAL 441 were used for inoculation of seeds. Inoculation of seeds with Rhizobium strains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nitrogenases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compared to uninoculated contro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It was concluded that BARI Mung-4 in association with Rhizobium strain TAL 169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odulation,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itrogen uptake by shoot of mungbean.
        85.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bining ability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components of synchronization in maturity and determinate growth habit in mungbean, using 6~times 6 diallel cross. Both additive and non-additive gene effects were found conditioning the inheritance of days to first flower, days between first pod and 90% pod maturity (DDd1), plant height from first pod stage to 90% pod maturity (DDhl, DDh2, and DDh3). Only non-additive gene action was important in degree of determination from first pod stage to 90% pod maturity (DDd2). While only additive action was important in plant height at first flower. The predominant additive gene action was observed in all traits but non-additive was significant in only DDd2 . For synchronization in maturity, determinate growth habit, and their components, the best combiners were NM92, VCl560D, and NM89, whereas the best indeterminate combinations were NM92 ~times NM89, NM92 ~times VCl560D, and NM92 ~times ML-5.
        86.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bining ability in mungbean was studied in 15 quantitative traits through a 6 ~times 6 diallel cross. Both additive and non-additive gene effects were found conditioning the inheritane of nodes of the first peduncle, clusters per plant, clusters on main stem and branches, pods per plant, 1000 seed weight, grain yield per plant, biomass, and harvest index. The additive gene action was found significant for nodes on main stem, average internodal length, branches per plant, pods per cluster, pod length, and seeds per pod. The predominace of additive genetic variance was observed in all traits. For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the best combiner were VC3902A, VC1560D and ML-5, while the best combinations were the crosses VC3902A ~times ML-5, VC1560D ~times ML-5, and NM 92 ~times VC1560D
        8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lackgram (Vigna mungo) is more salt tolerant than mungbean (Vigna radiata). This study was initiated to know whether the accumulation pattern of mineral ions in different plant part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ifferences in salt tolerance between the two Vigna species. Different mineral ions, viz. N, Cl, Na, K, Mg and Ca in different organs of two varieties of each of blackgram- Barimash-l (susceptible one) and Barimash-2 (tolerant one), and mungbean-Barimung-3 (tolerant one) and Barimung-4(susceptible one), were analyzed after growing with 0, 50, 75 and 100 mM NaCl solutions. The two crops showed a decreased but similar pattern of total N accumulation under saline conditions. The tolerant variety of both the crops showed a less reduction in total N than the susceptible one. Leaves showed the maximum while stem the minimum N, irrespective of levels of salinity. C l[-10] and N a+ accumula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salinity levels. Interestingly, similar to a halophyte, the salt tolerant blackgram exhibited conspicuously higher amount of N a+ in the shoot than the salt-susceptible mungbean. However, the tolerant varieties showed less amount of N a+ than the susceptible one, especially in blackgram. Seeds of both Vigna spp. accumulated the minimum amount of N a+ than other plant parts. K+ accumulation decreased by salinity in most of the plant parts, except seeds. Blackgram showed larger reduction in K than mungbean. The Mg++ increased in leaves, petioles and stem by salinity while decreased in the roots, podshells and seeds in both the crops. Salinity increased Ca++ accumulation in all plant-parts except roots of both Vigna spp. Apparently, the leaves of mungbean accumulated higher concentration of Ca++ than blackgram. Varietal differences in the accumulation pattern of K+ , Mg++ and Ca++ were not clear. It was concluded that blackgram, presumably, possesses a similar salt tolerance mechanism to halophyte, and the pattern of accumulation of mineral ions in blackgram and mungbean was not fully ascribed to the differences in salinity tolerance between the two Vigna species.gna species.ies.s.ies.
        8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y matter(DM) accumulatio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two Vigna spp., blackgram(Vigna mungo) and mungbean(Vigna radiata), was compared at different levels of salinity. Two vaarieties of each of blackgram (Barimash-1 and Barimash-2) and mungbean(Barimung-3 and Barimung-4) were grown with 50, 75 and 100mM NaCl solutions and tap water as a control till maturity. The DM accumulation in all plant parts of the two crops devreased with the increasing salinity levels. The reducation was severe in mungbean compared to blackgram. On an average mungbean produced only 3% grain yield compared to 37% in blackgram at 100mM NaCl. The salinity induced growth reduction was relatively less in Barimash-2 than that in Barimash-1. In mungbean, the relative DM production of Barimung-3 was greater than Barimung-4. The extent of biomass reducation due to salinity in different plant parts was not similar. At maturity the rank of biomass accumulation (at 100 mM NaCl) in different plant parts of blackgram was in decreasing order by seeds pod-1 (97%), branch plant-1 (88%), 1000-grain weight (79%), plant height(72%), pods plant-1 (50%), leaf weight and root mass(both 49%) and stem weight (48%). In mungbean, the rank was in decreasing order by 1000-grain weight (57%), leaf weight (54%), plant height (52%), seeds pod-1 (50%), branch plant-1 (41%), root weight (34%), stem weight (24%) and pods plant-1 (6%). Therefore, salinity reduced grain yield more than straw and roots of the Vignaq spp., and blackgram is relatively more salt-tolerant than mungbean.
