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12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정부가 한국정부에 대해 독도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해결하자고 과거 3번에 걸쳐 공동제소를 제의한 바 있었는데, 한국이 모두 거절했다. 본 연구는 공동제소를 제의한 일본의 의도를 분석하게 위해 2005부터 2018년까지 일본국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시기별 나누어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2005년 2월 시마네현(島根県)이 ‘죽도(竹島)의 날’을 제정하였고, 한국정부가 이에 항의를 하였을 때, 야당위원이 일본정부에 대해 죽도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일본정부는 과거 2,3차례 공동제소를 한국에 제안하였으나 거부했다. 그래서 가장 적절한 방법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답변했다. 이처럼 일본정부는 형식적 답변만을 반복하여 현실적으로 제3자의 조정에 의한 해결이 불가능함을 표명했다. 2011년 한국정부가 헬기장 개수공사와 해양과학기지 건설을 계획했다. 일본국회에서 야당위원이 다시 국제사법재판소에서 독도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정부의 입장은 이전과 동일한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자 야당위원은 공동제소가 불가능하면 단독제소를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서도 일본정부는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고 있다는 답변을 반복했다. 일본정부가 야당위원의 주장에 대해 이 같은 동일한 답변을 계속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이전 정권들이 한일협정 등에서 외교적으로 한국의 실효적 지배를 묵인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정부가 정부주도의 ‘죽도의 날’을 제정한다든가, 국제사법재판소에 ‘단독제소’를 할 만큼 일본에 영토적 권원이 존재하는 분쟁지역이 아님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12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yadic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DRLF), distributive justice (DISJ), job satisfaction (JSTC),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GC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00 sets of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at a municipal office in East Malaysia using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Only 60 percent or 115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o the researchers. The survey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martPLS due to its ability to deliver latent construct scores, handle small sample size problems and estimate relationship between many constructs in the hypothesized model. Results –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ed direct relationship between DRLF and DISJ and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DRLF, DISJ and personal outcomes, which are JSTC and OGCM.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s that DISJ does act a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LF with JSTC and DRLF with OGCM. Other dimensions of personal outcomes, such as extra-role behaviour, job motivation and service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y because they are found to be the important outcom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RLF and DISJ.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need to be further advanced in future research.
        12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year, as Jeju 4.3 met its seventieth anniversary, a wide array of events and activities are designed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of Jeju 4.3 on a national scale, finally transforming Jeju 4.3 into a historical narrative that must be remembered by all Korean people. Furthermore, empathy for amendments of the Special Act aimed at a just settlement and healing including damage compensation spread, and the US responsibilities for the massacres of Jeju residents entered the sphere of public opinion. Along with such advances, various attempts to liberate the 4.3 discourse were forwarded, in the form of re-situating the Jeju residents at the time of 4.3 from victims to sovereign subjects in their community as well as in history. Now, the movement for truth and justice of 4.3 must move forward, with the seventieth anniversary as its foundation, by meeting the following challenges: search for specific methods for just settlement and healing; continuation of the success of nationalization; establishment and propulsion of mid-to-long-term plans for addressing US responsibilities; establishment of a system and activities that will continue the 4.3 movement through the coming generations; and locating the relevance of the spirit of 4.3 vis-à-vis liaison between this spirit and key issues at the current historical juncture.
        124.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loafing of organizations in Ho Chi Minh Cit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from the survey data for the 228 employees are working at the Organizations in Ho Chi Minh City. The instrument of collecting data was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 and employ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wo factors are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is to have the reverse effect on social loafing of employee.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has the opposite effect of social loafing, which demonstrates that when individuals feel that their work is spent on Perform tasks in a clearly divided and they will receive a worthwhile result in the group when performing the task then the individual's collective indifference to the organization will decrease. And motivate the employee to make more efforts to work and contribute for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factor of Procedural justice also has the opposite effect of collective redundancy, which demonstrates that employees are more concerned about fairness in official policies and organizational procedures.
