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81.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lack seed coat soybean cultivar with green cotyledon, Cheongja 2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3. Cheongja 2 was selected from a cross Milyang 70 / Ilpeumgeumjeongkong.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
        82.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in the level of metabolites in leaves and pods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seed chemical composition in black soybean. There was no further increase in pod length after 42 days after flowering (DAF). Pod weight, however, persistently increase until 73 DAF, thereafter the weight was slightly lowered. The seed storage protein, however, increased drastically as the increasing rate of pod weight was lessened at 61 DAF. The accumulation of seed storage proteins was occurred conspicuously as the increasing rate of pod weight was slowed down. The chlorophyll content both in leaves and pods was drastically decreased after 50 DAF. The beginning of drastic reduction in chlorophyll content was occurred concomitantly with the reduction of soluble protein content in leaves. The sugar content in leaves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chlorophyll and soluble protein content. The starch level in leaves, however, showed different changing pattern during seed development. The starch content in leaves was increased persistently until 66 DAF, thereafter the content was decreased drastically to about 55~% of maximal value at 66 DAF. Total phenolics content in leaves and the anthocyanins content in seeds were stable without noticeable increase until 66 DAF. The content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66 DAF showing the synchronized pattern with the decrease in starch level in leaves. The levels of the selected metabolites in leaf and seed suggested that the accumulat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soybean seed is launched actively at 66 DAF. The profile of storage proteins was nearly completed at 61 DAF because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in densitometric intensity among protein subunits after 61 DAF. In soybean, chemical maturation of seed begins around 61 to 66 DAF at which most metabolites in vegetative parts are decreased and remobilized into maturing seeds.
        83.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eries of aqueous extracts and residues from leaves, stems, roots, pods and seeds of Korean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and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activities through petri-dish and greenhouse experiments, and the results showed highest inhibition in the extracts or residues from the seeds, and followed by pods. The extracts of 40g dry tissue ~textrmL-1 applied on filter paper in petri-dish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and especially extracts from seeds and pods reduced root length of alfalfa more than those from leaves, stems, or roots. Plant height, root length, shoot and root dry weights of barnyard grass were reduced significantly by residue incorporation of seeds and pods as the incorporated amount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soybean plants had herbicidal potential, and their activities were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parts.
        8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bean variety “Geomjeongkong 3” was released by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hinano-kuro and SNU78010, the elite breeding line with large seed, in the summer season, 1990. The
        85.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ee anthocyanins were isolated from the acidif ied ethanol extract of black soybeans (Glycine max M. cv. Geom jeongkong 1) using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 atography. The anthocyanins were characterized as delphinidin 3-glucoside (D3G), c
        87.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lack seed coat soybean variety, Geumjeongkong 4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2001. Geumjeongkong 4 was selected from a cross Paldalkong/YCS87-3//YCS87-3.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
        88.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lack soybean cultivar with green cotyledon for cooking with rice, Heugcheongkong was developed at the Kangwon Province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in 1999. Heugcheongkong was selected from Yeongwol local cultivars. To breed high-qualit
        89.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콩국수용 즉석 콩스프를 개발하기 위하여 콩스프 가공을 위한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콩스프 가공은 원료 침지, 증숙, 탈피, 건조, 분쇄, 제품포장의 순으로 하였다. 최적 콩 침지조건은 에서 4시간이었고, 이때 단백질의 함량은 노란콩 21.97%, 검정콩 19.88%이었다. 증숙처리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분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10에서 15분간 증숙처리한 것이 관능검사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열풍건조시 노란콩과 검정콩의 단백질
        91.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도의 다양화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검정콩의 우량 품종육성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활용코자 수집 선발한 재래검정콩 28계통의 종실크기에 따른 형태, 수분흡수성 및 알칼리 붕괴도의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크기별 수분흡수는 5, 20℃ 의 낮은 온도에서는 소립종에서 낮았고 40, 60℃ 의 높은 온도에서는 소립, 중립, 대립종간 차이가 없었다. 2. 검정콩의 수분흡수는 종실 크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침지온도 20℃ 이하에서는 10시간 이후에, 40℃ 에서는 10시간, 60℃ 에서는 4시간 정도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3. 100립중은 종실의 길이, 폭, 두께와는 각각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종실폭과 상관이 가장 높았다. 4. 알칼리 붕괴도는 입중이 무거울수록 높았으며, 100립중, 종실길이, 종실폭, 종실두께, 종실배꼽 길이와는 각각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5. 알칼리 붕괴도는 녹색 자염계통이 황색 자엽계통보다 높았다.
