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9

        14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일본, 대만에 발생하는 유해 해충인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의 실내사육조건인 광량조절로 인공채란에 성공한 후, 난과 유충으로 나누어 온도별 발육을 조사하였다. 유충은 1령, 2령, 3령으로 구기와 기문의 발달을 통해 구분하였다. 난과 유충의 온도별 발육은 15℃, 18℃, 21℃, 24℃, 27℃, 30℃, 33℃(습도 65 ± 5%, 광주기는 0L : 24D)의 7개 온도에서 각각 조사 하였다. 사충률은 어린 유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21 - 24℃범위가 사충률이 적었다. 난을 포함한 유충의 발육기간은 15℃에서 53.2일, 30℃에서 25.6일로 발육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점차 짧아졌다. 33℃는 3령충이 모두 사망하여 발육을 마치지 못하여 15 ~ 30℃까지만 발육을 조사하였다. 발육률을 직선회귀식에 분석한 결과 r 2값이 평균 0.94이상으로 잘 부합되었다. 발육영점온도는 난과 유충기간이 5.99℃이었고, 유효적산온도는 731.64일도였다. 성충 수명은 24℃에서 평균 73.9일 이었으며, 일일 산란수는 8.6개였고 산란기 평균산자수는 218.8개 였다.
        14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주홍부전나비(Lycaena dispar)는 경기북부에 주로 서식하는 북방계통의 곤충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동으로 전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된 곤충이다. 반면 작은주홍부전나비(Lycaena phlaeas)는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는 곤충으로, 이러한 주홍부전나비류의 실내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두 종에 대한 온도, 광주기, 기주식물에 따른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큰주홍부전나비 유충은 단지 소리쟁이(Rumex crispus)만을 섭식하고, 작은주홍부전나비는 수영(Rumex acetosa)과 소리쟁이(Rumex crispus)를 모두 섭식하여 발육이 가능하였다. 큰주홍부전나비는 소리쟁이를 섭식했을 때 유충기간이 13.8일, 작은주홍부전나비는 수영을 섭식할 때 15.9일, 소리쟁이는 15.2일이 걸렸다. 온도별로 경과는 20℃에서는 유충기간이 19.4일, 30℃에서는 11.0일이었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충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란선호성에 있어서 큰주홍부전나비는 소리쟁이에 산란 선호(84.8%)하고, 작은주홍부전나비는 수영에 산란 선호(74.7%)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휴면에 가장 민감한 영기는 1령 유충기인 것을 확인하였다. 1령 유충을 8L:16D의 조건에서 사육했을 경우 3령(부화 후 16일째)기에 휴면에 들어가는데, 휴면율이 95.4%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14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펠렛사료는 습체사료(떡사료)의 문제점인 사료조제의 불편성, 장기보존 및 유통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중 곤충사육 및 체험에 특히 유리하다. 이에, 학습교재용 곤충으로 이용이 많은 배추흰나비용 펠렛사료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사육시험을 수행하였다. 펠렛사료 제조를 위한 이축압출기 최적 운전조건은 main motor 300rpm, feed motor 50rpm, 가수량 80ml/min, 스크류 배열 3, 8 reverse screw 및 사료배출구 φ5mm 임을 확인하였다. 배추흰나비의 영양요구성을 만족하면서 튀김성이 우수한 펠렛사료는 연구실에서 개발하여 사용중인 나비용 습체사료에 비해 Oil, Cellulose 및 성형제 비율은 낮아지고 전분 및 단백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아진 사료조성을 보였다. 기주로 케일분말을 20% 첨가하였을 경우 사료의 직경은 9.3mm로 2배 정도 튀겨졌으며 사료무게의 1.5~1.8배의 물을 흡수하였다. 펠렛사료를 이용하여 배추흰나비를 사육한 결과 유충기간이 15.2일로 기주사육구 11.2일에 비해 다소 늦어졌으며, 우화율도 펠렛사료구 71.4%로 기주사육구 85.0%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용체중은 펠렛사료구 251.7mg으로 기주사육구 156.9mg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으며 성충의 크기도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14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yonic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s of Nezara antennata Scott were observed in 5 different rearing cages such as A (Cylindrical, ø 10 ㎝ × 4 ㎝), B (Cylindrical, ø 14.5 ㎝ × 2.8 ㎝), C (Rectangle, 6.5 L × 6.5 ㎝W × 10 ㎝H), D (Cylindrical, ø 9 ㎝ in bottom & ø 11.5 ㎝ in upper × 10.8 ㎝) and E (Cylindrical, ø 15 ㎝ × 7.5 ㎝) containing soybean and peanut seeds as food, and sponge soaked with water under laboratory condition of 24℃ and 15L : 9D. Hatchability ranged from 93 to 97%. Nymphal duration was shortest of 6 days in the 1st instar and longest of 10 days in the 5th instar. The nymphal duration was 38 to 39 days observed in the rearing cages. Emergence rate was in the range from 53 to 62% with highest in A and B cages. Adult longevity was 65 to 75 days for male, and 67 to 74 days for female, and was longest in the B cag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female adult was in the range from 51 to 56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ring cages, and was the most in the B cage. Accordingly, the reproductive rate of N. antennata for 1 generation was within 25 to 33 times, and was highest in the B rearing cage.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B cage is most suitable for stable rearing of N. antennata under laboratory condition.