        125.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are place contributing to the intellectual advancement of the nation, quality human resource, and to a number of socio-economic improvements for society and organizations. Despite facilitators and staffs are the bare-bone of HEIs, there is a scarcity of research, both conceptual and empirical, focusing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 To attempt to fill this gap, this article develops a conceptual model of OCB under influencing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The prospective respondents were chosen randomly from HEIs (public and private). Individuals have been employed at least one year and above will be the unit of analysis in which the experimental test of the proposed model will be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HEIs does not affect only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but also impact on national economy. In this context, a conceptual framework is proposed to study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form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ultimate benefits of OCB through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with job satisfaction as mediator is enlightened. Finally, the authors discus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ir research.
        12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판적 혹은 사회정의 관점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한국 사회 맥락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 다문화교육의 개념적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육(justic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을 개념화하였으며, InTASC(Interstate Teacher Assessment and Support Consortium)에서 제시한 교사전문성의 세 영역(지식, 실행, 성향)을 기반으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학문적, 문화적, 사회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을 타당성, 현실성, 실용성, 적합성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향후 다문화교사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할 것이다.
        127.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Past research has not given much attention to the roles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type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ir satisfaction to the alternative exposed to them. Current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moderation role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s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 recovery satisfaction, and this research also explored whet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hei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peripheral relationshi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between-subjects design was employed. 50 participants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Participants of each group took forceful steps in choosing one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nd the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χ2-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at the number of choosing each alternative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one 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at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nts are satisfied to the alternative chosen by them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In add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 Marketers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type of justice when developing alternatives by which consumers’ service failure can be recovered. They should suggest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to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hereas they should develop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for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An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ervice failure they also should focus on interaction justice.
        12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task of landscape architecture is to create a higher quality of the environment by utilizing resources or to provide effective stewardship for the preserved environment. These outcomes enhance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 deals with direct use of market economic goods in private property resources such as capital, land, plant, structure. But it also has indirect use of non-market economic goods in public resources like scenic view from the forest, sea, urbanscape, and refreshing atmosphere. At this point, landscaping products should have a role of public goods, and even these attribute to individuals or certain group. From the results of neo-liberalism regime in modern era such as guarantee of private property, deregulation for free market, and reduction of social welfare, minority has getting less opportunity to enjoy the quality life in ecotop and social welfare. With all future,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have the role of social infrastructure through planning concept that ensures public interests first. The virtuous functions of Green Infrastructure is a proper tool in realizing environmental justice in that it efficiently protects environment, and distributes fair benefits to all people.
        12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데리다의 환대의 철학에 근거하여 다문화 사회에서 이방인에 대한 환대의 특징 을 검토하고, 환대의 철학이 다문화 사회로서의 한국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탐색하려 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데리다의 환대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이방인이 가져온, 이방인에 관 한 질문들을 통해 이방인/비이방인에 대한 관념과 양자 간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기존의 환대에 내재된 한계를 극복할 것을 요청한다. 또한 데리다는 환대의 법제화가 수반하는 딜 레마를 극복함으로써, 환대의 법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것이 정의를 실현하고 자 하는 것임을 상기시켜준다. 마지막으로 환대의 철학은 제한적이고 조건적인 관용을 넘 어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환대를 실천하기 위해 끊임없는 시도가 필요함을, 그리고 그것 이 곧 정의를 실현하는 것임을 강조한다. 데리다의 환대의 철학은 평등과 사회적 정의의 실현과 관련하여 한국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13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든 부는 불의한 부, 즉 불공평한 부라고 일컬어진다. 왜냐하면 그것 은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고, 한 사람에게는 부족하게, 다른 사 람에게는 필요 이상으로 풍부하게 분배되기 때문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오는 이 인용문은 부의 불공평한 분배가 불의하다는 관념 을 뚜렷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정의는 동등을 함축한다”는 명제로 요 약될 수 있는 토마스 정의론의 핵심적인 관념에 속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토마스의 정의론에 비추어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허용되어 온 심각한 수준의 경제적 불평등은 부정의를 내포하는 것으로 보 인다. 본고는 현대자본주의의 경제 질서가 양산해 온 불평등 문제를 재평 가할 수 있는 하나의 윤리적 준거점으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의론을 고 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서 본고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타난 정의론을 사적 소유권의 한계와 빈민의 권리에 초점을 맞추어 철저 한 원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한다. 이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것 을 밝힌다. 토마스는 외적 사물의 관리와 분배에 있어서 효율성, 질서, 평 화를 이유로 사적 소유가 허용됨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는 외적 사물의 사용에 있어서는 공적 소유를 주장하며, 사적 소유권에 우선하는 자연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사적 소유권의 한계를 분명히 한다. 즉 사적 소유권은 생 존에 필요한 것이 결핍된 빈민의 자기보존이라는 자연권에 종속되어야 한 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연법에 토대를 둔 소유권 이해에 따라 토마스는 빈 민의 권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부의 불평등 문제에 접근한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토마스의 정의론에 따른 소유권 이해가 무한한 재산 의 축적을 정의로운 것으로 본 현대 자본주의 정치경제학의 전제를 윤리적 으로 재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131.
