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1

        14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변인이 소비자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의 제 1보의 결과 및 전통적인 디자인 이론들과 비교하고, (2) 소비자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레이아웃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두 종류의 꽃 모티브를 세 가지 레이아웃 변인에 따라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총 20개의 자극물을 개발하였다. 또한 44개의 형용사쌍으로 구성된 7점의 의미미분척도를 개발하여 세 가지 레이아웃 변인에 따른 소비자의 감성효과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편의표집된 110명의 20대 여성 소비자였으며, 이들에게 자극물을 제시하고 응답척도에 감성반응을 응답하게 하였다. 총 100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성분분석, 다변량분석, 삼원변량분석 및 다중비교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은 ‘호오(좋아함-싫어함)·심미감’, ‘액센트감’, ‘온화함’ 그리고 ‘리듬감’의 네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제 1보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2) 제 1보와 2보의 결과에 따르면, 꽃 모티브의 크기가 큰 비반복배열의 디자인이 다른 디자인들보다 더 ‘온화감’있게 느껴졌다. (3) 제 1보와 2보의 결과를 종합하여, 두 세트의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4,000원
        145.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은방울꽃의 형태와 핵형의 특징을 분석하고,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은방울꽃은 2엽식물이 70%, 1엽 식물이 30%로 출현하였으며, 3엽 식물은 매우 드물었다. 체장은 평균 34.4±4.6cm이고, 장타원형의 잎은 외엽보다 내엽이 좁고 길었다. 은방울꽃의 개화율은 조사된 식물 1,346개체 중에 평균 3.7%에 불과하였다. 화경은 대개 잎의 하부에 있으나, 드물게는 잎의 상부까지 자라기도 하였으며, 5~10개의 꽃이 총상화서를 이루었다.
        4,000원
        14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왕거미과(Araneidae) 꽃왕거미속의 1미기록종 Araniella yaginumai Tanikawa, 1995 꽃왕거미(신칭)을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서 채집하였기에 이에 기재 발표한다.
        3,000원
        147.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사과 열매의 anthocyanin색소를 식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하여 광선, 온도, 당류, 유기산, 금속이온 및 pH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색소는 광선에 안정하여 20일 까지도 60%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광선 차단용 포장재를 사용 시 상당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색소는 열에 안정하여 115℃에서 10분까지도 67%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당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유기산에 의해서는 색소의 농색화 효과가 높았다. 금속이온에 대해서는 Na^+, K^+, Mg^2+, Ca^2+ 및 Mn^2+ 모두 20일까지 안정하였고, Cu^2+에 의해서는 심각하게 저해되었고 나타내었으며 Al^3+에 의해서는 자색으로 전환되었다. pH가 낮을수록 색소의 농색화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색소는 우수한 천연 적색색소자원이다.
        4,000원
        148.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제 1보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두 레이아웃 변인 (모티브 크기와 반복 배열 방식)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이러한 분석결과를 시장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2보네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이 감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레이아웃 기법 전개에 관련된 실증적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변적 또는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던 기존의 스카프 디자인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성과학 이론이 섬유 제품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4,200원
        150.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를 가지고 제주지역의 기후를 이용하여 합리적이고 양질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적품종선발. 정식적기 판정, 무가온하우스 효과 등을 시험하였다. 꽃양배추 중에 Snow king과 Snow crown품종은 조생종으로서 초기 영양생장이 활발했지만, 화구의 형질이나 비타민 A와 C의 함량은 Snow dress가 많았다. 푸른꽃양배추와 비타민 분석결과 New green품종이 높게 나왔지만 초기 생육이나 상품성에서는 Green beauty가 제주지방에서 재배 가능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 전 품종에서 10월 1일 정식한 구보다 9월 3일과 17일에 정식한 구가 정식일로부터 수확일까지의 소요기간이 짧았다. 수확물비교에서 꽃양배추는 정식기별로 유의차가 거의 없었고, 녹색 꽃양배추에서는 10월 1일 정식한 구가 상품성이 높았다. 꽃양배추의 경우 만생종인 Snow dress를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하면 생육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었고 녹색 꽃양배추는 비교적 노지와 무가온 하우스 재배가 비슷하였다.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 모든 품종에서 비타민 A와 C 함량은 노지와 무가온 하우스 재배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를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하면 화구중은 감소하고 화구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800원
        151.
