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10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package design for agricultural product of farm stay is great interests for increasing the income of farmers and villages as it may fulfill the sensible needs of consumers who experience rural culture and farm stay. This paper presents the status of the package design for agricultural product of farm stay and proposed improvements to the package design as following; 1)to diversify the packaging capacity, 2)to develop the cultural products to applicate the traditional crafts technique, 3)to provide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presenting the identity of farm or village, 4)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about package design. We sampled fifty pilot farms or villages, analyse the package design of them and questionnaire surveyed farmers and managers in order to find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103.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Public Design is being applied at many kinds of urban development. But the application is not carried out well owing to ambiguity of the object of plan. The object of the design and the role from it are based on defining of the realm and type of public design. So,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about the realm and type of the public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space and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ublic design, some points of conclusion have been attained. First, the realm and type of public design is to be more simplified than ever: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medium. So, public facilities are to be oriented toward placeness on the one hand, and public medium is to be used for regional marketing on the other hand.
        10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패키지디자인의 1차적 기능은 제품이나 상품을 보호하는 것이며, 2차적 기능은 담겨진 내용물의 성분이나 성격을 쉽고 빠르게 수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과거의 개념인 상품 보호적 기능을 뛰어 넘어 현재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차별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들어섰다. 따라서 패키지는 모든 그래픽 표현의 기법들을 총동원하여 설득력과 공감력 있는 디자인으로 변신하게 되었다. 패키지의 내용물과 그 표현력과의 적절함 즉, 정합성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사례중심으로 분석하여 계란패키지의 최적표현의 방향을 찾고자하였다. 현재, 대형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품목 중 노출빈도가 높은 9개의 모델을 선정하여 그래픽적인 평가부분을 위해 8개의 평가축을 선정하였다. 그 축은 청량감, 이해감, 효과감, 안심감, 품질감, 디자인성, 신규성, 친근감 등이며, 세부적인 가중치는 X=0~3점 △=4~6점, ○=7~9점, ◎=10점으로 부여되었다. 8개의 축에서 각각 10점 만점을 받을 경우 총 80점으로, 환산하여 100점이 되며, 60점 이상이면 우수한 디자인으로 평가될 수 있다. 평가결과 풀무원의 자연란과 프레시안의 로하스 유정란이 79점으로 가장 우수한 패키지디자인으로 평가되었다. 한살림의 유정란, 홈플러스의 친환경 유정란 등이 60점에 가까운 점수를 얻어 무난한 디자인으로 평가되었다.
        10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 현장에서는 디자인 고유 영역의 변화와 확장을 거치면서 디자인 능력과 구현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고 심도 있는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급격한 디자인 교육의 양적 팽창은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어, 디자인 산업 변화에 대응한 다양화, 특성화, 차별화 된 교육과 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산업계의 요구와 현장 내용을 교과목으로 반영하여 학교와 현장의 갭을 극복, 디자인 문제 파악과 프로세스 관리능력을 갖춘 디자이너의 배출을 위해 현장의 요구에 따른 교과과정 및 교과목 연구가 필요하다.
        10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장기에 게임을 경험하면서 살아온 세대를 게임세대라 부른다. 이들 게임세대는 이전 세대와 달리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이 전혀 다르다. 그러나 현재 게임세대를 위한 교육방법은 이전 세대의 교육방법과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Prensky는 게임세대를 위해, 정보시대의 필요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소수의 방법들 중 하나로 디지털 게임을 통한 교육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4개의 교육용게임 디자인 방법들의 적합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적합성 분석은 전체적인 설계방법, 게임부문 설계방법, 교육부문 설계방법, 설계방법의 명시성 그리고 설계방법의 장단점에 대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교육용 게임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 토픽들을 제안하였다.
        112.
        200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a spatial structure of a tourism destination master plan by the two types of the tourism development models: Tourist attraction System Model and Tourism Destination Region Design Model. The resort development plan is introduced as a planning tool for regenerating the eastern Pusan regions, but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the sociocultural dilemma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should be fully considered before launching the business. The development plan announced currently is traced and 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upper-leveled and related plans. The Tourist Attraction System Model based on the systems theory is applied to the designated regions. The Tourism Destination Region Design Model then is applied for analyzing the components of each region on the master plan. The results of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ourism destination plan is basically different from a general master plan on the physical comprehensive plan, the destination is recognized as a subsystem of the whole tourism system, and thus tourism destination plan is considered as a spatial arrangement of tourism facilities and the inter- and intra-circulation.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