        91.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에 육성된 한국산 녹두품종에 대하여 녹두 용도별 가공 적성분류 기준이 될 수 있는 주요 일반성분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24.3, 3.6%였는데 수분함량은 약 10% 정도였다. 2. 조단백질과 조탄수화물간, 종자수분과 조지방함량간, 종실중과 조지방함량간 등에서는 각각 고도의 부의 유의조관을 보였다. 3. 지방산조성 중 불포화지방산이 60∼67% 함유되었으며 종류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등 4종이었고, 포화지방산이 33∼40%정도 함유되었는데 종류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 behenic acid, lignoceric acid 등 4종이었다. 4.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가 33.4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linoenic acid와 palmitic acid로 각각 21.87, 21.72%였고, 다음이 stearic acid, oleic acid, arachidonic acid가 각각 5.98, 5.87, 4.87% 였으며 behenic acid와 lignoceric acid는 극히 미량 존재하였다. 5.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 oleic acid와 lignoceric, behenic acid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를, palmitic acid와 arachidonic, lignoceric acid간, oleic acid와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와 lignoceric acid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종실중과 oleic, arachidonic, behenic acid간에 고도의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92.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에 육성된 한국산 녹두품종에 대하여 용도상 분류 기준이 되는 하배축신장성과 주요 성분함량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배축 신장성이 큰 품종은 4234-697과 금성녹두였으며 남평녹두는 중간정도, 선화녹두는 작았다. 2. 파종 후 치상온도가 높을수록 하배축 신장은 양호하였는데 고온에서는 파종직 후부터 급속한 신장을 나타냈다. 3. 냉장고에 저장한 종자의 하배축신장성은 상온에 저장한 종자보다 하배축신장성이 양호하였다. 4. 종자크기와 하배축신장성과는 품증에 따라 각각 다른 상관정도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93.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방에서 녹두의 적정파종기를 구명 하고자 1988~1990년에 선화녹두를 6회 (4월 20일, 5월 10일, 6월 1일, 6월 20일, 7월 10일, 7월 30일) 파종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부터 개화시까지의 일수(개화일수)는 파종이 4월 20일에서 6월 20일로 늦어짐에 따라 3개년 평균 56.7일에서 36.7일로 단축되었으나 7월 10일 이후 파종구에서는 1988년 7월 10일 파종구의 41일을 제외하고는 개화일수가 30~35일이었다. 출아부터 개화시까지의 일평균기온의 평균치가 증가됨에 따라 개화일수는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2. 개화시부터 성숙시까지의 일수는 4월 20일~7월 10일 파종구에서는 14~21일로 파종기간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나 7월 30일 파종구에서는 29~40일로 크게 길어졌다. 3. 개체당 협수, 협당립수, 1000립중, 수량 등은 대체로 6월 1일과 6월 20일 파종구에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조파하였거나 만파한 경우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제주지방에서 녹두의 적정파종기는 6월 중하순으로 판단된다.
        94.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방에 있어서 녹두의 적정휴간거리 밝히고자 1988년부터 1990년에 주간거리와 주당 본수를 각각 10cm, 2본으로 하고 휴간거리를 20(50주 / m2 ), 30(33.3주 / m2 ), 40(25주 / m2 ), 50(20주 / m2 ), 60(16.7주 / m2 )cm로 달리함에 따른 선화녹두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시와 성숙시는 휴간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경장, 본당 협수, 협당 립수, 1000립중 등은 휴간거리가 좁아짐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종실수량은 휴간거리가 60cm에서 40cm로 좁아짐에 따라서 2차곡선적으로 증가되었으나 휴간거리가 더 좁아질 경우 수량도 감소되었다. 제주지방 선화녹두의 적정휴간거리는 40cm로 판단되었다.
