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0

        14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야생동물의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동물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특히 이동 철새의 경우에는 종에 따라 다양한 번식지, 월동지, 중간기착지 환경을 갖기 때문에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 패턴을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천연기념물 제 205-1호로 지정된 저어새 (Platalea minor)는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에 등재되어 있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전 세계 개체군의 대부분이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고 홍콩이나 타이완 등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번식지는 칠산도, 납대기섬, 석도, 비도, 남동유수지, 각시암, 수하암, 서만도, 구지도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칠산도는 국내 최남단 저어새 번식지로 천연기념물 제 38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1년 저어새 최초 번식이 확인된 이후 점차 번식 개체군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저어새 개체군에 관한 구체적인 행동권 및 이동 특성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칠산도에서 이소한 저어새의 번식지 및 월동지 행동권 분석을 통해 이동 패턴과 서식지 정보를 파악하여 저어새의 보존 관리방안의 기초 자료로 확인하고자 한다. 칠산도에서 번식하는 저어새의 번식 현황 조사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매월 1회씩 총 4회 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이소한 저어새 4개체를 mist-net을 이용하여 포획 후 각각 개체에 고유번호(nhc1701, nhc1702, nhc1703, nhc1704)를 부여하고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300)를 부착하여 방사하였다. GPS 좌표는 4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하였으며, 매일 2차례 좌표를 수신받았다. 수신된 좌표는 ArcGIS 10.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MCP)과 커널밀도 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를 활용해 행동권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저어새 4개체의 번식지인 칠산도와 백수 갯벌의 행동권은 평균 60.14 ± 24.91 km2 (MCP), KDE 90%는 28.01 ± 5.54 km2, 핵심서식지로 분류할 수 있는 KDE 50%는 6.18 ± 1.11 km2 으로 나타났다. 월동지 행동권의 경우 평균 39.98 ± 31.65 km2 (MCP), KDE 90%는 19.94 ± 12.36 km2, KDE 50%는 6.43 ± 4.95 km2 으로 나타났다. 번식지와 월동지의 저어새 행동권은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MCP; t = -0.761, p = 0.50, KDE 90%; t = -1.138, p = 0.34, KDE 50%; t = 0.089, p = 0.93). 저어새의 행동권 분석 결과 번식지 및 월동지에서 수계 환경 의존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수계 환경변화 및 방해 요인이 저어새 서식 환경에 직・간접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행동권 내 서식지의 특성, 환경요인 등을 분석하여 저어새의 번식지 및 월동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보호 및 보전을 위한 기초 생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4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uth Korea has over 0.38 million of managed honey bee (Apis cerana) colonies before 2009 years ago, which produce the highest quantity of honey in the Korea; however, almost colony (90%) were collapsed by Korean Sacbrood Virus (KSBV) in South Korea. Korean Sacbrood Virus (KSBV) is the pathogen of A. cerana Sacbrood disease,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honeybee A. cerana, and tends to cause bee colony and even the whole apiary collapse. Colony collapse of A. cerana was first reported on the Pyeong-Chang of the South Korea in 2009. Several scientists and governments has been tried research for cure the sacbrood disease in A. cerana colony by medicines and management techniques. Unfortunately, The sacbrood disease dosen`t improve. So, we were developed a better breed of A. cerana for resistance of sacbrood virus by selection and then artificial insemination. A. cerana breeding technique was first successful applied with A. cerana in Korean. Queens was grafted from sacbrood resistance line and then it was growing in sacbrood disease colony that was survived 100%. Altogether selected 18 queen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and 2,000 drones of A. cerana in Korea was used to evaluate amount of semen collection. We are select two scabrood resistance A. cerana line (R and H). R line be used for rearing the Queen. Drone was reared in H line colony. The RH hybrid were not infected sacbrood virus even spread sacbrood virus (2×106). RH colonies have very excellent hygienic behavior, brood, and sacbrood disease resistance activity.
