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03.
        200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PS 시스템은 중성자 핵반응 결과 방출되는 즉발 감마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이며 고체 및 액체 폐기물 중 존재하는 다양한 원소를 비파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IPS 시스템에 이용된 고순도반도체 검출기의 계측효율을 Ba 및 Eu 방사성 동위원소 선원과 Cl(n, ) Cl 핵반응 시 발생되는 즉발감마선을 이용하여 80 keV에서 8 MeV까지 넓은 영역에 대하여 구하였다. Cl(n, ) Cl 핵반응을 이용한 고에너지 감마선의 계측효율은 즉발감마선의 방사능 값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저 에너지 영역에서 정확히 알고 있는 검출기 효율곡선에 규격화시켜 전 에너지 영역에서의 효율보정곡선을 구하였다. 또한 KCl 표준용액에 Cf 중성자 선원을 조사시켜 표준용액으로부터 방출되는 즉발 감마선을 고순도반도체 검출기로 측정하고 광대역 계측효율 곡선을 이용하여 수용액 시료에서의 평균 열중성자 속을 예측하였다. NIPS 측정시스템은 주변 재료 물질의 핵반응으로 방출되는 감마선 background를 줄이기 위해 두 개의 고순도반도체 검출기를 이용한 동시계수 장치가 고안되었으며, 동시계수 모드에서의 계측효율도 함께 고려되었으며, 표준선원을 이용하여 전 계수 또는 동시계수모드에서의 background에 대한 측정감도를 비교하였다.다.
        4,000원
        10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닭고기에서 4종의 플루오로퀴놀론계 합성항균제(ofloxacin,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를 액상추출법으로 추출하여 형광검출기와 HPLC를 이용하여 동시 정량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분석조건으로서 컬럼은 Symmetry C18(250×4.6 mm id, 5 ㎛), 이동상은 0.4% triethylamine 및 0.4% phospholic acid 수용액, methanol 및 acetonitrile 혼합용액(800:100:100, v/v/v)을 사용하였으며, 형광검출기는 여기파장 278 nm, 측정파장 456 nm으로 그리고 유속은 1.0 ml/min., 주입량은 50 ㎕로 하였다. 확립된 분석조건으로 측정한 ofloxacin,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 표준품의 표준곡선식에서 모두 상관계수 0.999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으며, 첨가한 닭고기의 크로마토그람에서도 각각의 nfwlfquf 분리시간대에 방해 피크 없이 양호한 분리도를 나타내었다. 0.05~0.2 ㎍/g 첨가한 시료에서 평균 회수율은 ofloxacin 92.0~95.4%, norfloxacin 84.2~87.3%, ciprofloxacin 78.3~82.2%, enrofloxacin 91.3~95.3%이었으며 변이계수(CV)는 2.7~9.4%이었다.4종의 동시분석법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ofloxacin 23.5 ppb, 35.3 ppb, norfloxacin 3.4 ppb, 5.1 ppb, ciprofloxacin 3.0 ppb, 4.5 ppb, enrofloxacin 2.5 ppb, 3.8 ppb 수준이었다. 2. 인천 지역에서 돛구한 닭고기 총 1,523수를 EEC-4-plate법으로 검사한 결과 양성반응을 보인 닭고기는 15수(육계 10, 토종닭 5)였으며, HPLC를 이용한 정밀검사결과 육계 5수에서 ciprofloxacin이 불검출~0.04 ppm, enrofloxacin이 0.01~0.69 ppm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토종닭 5수에서는 ciprofloxacin이 0.02~0.12 ppm, enrofloxacin이 0.36~6.79 ppm수준으로 검출되었다.
        4,000원
        109.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 of 3-monochloro-l,2-propanediol(MCPD) analysis,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was-used. Determination of MCPD derivatized with phenylboric acid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underivatized MCPD. In derivatization of MCPD with phenyl boric aci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iling for 2min at 90℃ and vortexing for Smin at room temperature. Extrelut column was suitable for extraction of MCPD diluted in 20% NaCl solution and recovery rates were higher than direct extraction of MCPD with ethyl acetate. But, the method of direct extraction of MCPD with ethyl acetate was useful for rapid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sample extracted in soysauce(ganjang) was derivatized with phenylboric acid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That was confirmed as MCPD-phenylboronate.
        4,000원
        112.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wide-field CCD detector for solar eclipse observations is discussed. The CCD is supposed to be of a moderate size, and the image of the corona is obtained by scanning the field of view. Results of the 1995 solar eclipse observation are shown which have been made with a prototype of the scanning CCD detector.
        113.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reports on the outline and the status of the TAMA-300 project, the 300 meter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 wave detector developed by a team of scientists of several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Japan. In fact the project has been funded and its construction started at the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Mitaka, in spring 1995. And the constructions of the tunnels for the east-west and north-south arms and of the central building are completed and a half of pipes for laser beams were brought in. Very stable laser oscillator has been almost completed and mew techniques such as vibration isolations, recycling of laser power, and suspension of mirrors by double pendulums have been developed. In fact the purposes of the project are to establish techniques necessary for future km-class detectors and to operate the detector to catch possible gravitational wave events in nearby galaxies such as Andromeda, the target sensitivity being 3 × 10-21 at 300Hz.
        114.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nd confirm of Dapsone in vegetables and fruits which were illegally used for freshness. We have developed a simple, rapid and precise method that Dapsone can be analyzed in the cabbages, grapes and strawberry by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Experimental subjects were included 15 cases of cabbages, 10 cases of grapes and 10 cases of strawberries purchased in Kangwon, Chungchong province and the Seoul area. The results were obtained that Dapaone in the experimental subject was separated completely within 10 min. Detection limit of Dapsone was 0.5 ng. Aberage recoveries from cabbages, grapes and strawberries were 93.3±0.26%, 92.5±0..37%, 91.4±0..65% respectively. 4 cases of cabbages were detected Dapsone and the amount was below the 0.3 ppm. There was not detected Dapsone in any grape and strawberry samples.
