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81.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the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fishing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Y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anuary, 1990 to September, 1992, and the data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catch data from the joint market ofYosu fisheries cooperative society from 1984 to 1993. The resuIte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7.0 to 27℃.and 26.6 to 33.2‰, and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decreased from September to February of following year. 2.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s was relatively high without significant changes from November to June of the following year. From July, however, the salinity decreased to continue a low value till September and then increased.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dominated mainly by the precipitation and its variation was large at the north entrance of set net fishing ground, influenced greatly by the land waters from the river of Somjin, but small in the offshore of the fishing grounds. 3. The fishes caught by the set nets were arranged in order of catch as follows; Spanish mackerel〉 Horse mackerel 〉 Sardine 〉 Anchovy 〉 Hair tail. The catches of Anchovy and Sardine were high in April to May and those of Hair tail in June to July, but Spanish mackerel and Horse mackerel were caught for whole period of fishing. Spanish mackerel was caught most in September and least in April and their means were largest in August and smallest in June. 4. The ranges of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fishing by the set nets was 13.5 to 25℃., and in the ranges the catch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ranges of optimum salinity for fishing varied between 25.0 and 32.0‰.
        4,000원
        82.
        199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1990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채집해서 분석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여수수협 위판장으로부터 구한 어획량 자료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량은 춘계와 추계보다 하계에 최대가 되고, 특히 육수의 유입이 많은 여수만 중 돌산연안 수역 분포량이 많고, 소리도와 세존도부근의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량은 내만수의 확장 경향을 추정하는데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2) 여수 연안 정치망에 어획되는 주요 어종의 어획량은 삼치, 갈치, 고등어, 정어리, 멸치, 전갱이 및 방어의 순이고, 어획되는 시기는 정어리와 멸치가 4~6월, 전갱이, 갈치 및 고등어는 6~10월이 였으며, 삼치는 전 어기에 걸쳐 어획되었다. 3)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어획량은 식물성 플랑크톤 출현량과 상관 관계가 있고, 이들 식물성 플랑크톤량은 하계 육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만수에 최대의 출현량을 보인다. 또, 이 어장의 어획량은 하계에 많으므로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은 육수의 유입에 의해 풍부한 영양염류를 공급받는 내만수내의 이료생물의 생산력이 어획량을 좌우하는 어장의 중요한 환경요인이 될 수 있다
        4,000원
        83.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The current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s was observed by drogue and current meter in 1990 and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the north enterance of Yeosu bay was southerly in ebb and northwesterly in flood without the distiction of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In spring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68 cm/sec in ebb and 66 cm/sec in flood. In neap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37 cm/sec in ebb and 35 cm/sec in flood. And so the direction of residual current was the south ward mainly and 21 cm/sec.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set net fishing grounds was southwesterly in ebb and westerly or northwesterly in flood.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neap and spring. The maximum velocity of the current in spring tide was 50 cm/sec in ebb and 40 cm/sec in flood and that in neap was 28 cm/sec in ebb and 25 cm/sec in flood. In spring tide the speed vector along the major axis of semidiurnal tide component was three times as large as diurnal tide. In neap tide, however, the speed vector was about 50% less then that in spring tide, and the semidiurnal tide and diurnal tide were equal in the size of current ellipse and the direction of major axis. The sea area had a southwesterly residual current. 11 cm/sec in spring tide and 7 cm/sec in neap ti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drogue tracking, the vicinity of set net fishing ground had a southerly residual current which formed in Yeosu Bay and a weak westerly residual current toward Dolsando from Namhedo. Therefore, set net fishing ground in coastal water of Yeosu was distributed in boundary of inner water which formed from Seamjin river and offshore water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chido.
        4,000원
        84.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 소장을 조사한 결과 1990년 충남 예산에서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중하순, 8월 중순, 9월 하순, 11월 중순이었다. 1991년 충남 아산에서 발생 최성기는 7월 하순, 8월 하순~9월 중순, 11월 중순이었다. 1990년 3년 동안 수원에서 조산한 결과 해가 경과함에 따라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1991년 충남 아산의 파 포장에서 유충의 경시적 밀도를 조사한 결과 4회의 발생 피크가 있었고 최고 밀도에 도달한 9월 중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급격히 감소 하였다. 수원 지역에서 산란 최초일이 5월18일이 될 경우 년 4세대 발생이 가능하며 제 1세대는 48일, 제 2세대는 25일, 제3세대는 23일, 제4세대는 58일이 소요되었다.