        201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isting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 mainly focus on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The leadership style, leader-member exchange, management responsibility and trust,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re predictive for the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and summary of classic scales of relevant scholars and aim to overall systemize and summarize the demonstration and theoretical research of organization justice perception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manager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o put forward the best measurement method and the main indicator system of influencing factors.
        132.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the extent of its moderation by perceived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utilizing survey questionnaire data from 220 bank employees, which included scales measuring organizational justice,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Results – The data i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further, distributive justice explains mor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ve justice. Perceived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Generally, organizational justice increases bank employees’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they perceived more job opportunities, their job dissatisfaction increased notwithstanding fairness. Therefore, perceived job opportuniti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Retaining skilled employees has become difficult, especially when there is market demand for skilled workers. Human resource (HR) managers should consider market situations before formulating policies; otherwise, they may los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skilled employees and workers.
        133.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도덕적 고려사항들은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갈등은 단순히 정의와 배려 중 어느 하나의 우선성에 의해 해결될 수는 없다. 그러나 도덕 적 갈등에서는 본질적으로 도덕원리나 규칙이 관여된다. 도덕의 전체 맥락에서 볼 때에는 정의나 권리존중은 배려를 전제한다. 그러나 특정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정의와 배려가 충돌함으로써 도덕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도덕원리나 규칙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상황에 따라 배려적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한다. 정의와 배려의 상보적 관계는 도덕적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예방 측면에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도덕적 문제의 해결측면에서는 정의윤리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예방적 측면에서는 배려윤리가 정의윤리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적극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려윤리의 예방적 측면에서는 배려적인 인간의 양성과 배려적인 제도나 관행의 운영이 고려될 수 있다. 도덕교육이 도덕적 문제의 지혜로운 해결과 함께 도덕 문제의 예방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정의윤리와 함께 배려윤리에 대한 교육에도 신경써야 한다.
        134.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일반교사의 공정성이 운동선수들의 학교, 교사에 대한 신뢰와 학교생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는 대구·경북 소재에 거주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확률적 표집방법에 의해 무작위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2007년 5월10일에서 2007년 5월 30일까지 조사를 하였으며, 각 학교를 방문하여 운동담당 선생님과 코치선생님에게 총 250부가 배포되었으며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22부의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각 변수를 측정하고 있는 척도에 대한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가설화된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공정성이 교사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절차공정성은 교사의 신뢰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선수들이 일반교사들의 처우나 행동에서 결과물에 대한 과정에는 별로 의미를 크게 두지 않는 반면 결과물에 대한 평가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교사와 운동선수간의 의사소통이나 교사로부터의 처우가 교사의 신뢰에 아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공정성이 학교생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정성과 신뢰와의 관계에서와는 다르게 절차공정성이 학교생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는데, 운동선수가 학교에 학교생활몰입하기 위해서는 결과물에 대한 평가도 중요하지만 결과물에 대한 절차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교사에 대한 신뢰는 학교생활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운동선수들이 교사에 대해 신뢰감을 가지면 학교나 교사에 대해서도 학교생활몰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생활이 일반학생들과 크게 다른 운동선수의 경우 학교생활이나 교우관계에서 일반교사들과의 교류가 타 학생들과 다르다는 점에서 운동선수 스스로가 차별이라 지각할 확률이 높으므로 일반교사들의 운동선수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중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