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

        12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남 진주시 선학산 도시숲의 운영을 시민참여형으로 개선하도록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황조사로서 지역에서 가지는 대상지의 이용가치를 파악하였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사, 향, 토지피복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숲 운영계획에서 지역주민의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관심, 요구, 참여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이용객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등산로 표지판에 부착시킨 QR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2004년과 2017년에 실시한 현장 설문조사를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를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시행된 진주시 선학산 정비사업과 관련하여 해석하기 위해서 사업 시행 전인 2004년과 시행 후인 2017년의 이용자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고, 그 변화를 사업내용과 관련하여 해석하였다. 최종으로 그 결과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선학 산의 운영관리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의 목적인 선학산 시민참여형 도시숲 운영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또한 운영의 성과 및 개선을 위한 평가 및 환류를 위해서 QR코드를 사용한 방문자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시민참여 형 운영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지속적 운영의 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선학산 도시숲 시민참여형 운영 계획 은 지속적으로 문제점 및 보완점을 파악 및 제한하고, 기존 이용객과 관광객의 증가를 파악하며, 숲가꾸기를 통한 참여형 도시숲 조성을 기 대할 수 있다.
        122.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 for management of Korea Garden Show based on a survey of 105 experts in garden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Korea Garden Show are as follows. First, when inviting applications for Garden Show, presenting a specific theme such as existing management method can encourage people to present more ideas from limited diversity. Second, it is the greatest time to hold the Garden Show from April to May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plants and flowering time, and two week period is considered to be sufficient for the show according to the matter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how garden and requests of experts. Third, the show should be held in a designated place and after promoting sustainability and improving public awareness of the show. It should be also developed to show extended base of a garden and a variety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held in provincial and municipal areas. Forth, industry-linked contents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garden show. A symposium should be organized to introduce materials of garden industry including high-tech materials and new plant varieties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garden trends, and the show should perform its role as a platform for establishing garden culture.
        123.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st common types of refrigerants used in automobiles today usually include HCFCs and HFCs, which have the potential of ozone depletion or the greenhouse effect. Although environmentally friendly refrigerants are being developed, there is still a lack of safety and high-cost problems for new refriger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low of refrigerants from automotive air conditioners and examine their potential problems and a proper management plan. The number of automobiles manufactured, the number of automobiles in use, and end-of-vehicle flow were examined through available statistics and reports. The material flow of refrigerants has been determined by the life cycle of automobiles and the unit requirements of the refrigerants used in automobiles. Based on the results, in 2014, there were approximately 1,017 tons of refrigerants introduced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of automobiles, and about 395 tons of refrigerants leaked from the use stage. After the use stage, only 13 tons of refrigerants were delivered to treatment facilities and 195 tons were emitted into the atmosphere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As a result, in South Korea in 2014, a large amount of refrigerants (590 tons) was estimated to have been leaked into the atmosphere from automotive air conditioners during the use and dismantlement stage. Several preventive measures for refrigerants should be properly enforced by introducing economic incentives as well as a monitoring system with strengthened laws and policies.
        12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propose a building Online system based on information sharing that minimizes the unnecessary expenses used to for the management of slope face-map newly created through new road, extension and linear improvement. Also, as a result of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by quantitatively estimating the initial invest costs and th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cost reduction, the B/C ratio is evaluated to be 1.0 or more after 2 years, be used to effective management plan.
        12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propose a building Online system based on information sharing that minimizes the unnecessary expenses used to for the management of slope face-map newly created through new road, extension and linear improvement. Also, as a result of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by quantitatively estimating the initial invest costs and th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cost reduction, the B/C ratio is evaluated to be 1.0 or more after 2 years, be used to effective management plan.
        12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resentation, a review on the major disasters that occurred in the Philippines over the recent years will be concisely presented. This include the overview of the type of disasters that occurre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se disasters on communities (e.g., economic costs to agriculture and infrastructure, etc.). Also, the legal basis for policies, plans and programs to deal with the disasters will be presented. It will be covered under the four thematic areas, namely, (1)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2) Disaster Preparedness; (3) Disaster Response; and (4) Disaster Rehabilitation and Recovery, which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Council(NDRRMC). By law, the Office of Civil Defense formulates and implements the NDRRMP and ensures that the physical framework,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lans of communities, cities, municipalities and provinces are consistent with such plan. The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 (NDRRMP) is consistent with the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Framework (NDRRMF), which serves as “the principal guide to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DRRM) efforts to the country….” The Framework envisions a country of “safer, adaptive and disaster-resilient Filipino communiti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It conveys a paradigm shift from reactive to proactive DRRM wherein men and women have increased thei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disaster reduction risk management (DRRM), with the end in view of increasing people’s resilience and decreasing their vulnerabilities. The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 (NDRRMP) 2011-2028 will also be discussed. The NDRRMP sets down the expected outcomes, outputs, key activities, indicators, lead agencies, implementing partners and timelines under each of the four distinct yet mutually reinforcing thematic areas. The goals of each thematic area lead to the attainment of the country’s overall DRRM vision, as graphically shown below.