        4,000원
        85.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의 약제저항성 변동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복수아혹진딧물의 Carboxyl esterase(CE) 활서측정에 의한 저항성도의 변동상황을 조사하였다. 비닐하우스에서 고추육묘중 발생한 복수아혹진딧물의 CE활성 측정 결과 약제저항성도는 무처리구가 40이였으나 아세페이트를 처리한구는 78로 약제처리로 인한 저항성도가 38이 증가하였다. 또한 노천망실에서 약제처리를 하지 않고 재배한 케일에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의 CE활성에 의한 저항성도는 7월이 24이었으나, 8, 9월의 활성이 계속 증가하여 10월이 83으로서 최고에 달하였다가 11월에는 다시 81에서 79로 약천 떨어지고 있어 약제이외에 저항성도의 자연변동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국적으로 18개장소에서 채집한 진딧물의 CE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성도의 평균이 여름은 5014였으며 늦가을인 11월은 8210으로서 여름보다 늦가을인 11월이 32가 높았으며 그중에도 약제를 살포사지 않은 곳 보다 약제살포 회수가 많은 곳일수록 높았다.
        4,000원
        86.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용약제를 공시하여 1983년부터 4년에 걸쳐 포장에서의 약효와 실내에서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마라치온을 포함한 7종의 살충제의 방제가가 현저히 낮았다. 또한 포장에서 계절별로 발생한 개체군에 대한 각 약제의 감수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제에 따라 1~167배의 약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3,000원
        87.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fishing ground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catches on the grounds were carried out from Jan. to Dec. in 1990 and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ecause of the surveyed area is a costal shallow water, the fishing ground was influenced largely by atmospheric phenomena such as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etc. and so showed large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yearly. The inner water flowed out mainly between Yeosu ad Namhe-do, and then through Kumo-do between Dolsan-do and Kumo-do. On the other hand, off shore water was supplied into the fishing groun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thus the fishing ground was occupied usually by various sources of water. 2) The water mass in the fishing ground were divided into the inner water(29.0~30.6‰) and the mixed water(31,7~32.2‰) and off shore water(32.3~32.8‰) accou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from T-S diagram plotted all salinity data observed in 1990 and 1992. In summer the inner and mixing water which was formed by river flowed southerly and spread south-easterly in the vicinity of Kumo-do. The off shore water which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and inner water formed the thermal front and halo front in summer. 3) The fishes caught by the set net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catch amounts as follows: Spanish mackerel〉Horse mackerel 〉Hair tail〉Common mackerel〉 Sardine〉 Anchovy. The Catches of anchovy and sardine were high in April to May and those of hair tail and horse mackerel in July to September, but spanish mackerel were caught during the whole period of fishing. When inner water and mixing water appeared respectively and inner water and mixing water speared together in the set net fishing ground, the set net showed a high catch.
        4,800원
        89.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 Ye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un. 1988 to Dec. 1990. The resulte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ater mass in the fishing grounds were divided into the inner water (29.50-31.00‰), the mixed water (31.10-32.70‰) and the offshore water (32.70-34.30‰)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from T-S diagram plotted all salinity data observed from Jun. 1988 to Dec. 1990. In spring the mixing water prevailed and in summer the inner and mixing water. But in autumn and winter the mixing and offshore waters prevailed. 2) The inner water which was formed by land water from the river of Somjin and the precipitation in the Yeosu district flowed southerly along the coast of Dolsando and spread south-easterly in the vicinity of Kumodo. The inner water and offshore water which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formed the thermal front and halofront. 3) As the mixing water flowing from the western sea of Cheju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low in temperature, the water mass of low temperature which appeared at the offshore bottom of Sorido in summer was considered not to be the Tsushima warm current. 4) As vertical mixing was made frequently in spring, autumn and winter, the difference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between surface and bottom was respectively small. In summer, however, the mixing was not made because of the inner water expanded offshore through the space between surface and 10m layer and so a thermocline of 2.0℃/10m and halocline of 4.0‰/10m respectively in vertical gradient was formed. 5) In the vicinity of Dolsando and Kum a water low in salinity prevailed, but in the vicinity of Namhaedo and YoKchido the reverse took place. The inner and mixing waters formed at these arease was limited to the observation area not to spread widely.