        4,000원
        14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velop economical artificial diets of the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 Diets were mixed with malt or sugar instead of whole honey for cheaper ones. Fecundity, developmental period, pupation rate, emergence rate and adult longevity of G. mellonella depending on diet were examined. The head width and length of larva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s tested. However, the weight of larva was the heaviest, 255.5 ㎎, at 1/2 honey + 1/2 malt diet and lightest, 144.3 ㎎, at sugar diet. The weight of pupa was also the heaviest at 1/2 honey + 1/2 malt representing 196.7 ㎎. Larval period was the shortest at honey diet as 30.9 days but the longest at sugar diet as 36.5 days. Pupation and emergence rates were over 79.3% at all diets. The longevity of mated females was ranged from 6.3 to 8.0 days and those of mated males ranged from 7.9 to 11.2 days. The highest number of eggs, 1269, was obtained at sugar diet. Artificial diets replaced by rice bran, malt, and sucrose reduced costs compared with wheat bran plus honey diet. The cost of rice bran was only 10% of wheat bran. Honey was much more expensive than malt and sugar, that is 6 and 13 times, respectively.
        4,000원
        14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4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우의 사육이 집단화, 대형화 되어가고 사육 규모 및 형태가 달라지고 있는 환경에서 번식우 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와 사육 형태별, 산차별 번식 장애우의 발생 양상을 알아보고, 번식 장애의 발생 유형 및 그 비율을 확인하며, 한우 사육 농가에서 번식우의 영양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신체충실지수에 따른 번식 장애우의 발생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한우 번식우 사육을 위한 적정 사육 환경을 규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1. 한우 번식우의
        4,000원
        15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pula nova appeared to have three generations a year under the rearing conditions at room temperature. The first-generation with its eggs laid in April spent from 51 to 117 days, while the second-generation with its eggs laid in July spent from 57 to 93 days. The third-generation in which eggs were laid in September to grow until the following spring took 79 to 200 days. All the processes of life cycle of the species, when reared at room temperature from the spring to the summer with eggs deposited in the spring, were as follows: Eggs usually hatched between 7 and 10 days after oviposition. First ins tar larvae molted to the second instar in 7-10 days. Second instar larvae spent 7-12 days for next molting and third instar period lasted approximately 7-11 days. Fourth ins tar larvae spent 17-50 days for pupating. The duration of pupal stage was 3-6 days.
        3,000원
        15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orts a simple rearing system for Cnaphalocrocis medinalis based on com seedlings diet. C. medinalis population under this system has been maintained by four stages (egg, young larva-1st to 3rd instar, old larva-4th to prepupa, and adult) at 25±2℃, 40±10% RH, and 16L:8D photoperiod in a laboratory. We have elaborated a new egg collection method using a polystyrene container (top Ø11.3 × bottom Ø9 × H8㎝) which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easy collection of eggs and storage of them for long period. Under this system,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rate and pupal weight of C. medinalis population were close to the other reports by corn seedling diet and superior to those by artificial diets. Therefore this rearing system would be useful in obtaining C. medinalsis population suitable to each specific needs.