        92.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검정콩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우량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집한 검정콩 28개 재래종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와 품종군별 생산적 검정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 검정콩의 결실일수는 58∼82일, 생육일수는 117∼148일로 변이폭이 컸으며, 결실일수와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100립중이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2. 만숙군에서 비율이 낮았고, 생육일수는 개화일수, 결실일수, 100립중, 경장, 분지수 등과는 각각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주성분분석 결과 상위 2개의 주성분만으로도 전체 변동의 76.5%를 표시할 수 있었으며, 품종간 유연도를 나타내는 single link cluster 분석으로 28개 수집재래종을 9개의 품종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4. 품종군 분류에 의해 다협, 소립, 다수성인 남해 -2, 함양-1을 나물콩용으로 선발하였다.
        93.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질의 밥밑콩 품종 육성 및 유전자원으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전국에서 수집한 검정콩 965계통을 대상으로 종실의 외형적 특성과 그 분포를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검정콩 계통의 100립중 전국평균은 28.1g이었으며 도별 변이를 보면 경기도와 경북 수집 계통이 무거웠으며 전북, 전남지역이 가볍게 나타났다. 2. 성숙군별 100립중의 차이는 중, 만숙군에서는 성숙군이 늦을수록 100립중이 무거웠다. 3. 수집검정콩 종실의 입형은 대체로 타원형이었으며 길이:폭:두께 비율의 평균은 1:0.77:0.77이었다. 4. 수집검정콩의 자엽색 분포에서는 72%가 황색자엽이었으며 27%가 녹색자엽이었다.
        94.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질의 우량 밥밑콩 육성 및 유전자원 확보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전국에서 수집된 검정콩 965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생태적인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수집검정콩 계통의 엽형은 97%가 광엽이었다. 2. 검정콩 수집계통의 90%가 자색꽃을 지녔으며 백색인 계통도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3. 수집 검정콩계통의 9a%가 갈색 모용을 지니고 있었다. 4. 검정콩 수집계통들의 협색은 갈색이 60%, 담갈색이 27%, 암갈색이 10%를 차지하였다. 5. 검정콩 수집계통들의 개화일수는 35~78일의 변이폭을 보였는데 전 계통의 61%가 61~70일 사이에 본포하였다. 6. 결실일수는 89%가 61~80일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생육일수는 92~147일의 변이폭을 나타내었다.
        95.
        199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는 특수한 용도로 이용되어온 수집 검정콩 및 기타 유색콩 1,081점에 대한 종실의 주요 품종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이와 관련된 몇가지 형질들에 관한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수집 검정콩 유전자원 1,081점의 조단백, 조지방, 전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1 ~ 48.0% (평균 39,8%), 조지방은 14.1~ 23.8 (평균 20.1%)이었으며 전당함량은 8.3~12.1% (평균 10.1%)의 변이를 보였다. 이들 화학성분을 성숙군별로 나누어 비교하면 대체로 조생종일수록 조단백 함량치가 높은 반면 전당은 만생종일수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녹색자엽을 가진 수집종이 황색자엽 보다 종실의 당함량이 높고, 소비자의 선호도도 높아 밥및콩 육성시 중요한 형질일 것으로 판단된다. 수원 15005 등 5계통의 평균 지방산 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 비율은 84%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