        4,000원
        90.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0~1988년의 19개년간 한국 남해안에서 어획된 멸치의 어황조사 자료와 해황조사 자료를 토대로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장형성과 어황변동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획량은 1970년에 21, 000M/T에 불과하였으나 그 후 크게 증가하여 최근에는 10만 M/T 내외의 어획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대상어종은 멸치로서 이 한 종이 전체 어획물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기는 1월~3월, 7월~12월까지이며, 이 중 성어기는 7월~12월(최성어기: 8월)이고 한어기는 1~3월로 나타났으며, 어장은 여수해협으로부터 남해연안을 거쳐 방어진 사이의 해역에서 형성되나 계절별로 다소의 변동을 하고 있다. 3. 멸치의 춘계(4~6월) 산란군의 어획량(X)과 추계(7~12월) 어획량(Y)과의 사이에는 Y=62,246+1.30X, r=0.63의 관계식으로 나타나므로서 멸치의 춘계 산란군의 양과 추계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황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황 풍.흉은 해양구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멸치의 중심 어장인 남해 중동부 해역과 동해남부 및 남해서부해역의 수온이 심한 차이를 보이므로서(수온표준화지수 FI는 남해 중동부 해역이 -50~-150) 수괴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거나 수온전선이 연안측 가까이에서 형성될 때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최성어기인 8월에는 수온약층이 20~22℃의 수온대를 중심으로 10m에서부터 20m 이내의 수층에 조밀하게 형성 될 때 좋은 어장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불황을 보인 해에는 남해 중동부 해역에서 현저한 저수온(FI=-50~-150)을 보이거나 해역간의 수온 분포가 동질적이어서 수괴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 8월의 수온약층도 30m보다 깊은 수층에서 나타났다.
        4,000원
        91.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4,000원
        92.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ore rational and practical planning theory for amusementpark. It analyze and considerate the fluctuation of the people who come and use a Tong-Ch'on amusementpark.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 There are considerable correlation between use fluctuation and some factors. The factors are season (spring, summer, autumn) as a time, temperature, cloud amount, duration of sunshine, weather (rainy day) as a climate and date (weekday, holiday) as a social system. The important variables are temperature, cloud amount, duration of sunshine and date (week day, holiday) to estimate the user of amusementpark. I can reduce the following two types of regression models. 1. () 2. () Y ; Number of User TEM ; Temperature CLO ; Amount of cloud SUN ; Duration of Sunshine WI ; Weekday W3 ; Holiday Those model is inorder to estimate the user for management of Tong-Ch'on amusementpark and use on the computation of facility size for reconstruction. Besides the amusementpark, city park and outdoor recreation area could estimate of user throuth this method. But, I am not sure about the regression models because I didn't apply the regression models to the other amusementpark, city park or outdoor recreation area. Therefore, I think that this problem needs to study in the future.
        4,000원
        94.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사시나무(Populus )의 줄기 식입해충(害蟲)인 포푸라하늘소 (Compsidia populnea L.)의 발생(發生) 및 생활사(生活史)에 관(關)한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포푸라하늘소는 년(年) 1회(回) 발생(發生)하며 갱도내(坑道內)에서 유충(幼蟲)으로 월동(越冬)한다. 2. 성충(成蟲)의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춘천지방(春川地方)의 경우 5월(月) 12일경(日頃)이었고 초출현시기(初出現時期)는 춘천(春川) 5월(月) 5일(日), 가평(加平) 5월(月) 6일(日)이었다. 3. 성충(成蟲)은 우화(羽化)한 후(後) 일간(日間) 갱도(坑道)속에 머물다가 탈출공(脫出孔)을 뚫고 밖으로 나오는데 출공후(出孔後) 산란일(産卵日)까지 걸리는 기간(期間)은 평균 10.7일(日)이었으며, 산란기간(産卵期問)은 야외조건하(野外條件下)에서 평균(平均) 14.3일(日)(일(日)), 실내조건하(室內條件下)에서 평균(平均) 6.4일(日)(일(日)) 이었으며,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야외(野外)조사에서 숫컷의 경우 평균(平均) 11.0일(日)(일(日)), 암컷의 경우 평균(平均) 13.8日(일(日))로 암컷이 다소 긴 경향이었다. 4. 산란(産卵)은 직경 의 년생(年生) 가지의 표피(表皮)에 U자형(字形)의 흠집을 만든후 표피(表皮)밑에 산란(産卵)되며 암컷 한마리당 만든 산란흔(産卵痕)은 평균(平均) 56.6개(個)(개(個))였고 재란율(在卵率)은 67.9%로 총산란수(總産卵數)는 평균(平均) 38.5개(個)(개(個))였으며 개체별(個體別) 차이(差異)가 많았다. 알은 장타원형(長楕圓形)으로 길이는 평균(平均) 2.6mm(), 폭은 0.78mm() 정도로 유백색(乳白色)이었다. 5. 난기간(卵期間)은 항온조건하(恒溫條件下)에서는 평균(平均) 9.5日(), 야외(野外)에서는 5월(月) 20일전(日前)에 산란(産卵)된 알의 경우 일(日), 5월(月) 20일(日)5월말일(月末日)의 경우 일(日), 6월(月) 이후(以後)에 산란(産卵)된 알은 일(日)로 기온(氣溫)이 높아짐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6. 유충(幼蟲)은 부화후(孵化後) 수피(樹皮) 바로아래 부분(部分)을 주간(週間) 식해하다가 목질부(木質部)로 갱도(坑道)를 뚫고 들어가며 피해부(被害部)는 충영을 형성(形成)하는데 충영의 크기는 장경(長經)이 평균(平均) 1.8cm(), 단경(短經)이 평균(平均) 1.6()였으며 갱도(坑道)의 길이는 평균(平均) 3.1cm()였다. 7. 유충(幼蟲)이 완전(完全)히 성숙(成熟)하는 시기(時期)는 9월말(月末)10월(月) 초순(旬)경이며 유충태(幼蟲態)로 월동(越冬)하며 용화시기는 4월초순(月初旬)경이었다. 용기간은 항온조건하(恒溫條件下)에서는 평균(平均) 11일(日)(일(日))이었으나 야외(野外)에서는 30일이상(日以上)으로 관찰되었다.