        12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SOC 시설물 안전 위협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태풍, 호우, 지진 등의 자연재해는 유관기관의 지속적인 정보 수집에 의해 예측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들을 융합하여 유관기관의 재해대응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복합적 자연재해는 SOC 시설물의 구조 손실 및 설치 목적에 따른 역할 수행이 불가하게 되어 국가 발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수집된 정보는 수집방법 및 관리 주체가 달라 각각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신속한 재해대응을 하기에 불리하다. 신속한 재해대응 및 SOC 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분산된 정보를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통합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인벤토리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렇게 통합된 인벤토리에서 정보를 활용할 수요자에게 전달할 경우 정보 제공의 신속성 및 신뢰도가 향상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가 통합 될 경우 분산 관리되고 있던 관리 방식을 표준화 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정보를 인벤토리 내부에 확보할 수 있어 정보 획득 및 사용에 있어서 신속성, 정확성,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재난·재해 대응 및 SOC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인벤토리 구축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정보의 송·수신 및 통합관리가 가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통합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시스템을 통해 연계·관리되는 인벤토리는 신속한 재해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며, SOC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도 등 목적별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2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 산사태, 토석류 등의 토사재해 대책에 있어서는 사방댐 등의 구조물적인 대책과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 등의 비구조물적인 대책으로 나뉠 수 있으나, 이는 산지 중심의 대책으로 토사재해 발생시, 직접적으로 피해를 받는 도심지에는 다양하고 적절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지 토사재해 방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도심지 토사재해 대책을 파악하였다. 국내의 경우, 산사태를 주도적으로 연구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산림청의 산사태 방지 정책을 살펴보았다. 국외의 경우, 우리나라와 산지 피해 경향이 비슷한 일본과 도심지 토사재해 피해 저감을 목표를 두고 있는 홍콩을 중심으로 산사태, 토석류에 대한 대책을 조사해 보았다. 산림청의 「전국 산사태 예방 장기대책」은 5년마다 수립되며 산사태 재해 안전망 구축을 비전으로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실천 과제로 4대 분야 12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토사재해는 예전부터 발생된 자연재해 중의 하나로, 사방법(1897), 산사태 방지법 (1958), 급경사지법 (1969), 토사재해방지법 (2000)의 4대법을 이용하여 시설정비, 경계피난, 제한·규제가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 197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사면에 근접한 개발을 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도심지 피해 가중으로 사면 전담기구인 GEO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가 설립하게 되었다. GEO의 핵심전략은 3가지로, 새로운 개발에 대한 대처, 사면 안전성을 향상으로 인한 위험 감소, 초래되는 영향 저감을 두고 있다.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통합관리의 방향은 3D 애니매이션 결과를 이용한 토사재해 피해 영향권 정보를 획득한 다음, 도시 계획 담당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12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촌 곳곳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대홍수와 극한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와 슈퍼태풍 등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는 점차 규모가 커지고 그 피해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2011년 태국에서는 짜오프라야강 범람으로 국토의 70% 이상이 침수되었고, 2013년도에는 태풍 ‘하이옌’ 내습으로 필리핀에서는 6천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바 있다. 대부분의 자연재난은 태풍 및 집중호우 등 물재해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012년 전체 자연재난의 95.6%, 2013년 전체 자연재난의 93%를 물재해가 차지하였다. 이에 구조적·비구조적 홍수재해 저감대책 수립 및 시행 등 지속적인 물관리 노력으로 대하천에서 발생하는 홍수피해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운영·관리되고 있는 중소하천에서의 피해는 오히려 점차 증가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2011) 홍수피해의 98% 이상이 중소하천을 중심으로 발생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최근 태풍,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중·소하천의 범람 및 침수가 빈번이 발생함에 따라 홍수재해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체계적인 선진 홍수재해관리 체계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물관리 전문기관인 K-water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ICT기반의 우수한 물관리 기술력과 홍수대응 Know-How를 활용한 ‘지자체 홍수재해 통합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자체 홍수재해 통합관리 사업’이란 수문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과학적인 홍수분석과 선제적 홍수대응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선진 방재시스템을 지자체에 구축하고, 운영관리·교육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재난은 복구보다 예방이 우선되어야 함은 모두 다 아는 사실이지만 예산문제 등으로 항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아직까지 반복되고 있다. K-water는 물관리 전문 공기업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예방 위주의 재난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지자체 홍수재해 통합관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갈 것이다.