        4,000원
        115.
        199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Ba2Cu3O7-x결정입계 접합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감지소자 YBa2Cu3O7-x초전도체 박막을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LaAIO3단결정 위에 증착하여 임계온도 90K이상 임계전류밀도 105/A cm2(77K) 이상의 우수한 박막을 제작하였다. 이를 포토작업과 이온밀링을 실시하여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브릿지 형태로 만든 후 이들의 전류전압 특성을 조사하였다. 브릿지에 입사된 마이크로파의 크기에 따라 브릿지 간의 임계전류값의 저하가 관찰되었으며 동시에 샤피로스텝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116.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F(Mg,Cu,Na,Si) 형광체의 γ선과 β선에 대한 TSEE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60)Co γ선에 대한 감도는 약 450 counts/mR이었고, 여러 가지 β선에 대한 TSEE 에너지 의존성은 β입자의 평균에너지 0.02MeV에서 0.8MeV 사이에서 ±10%이었다. 그리고 제작된 형광체 앞면에 7mg.cm 상(-2)의 인체 등가물질을 두 면 입사 β입자의 에너지에 무관하게 피부 흡수 선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3,000원
        11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섬광결정과 광센서의 정렬 오차가 TOF-PET 검출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한 쌍 TOF-PET 검출기는 3 mm × 3 mm × 20 mm 체적을 갖는 LYSO 섬광체와 3.07 mm × 3.0 7 mm 크기의 GAPD 광센서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출력신호는 증폭 및 균일도 보정이 수행되었고, 오실로스코프 기반 데이터 획득 장치에서 신호처리되었다. 각 검출기 정렬 오차는 0.0 mm, 0.5 mm, 1.0 mm, 1.5 mm 를 각각 적용하여 총 16단계의 정렬 오차를 발생시켰다. 검출기 정렬 오차가 증가함에 따라 광절정위 치는 약 400 mV에서 약 250 mV로 감소하였다. 또한, 에너지분해능은 11.6%에서 16.2%로, 시간분해능은 477 ps에서 632 ps로 저하되었다. 이 결과는 검출기 정렬 오차가 TOF-PET 검출기 성능저하에 큰 영향성을 내포함을 시사한다.
        118.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액정을 이용하는 X-선 검출기에서 전면광원을 적용하는 액정 X선 검출기를 제안하였고 X선 영상을 찍 어 작동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빛을 이용하므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잡음이 적고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액정을 이용하는 검출기는 광도전층을 이용하여 입사 X선을 액정의 분자 배열 변화로 유도하고 액정을 통과하는 빛의 변화량을 읽도록 한다. X선을 조사하고 잰 빛의 투과율과 이것에 대응되는 기준투과율 곡선의 전압으로부터 X선 조사량을 교정(Calibration)하는 과정을 정립하였다. 비정질 셀레늄을 광도전층으로 적용하였으며 200℃ 이상의 고온 처리가 필요한 배향막 공정 대신 패럴린 배향막을 사용하는 공정을 확립하였다. 제안된 액정 X선 검출기의 경우, 방사선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으로 보였다. 제안된 방식의 X-선 검출기를 제작하고 액정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며 X-선 라인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고정 바이어스에서 시간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관찰하였다. 영상사진으로 10 lines/mm의 선패턴을 구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을 바탕으로 검출 패널의 위상이 3π 정도인 17인치 시제품에 적용하여 저선량 액정 X선 검출기의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119.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 층의 섬광체와 각 층별 서로 다른 반사체의 사용과 섬광체와 감마선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빛 신호 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로써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을 사용하여 반응 깊이를 측정하는 검출기를 개발하였다. 층별 섬광 픽셀의 반사체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획득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재구성할 경우 모든 섬광 픽셀이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되는 특징을 활용하여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위치를 추적하였다. 아래층은 거울반사체를 사용하였으며, 위층은 난반사체를 사용하여 SiPM에서 획득되는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처리하였다. 섬광체 사이와 SiPM과 연결되는 부분은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광학 그리즈를 사용하여 급격한 굴절률 변화를 감소시켰다. 16개의 SiPM에서 획득한 신호는 앵거 방정식을 사용하여 4개의 신호로 감소시켰으며, 이를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두 층으로 구성된 모든 섬광 픽셀이 재구성된 영상에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층을 구분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반사체를 사용하여 두 층의 반응 깊이를 측정하는 검출기를 전 임상용 양전자방출단 층촬영기기에 적용할 경우 관심 시야 외곽에서 나타나는 공간분해능의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20.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과 두 층의 섬광 픽셀 배열을 이용한 반응 깊이 측정 검출기를 설계하였으며, 위치 측정 능력을 DETECT200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섬광 픽셀의 면 처리와 반사체 조합을 통해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위치를 추적하였다. 아래층은 광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반사체로 처리하였으며, 위층은 가장 외곽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처리하여 빛의 공유가 아래층에 비해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거울반사체와 난반사체, 섬광 픽셀의 거친 면과 매끈한 면의 조합을 통해 평면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층별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앵거 알고 리듬을 사용하여 SiPM의 16채널 신호를 4개의 채널로 감소시켜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섬광 픽셀의 거친 면과 모든 반사체 조합에서 두 층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매끈한 면일 경우에는 모두 층 구분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거친 면의 섬광 픽셀과 반사체 조합을 사용한 검출기를 사용할 경우 전임상용 PET에서 반응 깊이 측정을 통해 검출 시야 외곽에서의 공간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