        1998.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Herbalogy with the plants of Caryophllcceae which grow wild and is planted in Korea, the these and writings on herbalogy, from literature of successive generation,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ive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totaled to 20 genera and 124 species in Korea and among them midical plants are 11 genera, 30 species, some 24% in total. 2. According to the oriental names which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 the medical plantss belonging to the Caryphllaceae family were classified as Herba 11, Radix 7, Foilum 2, Semen, Flos, Rhizoma 1 each 3. According to sum of 124 species in Caryophllaceae family, they were classified into Cerastium genera 18, Dianthus gemera 16, Pseudos tellaria genera, Lychnis genera, Stellaria genera 12 each, Melandry um genera 11, Silene genera 10, Minuaria genera 8, Gypsophila genera, Sagina genera 5 each, Arenaria genera, Cucubalus genera 3 each, Spergual genera, Vaccaria genera 2 each, Agorostema genera, Amnodenia genara, Moehringia genera, Myosoton genera, Honkenya genera 1 each. Thus it was noticed that Cerastium genera was main kind 4.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ies of the orgin plants about each chinese materia medicals, they were classified into HERBA DIANTHI 4, RADIX PSEUDOSTELLARIAE 3, SEMEN VACCARIAE 5, RADIX GYPSOPHILAE 4. 5.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principal curative action, they were classfied into drugs for treating febrifugal and removing heat from blood, Diuretocs 6 each, Drugs for treating febrifugal and detoxicant 2, Drugs for invigorating blood, circuration and eliminating blood stasis 3, tonics 1, easing joint movement 1, stimulation of lactation 44. 6. According to nature and flavour of medical pla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warmth, heat; each 3, cold, cool; 11each, balance 3 and unidentifird 2. Thus it was noticed that cold and cool is the main in nature and flavour of medical plants. 7. Toxic drugs were none. From this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plants for medical purpose in Caryophllaceae was 24% of the whole, in which Herba was mostly abundunt. It is considered that may expriements and clinical approches must be continued to use Caryophllaceae plants widely.
        5,700원
        157.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국화과(초롱꽃목) 잡초를 가해하는 곤충조사 결과, 12속 16종의 잡초에서 5목 17과 43속 45종의 곤충이 채집되었다. 그 중 노린재목과 딱정벌레목의 각각 13종으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중요한 잡초가해 곤충은 진딧물과 잎벌레였다. 식물별로는 참쑥에서 15속 16종의 가장 많은 곤충이 채집되었으며 그외 엉겅퀴와 망초에서도 많은 곤충이 기록되었다. 가해능력이 우수하였던 곤충은 엉겅퀴의 우엉수염진딧물과 엉겅퀴가는잎말이나방이었고 쑥류에서는 쑥민들진딧물외에 쑥잎벌레, 긴발벼룩잎벌레, 금록색잎벌레, Hamushia konishili 잎벌레였다. 기주특이성이 있었던 곤충은 진딧물류와 잎벌레류였으며 쑥류와 망초의 꽃에서 빈번하게 채집되었던 노린재류의 기능은 확인할 수 없었다.
        4,000원
        159.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edles and polle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were studied for their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total lipid contents in needles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were 5.0 and 4.5%, whereas in polle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3.5 and 5.6%, respectively. Twenty-four fatty acids ranged from lauric acid to docosahexaenoic acid(22:6Ω3) were identified in the needle lipids. In needles,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The needles of Pinus densiflora showed higher proportions of docosahexaenoic acid and 5-olefinic nonmethylene-interrupted polyenoic acids than those in the Pinus koraiensis. Twenty fatty acids ranged from myristic acid to lignocer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pollen lipids. Linole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the pollen followed by oleic and palmitic acid. The fatty acid profile of pollen of Pinus densiflora was similar to those of the Pinus koraiensis pollen lipids.
        4,000원
        160.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opaeolum majus, with a high decorative and food demand for vertical greening systems, has been utilized to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The effects of number of non-woven fabrics in a non-water environment and the adaptability of T. majus to this system were investigated. Planting ground composition of the container-type wall vertical greening system was made using non-woven fabric in one, two, three, or four lay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water content remained the highest when the non-woven fabric comprised 4 sheet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showed more growth with the 4 sheets than with 1, 2, and 3 sheets. In term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hlorophyll content was mostly high in the 4 sheets, while shoot fresh weight value was in the order of 3 sheets > 4 sheets > 2 sheets > 1 sheet, and root fresh weight value was in the order of 4 sheets > 2 sheets > 1 sheet > 3 sheets. The dry weight of the measured values in the shoot was in the order of 4 sheets > 3 sheets > 2 sheets > 1 sheet while no clea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oot of each treatment. The difference in the flowring characteristics was not different, but in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whole, the growth in the three layers of non-waven fabric was the best. In addition, the soil moisture content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s. Thus, greater the non-woven fabric, the higher is the adaptability of T. majus to dry stress under soil water-free conditions by maintaining soil moisture content. This showed that it represented an effective alternative as a method of vertical greening system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