        130.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화나무는 사군자 중의 하나로 절개와 지조를 상징해 선조들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는 자연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매화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 화목이 아닌 과실을 수확하여 활용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과수작물로의 특징이 부각되어, 무관심 속에서 상징성이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또한 유실수로서 다른 노거수들에 비하여 수령이 짧고, 상대적 규모가 작아 보존 ·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고사하거나 멸실 위기에 처해있는 노거수가 많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지정 매화나무노거수의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고사 및 훼손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중 우수한 자원에 대해서 는 천연기념물 · 시도 기념물 · 보호수 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노거수의 생육상태, 관리실태, 수령, 자원가치 평가를 위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기준의 부재로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전국 매화나무 노거수 자원의 현황에 관한 기초자료의 부족으로 향후 다른 우수자원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13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외적으로 “녹색성장”을 내세우지만 막상 산불로 인한 피해에 대하여는 간과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산불로 인한 환경 피해는 치유도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산불예방과 신속한 진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가 산업화 사회에서 산불 발생을 원초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적극적인 예방과 산불 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 및 진화체계 구축으로 피해발생을 최소화하여 산림자원을 보호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고 후세에 대한 의무일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특성 및 대응방안과 제도적 측면을 검토하고, 산불의 원인 분석을 위하여 FTA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자료를 통해 연도별 극치자료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불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였다.
        13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 농경-산업사회에서는 문제시 되지 않았던 태양활동은 최근 다양한 전파기반의 첨단서비스가 속속 등장함에 따라, 위성, 항공, 항법, 전력 및 방송통신 분야 등 국가핵심기반시설서비스에 장애 및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새로운 재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2012년부터 우주전파재난을 국가재난관리체계에 신규 편입시키는 등 범 정부 차원에서 우주전파재난에 대비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강구해 왔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와 안전행정부에서는 우주전파재난 발생 시 정부 부처별 임무 및 역할을 규정한 "우주전파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2013.2월 제정하였으며, 각 부처에서는 이에 따라 세부 대응계획인 "우주전파재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주전파재난의 발생 원인 및 과정을 파악하고, 정부의 우주전파재난 대응계획과 향후 고도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13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2010, RDA has discovered 30 Green-Road as the way of developing rural area. However, results from conference with expert and village leaders of Green-Road conclud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ittle financial benefits due to mismanagement and need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issues, this research has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status, management of Green-Road and its influences on local area. Main purpose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reveal the various obstacles in road management, and to find better ways of road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goal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s with leaders in villages. Particularly, the investigation had focused on the specific management issues suggested by village lead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establishing a committee for creating leaders network and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road management and its consequences.
