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

        141.
        198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Dry matter in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bove the 30% red clover plant composition (p<0.05) as compared with 100% orchardgrass plant composi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05) between the content of CP and dry mat
        4,000원
        142.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수량(收量) 및 식생변화(植生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조성시(造成時)의 기비량(基肥量)을 2수준(水準)(N:P2O5:K2O=80:200:70 및 160:200:140kg/ha), 관리시(管理時)의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분시방법(分施方法)을 3수준(水準)(봄 다비(多肥), 균등분시(均等分時), 가을 다비(多肥))으로 하여 분할구법(分割區法) 4반
        4,000원
        143.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
        4,000원
        144.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ladino clover(Trifolium repens L.)가 우점(優占)된 혼파초지(混播草地)에 제초제(除草劑) 사용(使用)이 식생구성(植生構成) 및 초지생산성(草地生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초지(草地) 시험포(試驗圃)에서 난괴법으로 4반복(反復)으로 1983~'85년간(年間) 실시(實施)되었다. 시험(試驗)에 사용(使用)된 공시초지(供試草地)는 클로버가 60~
        4,000원
        145.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종기(播種期)를 이동(移動)할 때 수수, 수단그라스, 그리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의 생육(生育), 건물축적(乾物蓄積) 및 성분함량(成分含量)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져 1981~'83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파종기(播種期)는 4월(月) 16일(日)부터 2주일(週日) 간격(間隔)으로 7처리(處理)를 두었던 바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속작
        4,200원
        146.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stosterone propionate가 체성장 사료 섭취량 및 plasma내의 Creatinine과 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후 3개월령된 숫 흰쥐 30마리를 대조구 거세구 거세한 후 1 mg, 2 mg. 3 mg, 4 mg으로 각기 호르몬을 투여한 처리구로 나누어 각 5마리씩 배치하여 체중측정과 사료섭취량은 6일간격으로 testosterone주입은 3일 간격으로 처리하고 성장천자(穿刺) 채혈하여 plasma를 분리해 내어 분석했다. 체중의 변화는 거세구가 대조구와 다른 testosterone처리구에 비해 증체가 둔화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각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사료섭취량은 전체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료섭취량의 증감과 증체량을 비교했을 때 부분적으로 평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Creatinine의 Plasma내 함량은 처리군간에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P<0.01)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거세구는 감소했고 testosterone처리구에서는 2 mg이상의 처리구에서 상승치를 보였으며 특히 4 mg을 처리한 구에서는 큰 증가를 나타내었다. Cholesterol의 Plasma내 함량은 처리구간에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P<0.01) 대조구와 비교해 볼때 거세구는 증가했고 testosterone처리구에서는 1mg 처리시 동일했으며 그 이상의 hormone 처리에서는 상당히 감소했다.
        4,000원
        147.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혼파초지(混播草地)에 있어서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의 파종비율(播種比率)과 예취빈도(刈取瀕度)가 첫번째 수확년도(收穫年度)의 목초(牧草) 총(總)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식생(植生) 구성비율(構成比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었다. Italian ryegrass의 파종량(播種量)을 10a 당(當) 0.3kg 및 1.0kg으로 하여 주구(主區)로 하
        4,200원
        148.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료작물(飼料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시험작물(試驗作物)로 보리, 호밀, 밀, 귀리, 오차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옥수수 및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혼합목초(混合牧草)를 사용(使用)하여 각(各)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수량(收量), 조성분(粗成分), 사일리지품질(品質) 및 면양과 in vitro소화율(消化率)을 측정(測定)하였다. 사일리지제조(製造)는
        5,500원
        149.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료(材料)의 예건수준(豫乾水準)에 따른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影響(影響)을 알고져 1981년(年) 11월(月) 11일(日)에 호밀과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수확하였다. 예건(豫乾)에 의하여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을 15.8%에서 53.2%까지 4수준(水準)으로 조절하였으며 사일리지는 폴리에틸렌필름봉지에 넣어 실온에 저장하였다. 1. 유기산(有機酸)의 함량(含量)은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4,000원
        150.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D외 3종의 토양훈증제를 인삼의 연작토에 15cm, 30cm 깊이로 처리하였을 때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1980년 3월 7일 처리, 4월 1일 이식, 8월 19일에 채취하여 근, 경, 엽으로 나누어 일반 무기성분(N, P, K, Ca, Mg, Na, Fe, Mn, Zn)을 분석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훈증제처리가 2년생인삼의 지상하부의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 건물중의 경우 증가하였다. 2. 지상하부의 질소와 인산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a의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하부에서는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지하부에서는 증가하였다. 3. 미량요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Mn, Fe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Na, Zn의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 훈증제의 처리깊이(15cm, 30cm)에 따른 차이에서 보면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000원
        153.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정질 Na-규산염과 Na-알루미노규산염 내의 Na 이온의 원자 환경을 규명하는 것은 Na을 포함하는 지구 내부 마그마의 물성을 규명하는 데 중요하다. 특히 Na 원자 환경의 규명을 통해 이동 물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Na과 산소와의 거리를 밝힐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3Na magic angle spinning (MAS) NMR을 이용하여 비정질 Na 규산염과 알루미노규산염의 Na 주변 원자 환경을 규명 하고자 하였고 Dmfit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δiso 값을 구했다. Dmfit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여러 모델 중 Q mas 1/2 모델과 CzSimple 모델을 사용하여 비정질 Na-알루미노규산염의 23Na MAS NMR 스펙트럼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Q mas 1/2 모델은 세 개의 피크로 CzSimple 모델은 하나의 피크로 실험값이 재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성에 따른 등방성 화학적 차폐(isotropic chemical shift, δiso)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비정질 Na-규산염과 Na-알루미노규산염에서 SiO2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δiso 값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SiO2 함량이 고정되어 있는 조성에서는 Na2O의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δiso 값을 보였다. 