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14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 난포 발달 과정 중 원시난포-1차 난포 변화과정 시기에 발현하는 유전자를 알아보고 자 수행하였다. 원시난포로만 이루어져 있는 생쥐의 생후 1일자 난소와 원시난포 및 1차 난포로만 이루어져 있는 5일자 난소의 RNA와 총 80개의 annealing control primer(ACP)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자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 41개를
        142.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yl-CoA synthetase 4는 생쥐에 있어서 거의 모든 조직에서 발현하며 아라키돈산에 특이적인 효소이다. 아라키돈산은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cPLA2에 의하여 유리되고 cyclooxygenase-1, -2에 의하여 eicosanoid로 변환된다. 이렇게 생산된 prostaglandin과 같은 eicosanoid는 배란, 수정, 임신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세포막으로부터 유리된 아라키돈산은 acyl-CoA syntheta
        143.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DAM은 metalloprotease/disintegrin domain을 가진 transmembrane glycoprotein으로서 지금까지 30종류 이상의 ADAM 및 10종류 이상의 ADAM-TS 단백질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기능은 포유동물의 수정 시 sperm-egg binding과 fusion, myoblast fusion, integrin과의 결합 등에 직접 관여하거나, TNF-alpha 등의 생체신호전달물질이 세포로부터 분비될 때에 이들의
        145.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높은 농도로 투여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이성체(GnRH-Ag)는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키고 난소의 기능을 억제하는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시술과정에서 과배란 유도를 위해 다량의 GnRH-Ag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progesterone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황체기 결함을 유발시킨다. 본 실험의 목적은 이러한 황체기 결함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알아보고자 사람 과배란 유도 과정과 비슷하게 생쥐에 GnRH-Ag
        14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식주기 중의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 중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이 프로게스테론(P)에 의하여 차별적으로 조절되는 실험을 하였다. 첫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배란기 흰쥐를 사용하였고(OVX/estrus), 둘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난소절제 후 P4를 주사한 흰쥐를 사용하였다(OVX/OVX+P). 적출한 자궁조직에서 total RNA를 추출, [P]-dATP로 probe를 제작한 후 Rat Atlas away 1.
        14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
        14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비만뿐만 아니라 여성의 생식 생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이러한 leptin이 난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에서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확인하고 발정주기에 따른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RT-PCR 방법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 결과 흰쥐 난소내에서 leptin은 협
        14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유동물에서 뇌와 부신에서 합성ㆍ분비되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CA)계 신경전달물질인 dopamine(DA), norepinephrine(NE), epinephrine(E)은 체내 각종 생리현상의 조절에 필수적이며, 생식과 관련된 기능으로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사이의 GnRH-gonadotropin 호르몬 축의 활성을 조절함 외에도 번식과 연관된 여러 행동양식을 조절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카테콜아민 생합성 효소인 tyrosin
        151.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식산 농어, Lateolabrax japonius 암컷의 난소와 혈액을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매년 10월부터 2월까지 2회 반복 채취하였다. Gonadosomatic index는 11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2월(12.81.5)과 1월(14.83.5)에 최고 수준을 나타낸 후 2월(2.61.5)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P<0.05). 난소내 난모세포는 12월과 1월에 3차 난황구기까지 발달하고 성장이 완료되지만, 성숙 및 배란이 되지 않고 2월
        152.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쥐 난소에서 glucosamine-6-phosphate deaminase (GNPD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상에서 Mr. 31 kDa의 항원을 검출하였으며 출생 후2주에 급격한 발현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난소절편의 면역염색 결과 협막세포와 간충조직에서는 균질한 발현을 보인 반면 난포내 발현양상은 난포의 발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부 1차 난포의 난자에서 GNPDA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강소형성 난포의 난자에서는 관찰되지 않
        153.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춘기전과 사춘기가 시작될 무렵의 흰쥐난소에서 에탄올이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StAR)의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생후 25일 째부터 매일 흰쥐에 에탄을 또는 생리식염수를 복강주사하고 생후 27일, 32일 째에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혈액과 난소를 적출하였다. 실험결과 에탄올은 혈중의 황체호르몬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자궁의 무게는 27일 째에는 에탄올처리
        154.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분석을 위해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nucleotide 566을 포함하고 있는 exon 7에 특이적인 primer쌍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전기 영동으로 반응산물을 확인한 다음, 돌연변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절단분석 (Restriction Fragment Length
        155.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MT-MMP)는 세포막에 부착된 채로 작용하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서 최근들어 정상 및 암세포 등 각종 조직세포의 재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에서의 MT1-MMP와 MT2-MMP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생후 3주 및 8주된 생쥐의 난소로부터 얻은 미성숙난자와 체외 및 체내에서 성숙시킨 난자
        15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wth/differentiation factor-9 (GDF-9)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superfamily의 member로서 난소의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정상적인 난포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성숙인자로 최근에 알려졌다. 본 연구는 RT-PCR을 통해 생쥐의 원시난포에서의 GDF-9 mRNA의 발현 여부와 함께 난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는 ICR 생쥐를
        157.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지방 조직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며, 신진대사, 식욕, 체열 등을 조절하여 비만의 억제 조절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ptin은 비만 뿐만 아니라 생식 생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leptin의 작용이 난소에 직접적인지 혹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를 매개로 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난소에서의 leptin 및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또한 미진
        158.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시작되고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StAR)은 스테로이드의 합성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을 미토콘드리아의 안으로 신속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난소, 부신, 고환에서 합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의 발현 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난소의 경우 StAR mRNa는 프로게스테론
        15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세포사 (apoptosis)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ceramide를 배양중인 생쥐 과립세포에 처리한 뒤 형광염색, in-situ 3'-end labeling(ISEL), 그리고 flow cytometry 기법을 이용하여, 자연세포사 및 세포주기에 미치는 ceramid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Ceramide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ceramid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로의 생존율은 농도에 비레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
        16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ypothalamic peptide GnRH plays a central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mammalian reproductive axis.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GnRH stimulates or inhibits the ovarian steroidogenesis and gametogenesis directly. Our previous report indicated that GnRH gene is expressed in adult rat ovary as well as in hypothalamus and that the expressed GnRH may induce the follicular atresia and apoptosis of ovarian granulosa cells in rat. Therfore, we studied whether GnRH gene is expressed in the mouse fetal ovary, when the germ cells are degenerating by apoptosis during gonad diffeerentiation. Mouse fetal gonads were obtained on the 12, 15,18 and 20th day of gestation from the mother mice superovulated (10 IU PMSG and 10 IU hCG) and mat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fetal ovaries were examined histochemically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The fetal sex was confirmed by PCR methods for sexing. RT-PCR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GnRH gene and the sex steroid hormones were determined by conventional radioimmunoassays. The levels of estradiol (E) and progesterone (P) were increaseduntil 18th day of gestation and then E was decreased just before parturiti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fetal gonadal tissue sections showed the ovarian development and coincided with the result of PCR analysis for sexing using ovary- or testis-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Immunoreactive GnRH in placenta was decreased gradually until the end of gestation but fetal brain and ovarian GnRH were increased. The level of GnRH gene expression was increased during fetal ovarian development from 12 till 18th day and decreased suddenly on 20th day just before birth.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ovarian GnRh may play a regulatory role on the germ cell differentiation of fetal ovary.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