        14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전세계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식용곤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식용곤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흰점박이꽃무지는 동의보감에서 효능을 인정받아 식량자원으로써 연구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먹이에 대한 선호도 조사와 사육키트 설계를 통해 생산성 증대를 꾀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에 대한 먹이 선호도 조사는 단백질의 함량과 당도, 그리고 알부민의 함량을 달리하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백질 함량의 실험의 경우 0 %, 1 %, 5 %, 10 %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이 실험을 통해 단백질의 함량은 흰점박이 꽃무지의 먹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도의 경우 과일의 당도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15 brix, 20 brix, 25 brix, 30 brix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20 brix가 흰점박이꽃무지가 가장 선호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계란 흰자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알부민의 경우 0 %, 10 %, 15 %, 20 %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여 알부민의 함량이 적을수록 선호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먹이에 대한 선호도조사를 사육키트 설계에 반영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사육키트는 실제 사육장의 인터뷰를 참고하여 온도 28 °C와 습도 40%로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설계하였다. 사육키트의 온도는 사육키트의 바닥에 부착된 전기 매트를 통해 조절하고 습도는 사육키트의 측면에 위치한 팬을 통해 조절된다. 또한 먹이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먹이배급장치를 별도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성충에 대한 먹이 선호도 조사와 사육키트의 설계를 통해 미래 식량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는 점에 있다.
        14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가 선호도가 높은 분홍색 비모란 선인장 ‘Yeonbit’는 분홍색 품종 ‘Yeonsi’을 모본으로, 분홍색 ‘Yeonsil’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2011년에 교배하여 육성된 교배종이다. 종자를 70% C2H5OH와 2% NaOCl로 멸균처리한 후, 100mL 삼각플라스크 0.1% 활성탄이 첨가된 Kyoto 배지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유묘는 기저부를 잘라 기배계대 배양된 어린 삼각주에 접목한 후 동일한 배지가 첨가된 시험관에 치상하였다. 6개월 재배 후 온실로 옮겨서 순화과정을 거쳤으며, 기외에서 매년 접목을 하였으며 총 4번을 접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Yeonbit’ 품종은 편원형 모양과 분홍색 구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7~9개, 평균 8.0개의 능(rip), 갈색의 직립형 짧은 가시, 그리고 혹(tubercle)이 돌출된 형태로, 모구가 구성되어 있다. 정식 10개월 후 ‘Yeonbit’ 품종의 구직경은 34.5mm였으며 자구는 모구와 같은 분홍색으로 평균 15.4개가 생성되었다. 2015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Yeonbit’ 품종은 기호도 점수 3.7을 받았다. 2017년 6월 12일에 이 품종은 국립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등록번호 6752)를 받게 되었다.
        4,000원
        14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alaenopsis ‘Blanc Rouse’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3년도에 육성한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7년에 백색 바탕에 분홍색의 소형 P. ‘KV 600’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진한 핑크색의 P. ‘Kang 1’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시킨 후대 계통 중에서 선발하였다. 2010년에 화색, 초장, 화경 및 식물체의 생육상태 등을 고려하여 1차 선발 후 2013년에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Blanc Rouse’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흰색바탕에 자주색 순판을 가졌으며 꽃 가운데 분홍색의 줄무늬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품종이다. 화형은 꽃잎과 꽃받침이 평편한 모양이고 꽃의 길이와 폭은 4.3cm, 4.8cm로 소형이다. 꽃대가 평균 2개 발생하며 복총상 화서로 화서당 꽃 수가 39.4개로 볼륨이 있어 소형분화에 적합하다. 자연 개화시기는 11월 하순으로 개화가 빠른 조생종 이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17.3, 6.2cm이며 엽형은 수평이다. 기내 증식력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내병성이 강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4,000원
        14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eurotus eryngii is one of the most commercially important mushrooms cultivated in Korea. However, the shelf-life of the fruiting body is short, limiting its export. A new hybrid strain H17 of P. eryngii was developed to extend the shelf-life by mono-mono crossing between monokaryotic strains derived from DanBi and KNR2774. Although the cultivation period of H17 was slightly long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cultivar Kenneutari No.2, the quality did not change and remained normal after a period of 65.0 days at 4°C. This resul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ference cultivar Kenneutari No.2. Analysis of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hybrid strain H17 revealed a different profile from that of the parental and reference cultivars when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primers was us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H17 is a new cultivar with improved storability after harvesting.