        13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조경 식재 유지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19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간관리비용이 500만원미만인 곳이 141개소로 75.4%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관리 비용의 부족으로 인해 조경유지관리회사에 위탁관리를 맡기지 못하거나 일부 관리 공종만 위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부분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유지관리를 실시하고 있어 모든 공종에 대한 충분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관리비용은 관리의 질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요인이나, 관리비용을 늘리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최근 조경에 대한 주민의식 향상에 따라 조경관리비용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알리고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경관리에 지불할 수 있는 관리비용을 설문조사 등을 통해 알아보고 적정한 관리비용을 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74.7%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이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관리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83%에 달하는 대부분이 조경 비전문가로서 전문적인 관리를 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리사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경 전문 과정을 통해 조경 관리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경관리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체 공동주택 중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72곳으로 37.9%에 그치고 있었으며, 매뉴얼의 내용부족 및 불명확한 기준과 표현 등으로 만족도 또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조경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매뉴얼을 통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쉽고 자세한 설명의 매뉴얼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조경 관리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각 공종별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35.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석유화학산업은 2012년 에틸렌 생산량 기준 세계 5위까지 올라서는 발전을 이루었다. 급격하게 발전하는 석유화학산업에 맞춰 그에 따른 관리방안 또한 발전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재 상태 또는 발생하는 사고를 보면 미흡한 점이 많이 보여 진다. 그 사례로 최근 화학 산업에서 화학물질과 관련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012년 하반기 국내 사고에서 가장 이슈가 되었던 구미사고를 보면 국내의 유해화학물질들이 정확한 관리방안도 없이 다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사고 후 처리과정에서도 보여진 문제점들 역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고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제도들 역시 그 사이에 공백이 생겨 제도적인 관리마저도 허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화학산업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직접적인 회사의 피해와 더불어 주위의 인명, 재산, 환경에게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그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업장 관리부터 사고 후 대응까지 확인하고 관리하는 부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 및 대응체계는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의 지역사회 비상조치제도(APELL)와 같은 긴급대응체계 등 세계 각 국에서 이행되고 있는 관리제도를 국내의 실정에 맞게 변환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 예로 대만에서 운영 중에 있는 센터를 보면 실시간 감지 및 조사를 통해 사고 발생 시 대처법 및 대피 방안 등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일원화 된 관리 센터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상위기관인 중앙관리센터는 각 지역의 센터를 지원 또는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총괄하는 기관으로 필요 시 법적 제재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에서 사업장 및 산업단지를 관리하는 지역관리센터는 속해있는 지역의 산업단지 및 사업장의 자체 방재 계획 및 시스템들이 잘 갖추어 진행되는지를 확인하고, 필요에 의해 지역 내 재난 대처 시스템(병원, 경찰서, 소방서 등)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센터의 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관리가 진행이 되려면 가장 우선적으로 산업단지 및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방재계획을 세우고 이를 철저하게 지켜나가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다.
        136.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ld tree (protected tree) and propos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old tree to make hold a sustained function a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rural area. We surveyed 96 old trees at 69 farm villages in Yaesan-gu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species of tree was investigated with Zelkova serrata, Ginkgo biloba, Quercus acutissima, Pinus densiflora, Celtis sinensis, and Juniperus cbinensis order. Most of them located at the inside (43.6%) and the entrance (35.1%) of a village, and at mountain slope (31.9%) and alluvial plain (25.3%) in terms of distribution topography. The existing place of pollution source was investigated with 61%, and the pollution sources were blocks, construction materials, cement packings, farm machines and living garbage. The place where the rates of bare ground were more than 50% for the root region of a protection tree was 63%. The tree surgical operation was investigated in 37.5% of protection trees, and 12.5% of protection trees were investigated with a tree surgical operation being immediately.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condition of old tree at study sites was 18.6 points. A monitoring class was divided by public monitor 59.3%, main monitor 38.5%, and dead tree 2.2% on the basis of that information. Hereafter, we will conduct to promote the management guideline and develope culture contents through additional investigation.
        13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planning(i.e. including rural landscape character area designation and rural landscape planning etc.). That application of landscape planning provides the probably most operable and comprehensive version of what is generally accepted by the discipline. According to the planning discipline the schemes of planning are to; Firstly, we derived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and the methods of landscape characterization subsequen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grasp the landscape resources in Yesan via reviewing the current study and field survey. Secondly, in order to achieve environmentally friendly rural landscape plan and characteristic rural landscape creation, we planed the draft landscape area such as woodland, hydrology area, urbanized area, rural communities, etc. which was classified by sphere of life moreover, we planed partly outdoor facilities, road and colour suchlike. Thirdly, we tried to seek the programme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for scenic and characteristic rural landscape area via rural landscape character area designation. Lastly, it is proposed that rural landscape planning lead to inhabitant participation, system improvement, subject performance for carrying out efficient rural landscape planning.
        138.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cal Agenda21 is an action program of local dimension to realiz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itizen participation is prime issues and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practice of the Local Agenda2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blem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at the advanced course of the Local Agenda21.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cognize of citizen about the Local Agenda21 is very low. Namely, the citizen of about 80% answered not to know about the Local Agenda21. 2. However, citizens showed the participation opinion to be very active by simple explanation about the Local Agenda21. 3. Also, citizens showed the result to be very affirmative in the environment problem consciousness investigation. Namely, citizens were recognizing the environment problem as the problem of the society synergic.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