        96.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재배시 토양중 검기비 조절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pH가 낮은 개간지 토양과 pH가 높은 숙전의 토양에 질소, 인산, 가리를 조합 시비한 시험에서 식물체와 토양시료를 심취 분석하여 이들의 검기비와 녹두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토양중 Ca/Mg비는 녹두의 검수, 분지수 및 수량과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equation omitted) 비는 검수 및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개화기 토양중 Ca/Mg의 절위는 1.9∼6.4 절위이었으며 3.9 이상에서는 녹두 수량에 크게 영향하지 않았으나 1.9∼3.9 사이에서는 3.9에 가까울수록 녹두수량은 급격히 증가되었다. 3. 개화기 토양중 (equation omitted) 비는 0.17∼0.33절위이었으며 0.23이상에서는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하에서는 수량감소가 심했다. 4. 수확기 식물체중 Ca/Mg의 절위는 1.4∼4.3이었으며 2.6 이상에서는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1.4∼2.6 사이에서는 Ca/Mg 비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되었다.
        97.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녹두재배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녹두의 지상부 형질,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종실성분 변화를 구명코자 숙전 및 개간전에 질소, 인산, 가리의 시비량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태는 토양류형에 관계없이 식물체 중앙부인 제5절간 > 기부절간 > 상위부위인 제9절간 순으로 굵었으며 특히 제5절간은 3요소시용과 상관이 있었다. 2. 식물체 상위 4개 절위의 엽병각은 숙전에서보다 개간전에서 증대되었다. 3. LAI는 어는 생육시기에서나 숙전에서 높았다. 특히 3요소 시용 및 3요소+퇴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개간전에서는 인산의 효과가 현저하였다. 4. 개화후 20일의 LAI가 클수록 건물중 및 종실수량은 많아졌으며 NAR은 낮아졌다. 5. 숙전에서는 가리시용, 개간전에서는 인산시용에 의한 주당협수의 증가로 종실수량이 증가하였다. 6. 종실성분중 유지함량과 단백질함량과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7. 종실수량에 크게 영향하는 것은 개체당 협수로서 협수와 종실수량과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98.
        198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종기이동에 따른 콩, 팥, 녹두의 개화기분포와 결협율의 변이를 알기 위하여 중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하나씩을 공시, 5월 10일, 6월9일, 7월 9일 파종구 및 5월 10일 파종후 단일 처리한 구를 두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각 처리별 개화까지의 일수, 개화기간 그리고 개화시에서 정엽출현까지의 일수를 비교한 결과 공시된 중 품종은 유한신육형에 그리고 팥과 녹두는 무한신육형에 속하는 것이었다. 2. 주당개화수 및 성숙협수는 3작물이 모두 7월9일 파종구 및 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결협율은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 없이 콩 38~48%, 팥 23~34%, 그리고 녹두 46~60%였는데 콩과 녹두는 낙화 그리고 팥은 낙협이 각각의 결협률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3. 콩은 어느 파종구에서든지 1회의 개화성기를 보인 반면 팥과 녹두는 극만파구민 7월9일 파종구를 제외하고는 2~3회의 개화성기를 보였고 개화최성기는 콩이 개화시로부터 10일 이내에 왔으나 팥과 녹두는 파종기에 따라서 개화시로부터 25~45일 사이에 왔다. 4. 개화기에 따른 성숙협수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개화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콩의 결협율은 개화최성기 직후에 핀 꽃들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전 및 이후에 핀 꽃들이 점점 높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의 결협율은 각 개화성기 직전에 된 꽃들이 높았고 그 직후에 핀 꽃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구는 3작물에서 모두 시기적으로 늦게 핀 꽃일수록 결협률이 낮아졌다. 5. 중은 모든 파종구에서 정엽출현일을 전후로 한 5일 동안에 개화최성기를 보였으며 정엽전개 이전에 핀 꽃 및 여기서 생긴 성숙협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팥과 녹두는 정엽출현기와 개화 또는 결협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었고 정엽전관 이후에 더 많은 꽃을 피웠다.cally, in Japan, the time came under Nara(나양) era(AD.719~AD.794) and the beginning of PyungAn(평안) era(AD.794~AD.1192) and in the same way in Parhae, King Mun(737-793) reign. One of the features at that time is that Tang's culture was introduced to ancient Japan positively. Since Nara era strongly accepted Tang's culture, I assume that Nara costumes were affected by Tang's therefore they are the same as Tang's. In the same way, Parhae's costumes are the same as Tang's, too. The point is,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s of Parhae which were exchanged with ancient Japan are similar to those of Nara by the medium of Tang's costumes. the product category could be set up the population clearly.의 무게와 부피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 변화는 48주간 전혀 없었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조직의 강도(hardness)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는 48주간 hardness의 변화가 전혀 없었다. Frozen mashed 감자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응집력(cohesiveness)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다른 시료들은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