        4,000원
        15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규격이 다른 5가지 사육용기, A용기 (원통형, 직경 10 cm, 높이 4 cm), B용기 (원통형, 지름 14.5 cm, 높이 2.8 cm), C용기 (사각통, 가로세로 : , 높이 10 cm), D용기 (원통형, 밑지름 9 cm, 밑지름 11.5 cm,높이 10.8 cm), E용기 (원통형, 직경 15 cm, 높이 7.5 cm)에 두류종자 (대두+땅 콩종자) 및 스폰지급수물을 제공하여 , 16L:8D 실내조건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부화율, 우화율 및 산란수를 조사하여 증식율을 구하였다. 난기간은 사육용기에 관계없이 6일 이었다. 부화율은 로 B용기에서 가장 높았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5일, 5령에서 11일로 영기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하였다. 약충기간은 일로 사육용기에 따른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우화을은 로 B용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A용기 였다. 성충수명은 수컷에서 일, 암컷에서 일 이었고, 성별에 관계없이 B용기에서 가장 길었다. 암컷의 산란수는 개로 사육용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B용기에서 가장 많았고, E용기에서 가장 적었다. 따라서 가로줄노린재의 1세대 증식율은 약 배로 사육용기에 따른 현저한 차이와 함께 B용기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실내에서 가로줄노린재를 가장 안정적으로 사육하기 위해선 B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관의 연중 전시용으로서 붉은 색 계통의 화려한 나비로서 공급하기 위하여 네발나비류의 계대사육법 체계확립을 위해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내 제대사육용 인공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3종의 사료를 공시한 결과 종에 따라 선호하는 사료의 종류가 달랐으나 Bu사료가 대체로 사육 성적이 양호하였으며 사료 중 기주잎 분말은 냉동 건조한 것이 좋았으며 C/N율은 1:1이 가장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발육단계 별 냉장가능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의 경우 에서는 3일간, 에서는 5일간 저장이 가능하였고 번데기의 경우에는 저온에 오래 보관할수록 기형 나비의 출현율이 높아 에서 최대 15일간 냉장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비의 장기 저온보호시험을 통해 냉장전의 흡밀기간, 냉장 온도에는 관계없이 법 장기간이 생존을, 산란전기간 및 산란수에 영향하였으며 60일까지 냉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발나비는 기주식물의 자극없이는 산란하지 않아 페트리 접시를 이용한 간이 인공산란용 키트를 개발하여 기주식물(한삼덩굴)잎의 에테르 물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암컷 1마리 당 평균 개를 산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네발나비류의 연중 실내제대사육 체계도를 완성하였다.
        4,000원
        15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Coleoptera: Dynastidae)) 후장에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세균은 각각 Yersinia와 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이 두 세균의 셀룰로오스 분해능력은 참나무 톱밥으로 사육되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nlensis (Coleoptera: Cetoniidae))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때 먹이 톱밥에 10% 이상의 밀가루를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의 발육은 더욱 증진되었다. 한편 동정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사과원 전정목 톱밥에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는 이를 먹이원으로 성장하였다. 이들 굼벵이의 대량사육에 따른 배설물은 높은 유기물 함량과 극소량의 독성 중금속을 함유하여 퇴비로서의 기능을 보유하였다. 이 굼벵이 배설물을 상추 재배지에 투입할 경우 상추발육을 촉진시켰다.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래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하여 굼벵이 사육을 도모하는 데 일차 응용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부차적으로 사과원 폐목과 굼벵이 배설물의 자연 순환 모델을 제시하였다.
        4,000원
        15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하고자, 30마리와 60마리씩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30분이내에 사육수를 담수로 교환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 30SW에서 2.8 ng mL-1,60SW는 2.7 ng mL-1로부터 30FW와 60FW는 24시간째 각각 66.9 ng mL-1, 314.1 ng mL-1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장의 Glucose농도는 60SW는 개
        4,000원
        16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대노린재(P lewisi)의 실내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먼저 실내에서의 생식행동을 구명하였다. 고온장일조건(, 16Lㆍ8D)의 사육실에서 사육하면서 교미행동과 다중교미가 산란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광대노린재 성충의 교미는 성충 일령별로 9일째부터 시작되어 17일 이후는 교미율이 증가(60% 이상)하여 성충 21일째 84.5%로 피크를 이루였다. 광대노린재의 교미행동과정은 탐색배회, 접근, 더듬이접촉, 올라타기, 복부말단접근, 교미(끝에 끝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컷은 교미행동 전 과정에서 능동적이었으며 또한 암컷에게 올라타기를 하기 전까지 마찰음을 내였으나 대부분의 암컷은 교미에 수동적이었다. 교미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조명 후 1시간 내에 69% ,2시간 8% ,3시간 6% ,4시간 16% ,5시간 1%로 거의 4시간 내에는 교미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암컷의 재교미는 첫 교미 후7일 동안 20% 정도 이루어졌으나 수컷의 재교미율은 암컷보다 월등히 높았다. 한편 암컷은 1회 교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감소하였으나 재교미를 함으로서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향상되었고 수컷은 교미횟수가 증가할수록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감소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