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1

        10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s changing rapidly from the traditional HVAC central supply system to the individual supply system with electrical heat pump system (EHP) in Korean school buildings. The individual supply system has advantages to turn on and off individually and to adjust the thermal comfort separately, but energy is wasted in the unoccupied classroom when the last leaving occupant does not turn off the controller. If the controller is to be off automatically while the classroom is not in use, energy consumption would decrease dramatically. This project aims to cease the unnecessary EHP supply in vacant classroom by inputting the class schedule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to reduce the energy-spending. Experimental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the controlled classroom that is turned off when not in use and the uncontrolled room that is turned on continually. Occupant's comfort and energy consump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 controlled case and the uncontrolled case.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trolled classroom case is 30-60% less than that of the uncontrolled classroom case. This result shows that controlling the cooling supply for the unoccupied classroom using the class schedule can decrease the energy consumption remarkably. This supply control system can be used to conserve energy in school structures like universities.
        4,000원
        105.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축제를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 및 홍보를 위하여 자체적인 전담기구 및 추진위원회, 조직위원회 등 많은 기구를 두고 운영 하고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이벤트사 및 기획사가 행사를 대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축제들이 관주도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선심성 및 선전용으로만 전락되어 축제의 본질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전문가를 확보하지 않는 상태에서 관 주도형 및 일부 몰지각한 회사들의 이익을 위한 축제들도 많이 등장하여 주민들의 혈세로 진행되는 축제의 예산의 낭비를 초래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이 시점에서 제기하고 싶은 것 은 열악한 교육환경이다. 현재 대부분의 4년제 대학교와 일부 전문대학에서는 광고홍보학과에서 축제 이벤트 관련 교육을 일부 다루기는 하나 이벤트 기획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학교가 희박하며, 교육을 할 전문 인력 또한 부재하다. 이벤트 기획 및 실무 교육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며, 대학교와 대학원외 현 이벤트업계 종사자들을 재교육할 전문기관의 설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21세기 첨단 문화산업의 선구자로 우뚝 선 지역축제를 잘 선도하여 전문성 및 독창성을 갖고 각 지자체들의 특색을 잘 살려 관광객들을 많이끌어들여 지방 자립도 확립 및 살기 좋은 고장으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갖추어야 할 문제를 전문 교육에서 부터 출발을 해야 할 것이다.
        7,000원
        10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설계안은 전라북도 익산시 신용동 344-2번지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광장에 대한 조경계획 설계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원불교 이념을 기반으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원광대학교의 역사성 및 정체성을 담은 랜드마크적 공간으로 조성함과 동시에 이용도가 낮은 기존의 중앙도서관 광장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그 이용률을 향상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지속가능한 옥외공간을 조성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차별화된 오픈스페이스공간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주변토지이용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먼저 지속가능한 옥외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배치 및 동선,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고 점진적인 성장성을 확보하였다. 차별화된 오픈스페이스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원광대학교의 교조인 봉황의 이미지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동선과 포장패턴으로 담아내었으며 수덕호와의 연계를 통한 친수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원불교 이미지 도입을 위해 원불교 교리의 핵심인 일상수행의 요법 9조목을 새겨놓은 열주를 세웠으며 열주에는 뻘삽 모형을 형상화 하였다. 또한 대나무 열매를 먹는 봉황의 전설을 도입하였는데, 대나무를 식재함으로써 봉황이 날아오는 학문적 태평성대를 기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으로 주변토지이용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광장을 진입, 만남, 휴식 및 이벤트, 수변공간의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교내이용자들의 행태에 맞는 공간을 창출하여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촉진하였다.