        4,000원
        14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 신품종 ‘여름향2호’는 ‘갈뫼’와 우리원 육성품종 ‘흑향’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이 흑갈색을 나타내며, 고온성이면서 재배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16°C 고온에서 병재배 시 배양 기간은 24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8일, 생육일수는 8일로 총재배기간이 40일 소요되어 대조품종 ‘흑향’에 비해 3일 단축되었다. 특히 초발이 소요일수가 2일 단축되면서도 버섯 발생이 균일한 특성을 보였다. 수량은 850 ml(∅59) 병 당 154 g으로 ‘흑향’에 비해 8% 증수되었다. 베타글루칸 함량은 67.89 g/ 100g으로‘흑향’, 시판 중인 황금팽이, 백색 팽이버섯에 비해서 1.1~2.2배 높았다.
        4,000원
        14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느타리버섯 주요 수출시장인 유럽과 북미시장의 소비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갓이 큰 형태의 큰느타리버섯 품종을 육종하기 위하여 육종모본 KNR2555를 자식교배하여 소규모 시험재배하여 갓형(Convex)와 갓직경(60.7 mm), 품질(4.9)을 기준으로 2×12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을 갓애린이라고 명명하고 대량재배로 큰느타리2호와 생육특성을 비교하였다. 병당수량은 갓애린이가 71.7 g으로 대조품종 71.4 g과 통계적 유의성 없었다. 품질의 경우 갓애린이는 6.8, 큰느타리2호는 6.5로 나타났다. 생육소요일, 길이, 갓직경은 독립 t test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각각 P < 0.001, P < 0.05, P < 0.001, P < 0.05). 고유성에 있어서는 URP1와 URP10에서 대조 품종과 신품종이 다형성을 보였고, 대치배양에서도 뚜렷한 대선이 관찰되었다.
        4,000원
        14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otari’,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was bred by mating with monokaryons isolated from ‘Suhan’ and ‘Gonji-7h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20~25℃ on PDA medium and those for the primordia formation and growth of fruiting body of ‘Sootari’ were 16~18℃ on sawdust substrate. In bottle cultivation, mycelial growth required about 25 days. In addition, primordia formation and growth of fruiting body required 4 days each.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he fruiting body, the shape and color of pileus were round type and black, respectively, and stipe color and shape were white and short and thin, respectively. The yield of fruiting bodies was 131.3±26.0 g per 1,100 mL bottle, which was 2% higher than that of Gonji-7ho.
        4,000원
        15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송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이다. 최근 갈색 계통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단석1호’는 다포자임의재배법으로 육성되었으며, 국내 양송이 최초 재배지인 경주지역 단석산을 지명을 유래하여 명명되었다. 균사 생장적온은 20~30°C이며, 버섯 발생온도는 15~20°C이다. 갓 색깔은 중간정도의 갈색이며, 갓의 형태는 구형이다. 갓의 넓이는 45.1 mm, 두께는 23.5 mm이다. 경도는 8,937g/Φ5 mm이고, 갓의 색도는 L 값이 50.4이다. 배양일수는 20일이면 가능하고, 복토 후 버섯의 발생은 18일 정도 소요된다. ‘단석1호’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개별발생비율이 높기 때문에 수확중 버섯 손실이 적은 특성이 있다.
        4,000원
        15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breeding season, some Eurasian Oystercatchers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in Yubu Island foraged in the open mudflat area nearby the breeding ground, instead of the tide water line area, main feeding site throughout the year.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raging behavior and prey species diversity between the two different feeding site types. Even though the birds took more steps for most probably searching preys, their feeding success was much lower in the open mudflat area than the tide water line area. The multiple peck and boring methods were more frequently adopted to catch polychaetes on the open mudflat area, whereas the single peck method was dominant and gastropods and bivalves were main preys in the tide water line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rd shows flexible foraging strategy of shifting feeding site, foraging behavior and preys for better reproductive success.