        4,000원
        95.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에 있어서 고등어류 어획량 즉 자원량 변동에 따른 어장분포범위의 변동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환경변화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어획자료는 일본국 농림성조사부 및 국립수산진흥원의 해구별 선망어획량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중에서 어획량이 적었던 1968년, 가장 많았던 1974년과 그 후 다시 적어졌던 1980년에 대하여 어획량을 계절별로 집계하여 분석하였다. 해양관측자료는 일본기상청과 국립수산진흥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등어류 어장분포는 어느 계절이나 3개년 모두 동지나해 중앙부를 중심으로 북동부와 남서부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계와 춘계에는 쿠로시오역 내측에 폭이 좁은 띠모양[대상]의 어장이 형성되었다. 어군의 북상시기인 하계와 남하시기인 동계에는 한국연안과 쓰시마난류역을 따라서 어장이 형성되었다. 어장분산은 하계가 제일 크고 춘계가 가장 적었으며, 누년 큰 변동이 없었으나 자원량이 많았던 1974년 이후인 1980년이 가장 컸다. 어장의 집중과 분산은 수온약층과 수온의 수평기울기의 크기와 관련이 있었다.
        4,000원
        96.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황해의 저층에 서식하는 강달이 어장의 형성구조와 그 변동에 미치는 해양환경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안강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1970~1979)와 해양관측재료를 이용하여 어장의 계절별, 경년별 변동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강달이 어획율의 약 70%가 집중하고 있는 중요어장은 대흑산도와 Sokotra Rock 주변해역이었다. 또한 이들 해역은 CPUE가 비교적 크고, C. V.가 0.9~1.4로서 작게 나타나 어황이 안정된 좋은 어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주어기는 2~3월과 6~7월이었으며, 1974~1976년의 주어기 CPUE는 평년의 약 2배 이상이었다. 중심어장의 분포역은 평균수심 50m 내외의 황해저층냉수와 대마난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이었으며, 수온 및 염분은 각각 10~13℃, 32.5~34.4‰ 이었다. 주어장은 주로 황해 저층 냉수괴의 연변에서 형성되고, 이 수괴의 소장에 따라 계절변동을 하고 있었다.
        4,000원
        97.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남해안에 있어서의 오메가신호의 지역적인 변화와 측정위치의 정도를 알기 위하여 제주(33˚31'.0N, 126˚31.9E)와 부산(35˚7'.9 N, 129˚6'. 3 E)에서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2월 28일까지 A-C pair 및 A-E pair에 대하여 동시 관측하여 오메가신호의 일변화, 두 지역 간의 실측PPC의 상관관계 및 차의 분포, 차등오메가 이용할 경우의 측위의 정도를 검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주와 부산 두 지역 간의 오메가전파의 위상차는 정의 상관관계의 평균치는 A-C pair는 0.7, A-E pair는 0.75이었다. 2. 「제주실측 PPC-부산실측 PPC」의 반달마다의 평균치의 범위는 A-C pair는 17.7~21.3 cels이었으며, A-E pair는 -2.9~2.0cels이었다. 3. 두 지역에서 차등오메가로 이용할 경우의 측정위치의 오차의 범위는 1.0~2.2 miles이었으며, 오차권의 평균치는 1.52mile, 표준편차는 0.21mile이었다.
        4,000원
        100.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실험은 몇가지 우화기구를 사용하여 기구형에 따른 우화상내 온도변화가 솔잎혹파리의 우화소장에 미치는 영향 및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변화와 우화소장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처리별 우화소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화기구별 상내 최고온도는 현저한 차리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Vinyl형은 월평균 가 높았고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표준형의 순이었다. 2) 처리별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최저온도분포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Vinyl형 처리구에서는 우화최성일이 5월 15로 대조구에 비하여 20일 앞당겨했고 표준형구와 Cage-50구도 14일 빨라졌다. 4) Funnel형 처리구에 있어서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의 분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우화최성일은 6일이 지연되었다. 5)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처리효과는 12월중순과 3월중순의 최고온도의 상승이 우화최성일을 앞당기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