        4,000원
        107.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따른 전문대학교내 사회복지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체계화하고, 사회복지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복지과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2011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전문대학교교육협의회에 정회원으로 등록된 수도권 사회복지과를 대상으로 개설된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각 전공별 이수과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과 재학생으로 하여금 사회복지 전공을 기본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보육교사 등 다른 자격을 취득할 경우,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이수학점이 강화되는 경향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요구된다. 해결방안으로 사회복지자격과정만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방법이다. 혹은 초과학점을 교양과목으로 대체하거나 계절학기, 보육과정이 개설된 학과와의 협조를 통하여 대신할 수도 있다. 보육전공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건강가정사 등 다른 전공을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4,900원
        109.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는 North Carolina의 주도 Raleigh에 위치에 있으며, 1887년 설립되어 1889년 72명의 학생이 등록한 이후 현재 약 34,000명의 학생과 8000명의 교수/교직원이 Engineering, Mathematics, Science, Technology, Education, 그리고 Research 분야 등을 이끌어 가고 있는 세계 명문대학 중 하나 입니다. Durham, Raleigh, 그리고 Chapel Hill의 중심에 위치한 Research Triangle Park(RTP)은 세계최고의 Research Park을 자랑 하고 있으며, RTP 주변으로 Duke University, North Carolina University at Chapel Hill, 그리고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가 그 중심에 서 있습니다.
        4,000원
        110.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f teaching. The sample was selected 173 students in I university. We will conduct the IPA to compar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bout the factors and analyze by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ANOVA using the SPSS 19.
        3,000원
        11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서울시립대학교는 배봉산과 접하고 있는 동대문구의 주 요 거점녹지이며 생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980년대 서울시립대학교는 배봉산 산림이 캠퍼스 내부로 연결되어 다람쥐, 꿩, 딱따구리류, 맹꽁이 등 다양한 야생동 물이 서식하였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건물이 조성되면서 기존 녹지와 산림이 훼손되고 녹지면적이 감소하는 상태이 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캠퍼스 내 야생조류 서식을 위하여 야생조류 출현과 녹지 및 식재구조의 관계를 밝히고 출현이 적은 녹지의 구조적 차이점을 파악한 후 녹지 및 식재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동대문구에서 규모가 큰 녹지공간이며 배 봉산이 배후녹지로 있는 서울시립대학교를 선정하였다. 야 생조류 출현과 캠퍼스의 녹지 및 식재구조 관계 파악을 위 하여, 야생조류 출현과 녹지구조의 관계는 상관분석 및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식재구조와의 관계는 야생조류가 출현한 녹지의 수목성상 및 층위구조를 분석하였다. 야생조 류 서식공간 조성을 위한 생태축은 분석대상종의 출현밀도 를 근거로 설정하였으며, 생태축 상의 녹지현황을 분석하고 야생조류 서식을 위한 식재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는 배후산림인 배봉산이 있으며 캠퍼스 내 잔존산림이 분포하고 있다. 캠퍼스 내부 녹지 분석 결과, 녹지패치면적은 11~6,341㎡까지 다양하였고, 잔존산림은 총 3개소이었으며 면적은 2,141~6,341㎡로 캠퍼스 녹지 중 가장 규모가 컸다. 교목층 녹지용적계수는 1.5~2.0㎥/ ㎡가 전체 녹지의 24.1%이었고, 관목층은 0.1㎥/㎡ 미만의 녹지가 46.2%이었다. 수목 성상을 보면 외래종 식재지 (54.3%)이 자생종 식재지(39.0%)보다 녹지의 면적이 넓었 으며, 낙엽활엽수 식재지(59.9%)가 침엽수 식재지(28.6%) 보다 넓었다. 층위구조를 보면 교목층 하부에 관목이 식재 된 다층구조 식재지가 46.3%, 단층구조 식재지가 41.4%이 었다. 야생조류 조사는 여름철 3일, 월동기인 겨울철 3일 그리 고 번식기인 봄철 3일로 삼계절에 걸쳐 총 9일 동안 종일조 사를 실시하였다. 배봉산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봄철에 24종 452개체, 여름철에 21종 952개체, 겨울철에 19종 986개체 이었다. 캠퍼스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봄철에 21종 461개체, 여름철에 18종 2,035개체, 겨울철에 16종 939개체이었다. 계절별 야생조류 출현 특성을 보면, 봄철은 겨울철새와 여 름철새를 함께 볼 수 있어서 가장 많은 종을 관찰하였다. 여름철은 출현 개체수(2,035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캠퍼스 내 참새 개체수(1,080개체)가 급증하였다. 분석대상 종은 실제로 캠퍼스 녹지를 주로 이용하는 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도심지에 적응한 도시화종, 수변서식종 등 14종을 제외한 12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대상 야생조류종은 야생조류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녹지 및 식재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캠퍼스 내 분석대상 야생조류 출현 개체수와 녹지구조의 상관관계분석을 살펴보면, 녹지패치면적은 봄철, 여름철, 겨울철, 전체 최대개체수 및 누적개체수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여름철 최대개체수와 유의성을 보였고, 교목층 녹지용적계수는 겨울철 최대개체수와 유의성이 인정되었 다. 