        4,000원
        15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uremys reevesii is a Korean endemic turtle, and designed as an endangered species and national monument in South Korea. Recently, the population of the species has been dramatically declining because of habitat destruction, pollution and illegal capture. Moreover, small population size, difficulty of securing individuals, and lack of research are factors that impede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pecie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 of individual breeding and feeding on the seven juveniles of M. reevesii. Our results showed individual breeding and feeding were guaranteed the effective growth and development. Noticeable growth was confirmed in both body weight and carapace length. Moreover, the size difference among the individuals appeared at the start of this study decreased at the end of this study. Artificial breeding during the wither season was not caused disorders on the growth, behavior and morphology. This individual breeding may lead to effective growth and development, and it will be a way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when the juveniles released into the wild.
        4,000원
        15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mie (Boehmeria nivea M.) has been used for fiber materials in Korea traditionally, but in recent years, the concern with ramie leaves for the food industry such as tteok (a kind of Korean rice cake) industry has been increasing, so a study for eatable ramie is required for the expansion of ramie consumption. Moreover, the ramie varieties for the food industry are not established, so the natural species are cultivated in general;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ramie varieties for the food industry such as rice cakes, tea, beverage and so 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mong 9 ramie lines selected in the Yeonggwang-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to select the eatable ramie varieties for the food industry. The contents of the protein among 9 ramie lines was 6.21~7.56% and had the highest content in the YG55. The folic acid (folate) and vitamin C content had varying differences among the 9 lines; the content of folate showed 771.52~1,978.84 μg%, that of vitamin C showed 149.42~275.34 mg%. The ACE inhibitory activity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YG88 (21.5%) among the 9 ramie varieties tested.
        4,000원
        158.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농가에서 사육중인 한우 암소 348두의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 대하여 EBV(Estimated Breeding Value) 및 GEBV(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EBV 분석은 한우 암소 348두의 혈통정보와 농협경제지주 한우개량사 업소의 당대검정우 및 후대검정우의 혈통정보 및 표현형정보를 이용하여 혈연계수행렬(Numeric Relation Matrix, NRM)을 구축하여 BLUP(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GEBV 분석은 표현형정보와 유전체정보가 있는 후대검정우 3,820두를 참조집단으로 이용하여 한우 암소 348두의 SNP 50K 정보와 유전체 혈연 행렬(Genetic Relationship Matrix, GRM)을 구축하여 GBLUP(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우 암소 348두 에 대한 EBV 및 GEBV의 정확도 차이는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서 GEBV의 정확도가 각각 22.90%, 11.14%, 12.28% 및 8.69% 증가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전체 선발 시 육종가 추정의 정확도 증가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유전체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산업 전반에 관한 초보농들이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2017년 7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일선 현장에서 산업곤충 사육과 창업 질문을 간추려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산업곤충 전문지도연구회 등이 참여로Q&A집을 제작하였 다. 목차내용은 문답형식으로 산업곤충 입문, 사육, 가공, 식품과 유통, 사육사례 등 5개분야 104개의 항목을 구성하였으 며 질문과 답, 그에 대한 관련볍령과 사례로 만들어 일선이 곤충산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에게 업무추진에 연찬 실무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16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메뚜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70%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식사료용 곤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풀무치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중사육 관련 연구는 미흡하여 사육방법 정립, 먹이원 선발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풀무치의 연중사육을 위한 방법으로 사육밀도에 따른 생육 특성과 최적 산란처를 찾기 위해 상토, 오아시스 등을 이용하여 산란 특성을 조사하였다. 풀무치의 생육 온도는 28℃, 습도는 65% 내외로 유지하고 처리구별 생존율, 탈피횟수, 크기, 무게 등을 측정하였다. 사육밀도별 약충 기간은 32일 소요되었고, 생존율은 82~90 %였으며, 성충 기간은 110~120일 소요되었다. 산란처별 난괴 길이는 33~49mm였으며, 부화 후 생존율을 72~82%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