이전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얻어진 값들과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값을 비교해본 결과 δiso 값은 Al / (Al + Si)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고 CzSimple 모델에 비해 Q mas 1/2 모델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값이 실험값을 더 잘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1D 23Na MAS NMR 스펙트럼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빠른 시간 내 Na 주변의 무질서도를 밝힐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5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is one of most important medicinal (Glycyrrhizae radix) herb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ation and they are also important commercial products used worldwide in sweetening and flavoring. They contain the similar compounds, such as the triterpenoid saponins and flavonoi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G. uralensis Fischer and its medicinal constituent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propag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nodal explants of G. uralensis Fischer, and to establish a reliable protocol for micropropagation. Methods and Results : Young and actively growing stem segments were excised from adult plants of new cultivar ‘manju’. They were cut into a 1cm nodal segments with single node after sterilization, and cultivated in the differen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wo weeks. For shoot multiplication, one-node stem segments, approximately 1 ㎝ in length, were taken from in vitro derived shoots and subcultured. After four weeks of culture, the efficacy of each medium on shoot proliferation and growth was determined, and these shoots were transferred onto medium with different auxin hormones for rooting. Conclusion : After seven to ten days of culture, shoots began to emerge from axillary buds. They showed a vigorous growth and elongation in multiplication medium. During culture period, in vitro cultured plantle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ponses to the respective medium with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in vitro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palntlets could depend on its reaction to the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and this micropropagation techniques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healthy and vigorous plant production.
        155.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mackerel are strongly influenc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that can change its nutritional cont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cooking method (i.e. baking and frying) on water-soluble vitamins (B1, B2, niacin, and folic acid), fat-soluble vitamins (A and E), cholesterol, β-carotene, and minerals (K, P, Mg, Se, and Zn) and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mackerel. Compared to the baked fish, contents of vitamins A and B1 and cholesterol were reduced by 56.52%, 59.93%, and 33.40% (p<0.05), respectively, in the fried fish. On the other hand, vitamin E and folic acid contents in the fried 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baked fish (p<0.05). Furthermore, niacin was detected only in the baked fish and β-carotene was found in neither the baked fish nor the fried fish.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between baked and fried fish samples. The fat, carbohydrate, and crude ash contents in fried fish were higher than those in baked fish; however, protein content in fried fish was about 3.73% lower than that in baked fish. Since different cooking method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nutrients of mackerel, nutritional value of mackerel could be enhanced by selecting the suitable cooking method.
        156.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evels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depending on collection time.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in leaf and root decreased, while crude fiber,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ash increased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mineral elements tended to increase in each sample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content of vitamin B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Vitamin C content was approximately five times higher in the leaves than that in the roots. Total amino acids in leaf and root increased considerably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roo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leaf and these content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of Godulbaegi was higher in the root than in the leaf and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16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F. fomentarius extracts have been recently reported to process immune-stimulator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mutagenic effect of F. fomentarius ethanol extracts and the effective chemical components from the extract were analyzed by LC-Q-TOF. Methods and Results : F. fomentarius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yielding a crude extract 6.8%. The crude extract was fractionated sequentially to diethyl ether, chloroform, dichloromethane, butanol and water with a yield of 43.9%, 2.958%, 6.8%, 21.6% and 25.5.%, respectively. The anti-mutagenic effect of F. fomentarius extract and its fractions was tested in Ames test by two type of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Among the five fractions, diethyl ether has shown the highest and significant anti-mutagenic effect (98.3%, at 3,000 ㎍/plate concentration).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extract using UPLC-Q-TOF. A total of 10 compounds such as flavonoids (velutin, 3, 4′,5-Trihydroxy-3′,7-dimethoxyflavanone) and fatty acids (γ-linoleic acid, stearic acid) and deterpenoid (kirenol) were tentatively identified with an accurate mass within 10 ppm mass error. Also, flavonoids and fatty acids were detected with higher rate than other compounds based on obtained chromatograms. Conclusion : We demonstrated that F. fomentarius extract and fractions have anti-mutagenic activity through Ames test. Furthermore, we will carry out isolation of each components from its fraction and use them to conduct additional anti-mutagenic test.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