하지만 관목층 녹지용적계수와 평균 흉고직경은 분석대 상종 출현 개체수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녹 지패치면적은 분석대상 야생조류의 개체수와 고도의 유의 성이 도출되었으며, 분석대상종 출현 개체수 증가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지패치면적과 야생조류간의 관계는 F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여 회귀모형 을 구축하였다. 회귀식에 의하면 야생조류 2개체가 출현하 기 위한 최소한의 녹지패치면적은 506㎡이었다. 분석대상 야생조류의 출현밀도를 분석한 결과 봄철과 여름철은 침엽 수에서, 겨울철은 낙엽활엽수에서 높았으며 전 계절에 걸쳐 자생종이고 다층구조인 녹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분석대상 야생조류는 단풍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벚나무, 상수리나 무 등 주로 자생종이 분포한 녹지에서 출현하였다. 캠퍼스 내에서 배봉산으로부터 거리별 야생조류 영향권을 분석한 결과 쇠딱따구리는 400m, 꾀꼬리는 500m, 곤줄박이, 어치, 딱새, 오목눈이는 600m, 박새, 쇠박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울새는 700m까지 출현하였다. 박새는 비교적 캠퍼스 전 지 역에서 관찰되었으며 오색딱따구리, 쇠딱따구리, 오목눈이, 꾀꼬리는 주로 잔존산림에서 출현하였다. 잔존산림은 배봉 산의 거리가 300~600m 이상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사도지수가 다른 구간보다 높았다. 캠퍼스 내 야생조류의 출현특성을 종합하면 녹지면적이 넓고, 자생종이 우점하며, 다층구조인 녹지에 보다 많이 출 현하였다. 따라서 녹지개선지역은 야생조류의 출현밀도가 높은 주 생태축으로 한정하였다. 캠퍼스 내 야생조류의 출현특성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캠퍼스 내 출현하는 야생조류와 녹지 및 식재구조 관 계를 분석해보면 야생조류는 녹지면적, 교목층 녹지용적계 수, 평균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자 생종이고 다층구조인 식재지를 선호하였다. 또한 야생조류 는 겨울철 씨앗 및 열매가 열리는 단풍나무, 느티나무, 잣나 무, 소나무 등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둘째, 캠퍼스 내 야생조 류 영향권 분석 및 배후산림으로부터의 거리별 유사도지수 분석 결과 캠퍼스 내 야생조류는 잔존산림을 주로 이용하였 다. 잔존산림의 특징은 녹지면적이 넓으며 다층구조이고 자 생종이 우점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녹지구조가 야생조류 서식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캠퍼스 내 야생조 류의 녹지별 출현 밀도 분석결과 야생조류는 주로 중앙도서 관부터 건설공학관까지 연결되는 주 보행동선 주변 녹지에 서 주로 나타났으며, 이 축은 야생조류가 배봉산에서 잔존 산림으로 이동하는 주 이동루트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야생 조류의 출현밀도가 높은 주 보행동선 주변과 건설공학관 서측 잔존산림, 경농관, 음악관 서측 잔존산림까지의 지점 을 연결하여 생태축을 설정하였다. 넷째, 생태축을 설정하 고 생태축 내 현황을 파악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야 생조류가 출현 가능 최소 면적인 506㎡를 기준으로 그 이상 은 야생조류 서식을 위해 수목성상, 층위구조 등 식재구조 를 개선을 제안하였으며 그 이하는 교목층 층위 형성만 제 안하였다. 종합해보면 야생조류 서식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야생조 류가 배봉산과 캠퍼스 내 잔존산림을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생태축을 설정하고 캠퍼스 내 서식공간을 형성해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야생조류 서식공간은 가능하면 녹지면적은 넓 고, 녹지의 양이 풍부하며, 평균 흉고직경이 크고, 자생종 중심의 다층구조 녹지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113.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계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은 승선하기 전 필요한 안전교육을 충분히 이수하고 승선해야 되지만 기초안전교육만 이수하고 승선을 하며 승선실습을 마치고 졸업 전까지 남은 학기 중 상급안전 교육과 탱커선 교육을 이수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은 선박회사 승선실습 과정 중에 위험에 노출되는 많은 작업들을 하게 된다. 이처럼 대부분의 상선들은 ISM관리 하에서 선박회사 및 승선하는 선박에서 각종 점검표에 의해 사전 교육을 행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 결과 선박회사와 승선하는 선박 및 해양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유해화학 물질의 취급'은 승선 경험이 없는 실습해기사들에게 상당한 위험이 되고 있다. 또한 승선실습 해기사들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에 관한 개인안전과 취급에 관한 사전교육이 없이 승선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실습해기사들이 승선실습 중 유해화학물질 취급 부주의와 무지로 인해 신체적 손상을 입고 하선을 하거나 승선에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승선 실습 전에 해양대학교에서 이 부분의 철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선박회사에서는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안전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화가 체계적으로 갖추어져야하며, 각 선박에 맞는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을 위한 온라인 켄텐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선박회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안전점검일지를 만들어 관리감독하고, 선박에서는 이에 관한 교육을 이수한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안전교육과 관리를 하여야 할 것을 제안한다.
        4,000원
        114.
