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10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과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대구광역시 D장애인 종합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 7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3일부터 6월 8일까지 주 1회 총 12회 실시하였다. 사회성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 21.71점에서 실시 후 24.85점으로 향상되어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다. 정서적 행동 평가 결과 하위항목 충동성과 사회화 점수가 각각 원예치료 실시 전․후 3.85점에서 2.00점, 4.66점에서 2.50점으로 낮아져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정서적 행동 전체 점수는 원예치료 실시 전․후 15.57점에서 8.57점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발달장애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원예활동과 다양한 원예재료를 이용한 원예활동이 장애아동들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사회성과 정서에 매우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103.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포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13명을 선정하여 10월 23일부터 12월 11일까지 매주 2회 1시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손 기능은 Purdue pegboard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활동은 프로그램 전과 후에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실시 전 26.0점에서 실시 후 31.3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심리적 행동특성도 프로그램 실시 전 65.3점에서 실시 후 74.1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실시 전 34.0점에서 실시 후 30.3점으로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인의 사회․ 심리․정서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오른손, 왼손, 양손, 및 조립 점수가 높아져 지체장애인의 손 기능이 향상되었다. 원예활동 평가에 있어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 등 9개 세부영역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 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10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이들의 직업재활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K고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지적장애학생 8명을 대상으로 1차시기 2008년 3월부터 7월까지, 2차시기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주 월요일 2시간씩 총 30회기에 걸쳐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를 실시하고 지적장애학생들의 대인관계, 우울, 사회행동, 악력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대인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대인관계 하위요인 만족감(p=.003), 의사소통(p=.000), 신뢰감(p=.001), 친근감(p=.003), 민감성(p=.003), 개방성(p=.000), 이해성(p=.000)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둘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우울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우울 하위요인 부정적인 태도(p=.000), 수행상의 어려움(p=.001), 신체적 요소(p=.002)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셋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행동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사회행동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사회행동 하위요인 언어적 행동(p=.000), 비언어적 행동(p=.006), 대화의 내용(p=.000)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넷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악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악력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43).따라서 본 연구의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이 직업을 가지고 직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학생 개개인의 독특한 행동요소들을 개선시키고 직업적응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훈련방법임을 보여준다.
        11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ase in this study has positive attitude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irresistible state when it comes to rape. This case offered explicit standard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victim’s disability and irresistible state when offender is in charge of rape. When incidents occur, the victims are deemed able to make certain choices. Because their capacity is clearly vulnerable to external pressures and influences,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that choice is undermined by imbalances of power in any given relationship. When the mental disabled victims do not understand what the sexual assault means exactly, it means that they do not have the power of sexual atonomy.
        116.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지 발전과 비례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함께 변하기보다는 장애인 시설에 대한 님비현상이 심하게 됨으로 시설에서 지역주민들과의 교류가 필요하지만 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장애인은 지역사회에서 떨어져서 시설에서만 생활하다보니 사회적인 능력이 약하고 여러 가지 문제 행동이 나타났다. 이에 일반인과 장애인이 함께 통합 할 수 있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장애인에게는 행동적 변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을 일반인에게는 자아존중감과 시설에 대한 인식도에 대한 변화를 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예치료를 일반인과 지적장애인이 함께 함으로 일반인과 장애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I시의 S시설 지적 장애인 8명과 지역주민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생활에서는 장애인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과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일반인 자아존중감과 장애 시설에 대한 인식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인에게 원예치료를 실시한 연구와 유사하며 일반인에게도 실시한 연구와도 비슷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원예치료가 장애인과 일반이 함께 원예치료를 즐기고 이를 반복적으로 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장애시설에서 단순히 지역주민에게 도움을 받는 것만이 아니라 함께 나누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 함으로 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줄이고 장애인은 지역주민 함께 하면서 삶이 더 윤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보았다. 추후에 기간을 길게 하고 다양한 계층과 교류할 수 있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다양화 하며 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