        201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학부생들의 기초교양 교과목의 수강 경향을 분석하여 지난 수년간 기초교육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어떤 교육적 성과를 거두었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대학교 학부생들은 평균 8.49학기를 이수하였고, 대학에서 졸업요건으로 정해진 학점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평균 전공 취득 학점은 2000년부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과별로 전공 학점수를 더 많이 요구하는 경향을 보여서 대학이 전문 직업을 위한 고도의 지적, 직업적 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목표와 근본적이고 기초적인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교육 목표 사이에는 적절한 균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난 5년 간 복수전공을 수강한 학생은 406명, 연합전공 31명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공을 수강한 학생이 연평균 437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학생의 사회적 관심 영역을 확장하고 교육적인 기초를 더욱 확고히 다지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것이며, 다양한 학문적 경험을 통한 융합을 구현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6,300원
        11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승선실습교육은 해기사로서의 기본적인 소양과 기능을 연마하기 위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하도록 하고 다양한 교육 및 훈련과정을 통해 위기상황 대처능력과 자립심을 향상시켜 선박이라는 특수한 작업환경에서 부여된 업무를 효과적으로 달성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지식 및 리더십을 겸비한 유능한 해기사를 양성하고 승선실습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습선 실습기관사 승선실습교육 향상 및 지도를 위한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11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reening ratio and practical skill test of the exam of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ies which are the institutions to nurture PE teacher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of those exams. To do the study,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hav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Screening ratio and details of practical skill test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am materials of those colleges in 2012.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xam of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as composed of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Practical Skill Test, Comprehensive School Record of High School, Interview and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and universities have different schemes to select their students. Among them, National Universities Entrance Exam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Practical skill test was composed of basic physical strength test and sports skill test. There were various variations in the number and contents of the measurements among schools. Basic physical strength elements were limited to agility, quick reaction, muscle endurance and flexibility. For sports skill test, gymnastics, athletics, volley ball, basketball, soccer, handball and dancing were tested. Accordingly, it is thought necessary to introduce more objective and valid examination system to verify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suitable for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hich nurtures future PE teachers.
        4,300원
        120.
        201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scertain the extent to which Korean college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proper use of the English comma, this study examined all the instances of the comma used in a learner corpus consisting of 787 compositions written by Korean college students. All in all, 5,869 tokens of comma errors were identified and subsequently grouped into five categories of errors: (a) omission, (b) addition, (c) wrong substitution, (d) wrong position, and (e) others. A careful examination of these five types of comma error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tokens in omi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categories, accounting for over half of all the comma errors, and that the students who received higher scores on their essays were just as likely to make comma errors as those who scored lower, a fact which suggests that students with a higher procifiency of English also need instruction on using the comma properly.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most Korean students are not familiar with contextual uses of the comma and that teaching the comma should be incorporated into English education both at the secondary and at the tertiary level.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