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141.
        198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43.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가지는 의식과 다독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소재 국·공립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09명과 동일 학교에서 근무 중인 영어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와 학생에게 주어진 설문 문항은 기초 설문 항목, 학교 수업 실태 조사 항목과 다독 실태 조사 항목 및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들은 교과서를 제외한 영어 읽기 텍스트 부족과 읽기 교육 내용의 체계적 구성 결핍을 현재 영어 읽기 교육의 주된 문제점으로 인식했다. 다독을 통해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육 여건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독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학생 설문 분석의 경우, 지나치게 난해한 표현들이 수능 영어 지문과 EBS 교재에 다수 포함되어 학생들은 영어 읽기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현재 다루고 있는 수능 지문과 EBS 교재 이외에도 읽기 능력 향상과 수능 영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 기 위해 추가적인 읽기 자료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조사를 통해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144.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KETs) 2명과 원어민 영어보조교사(NETs) 2명의 의견을 바탕으로, 현재 코티칭 수업에 대한 그들의 시각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에서의 개인적 교수경험을 기초로 한 코칭에 대한 정의, 코티칭에 대한 현재의 태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 요소들, 더 나은 코티칭 수업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온라인 비디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동료검토 과정(Peer debriefing s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네 명의 영어교사 모두가 코티칭의 개념, 코티칭 수업의 목표, 어떻게 코티칭 수업을 하고 피드백을 공유할 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그 실천 가능한 방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했다. 그로 인해,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 사이 수업에 대한 주인의식(Sense of ownership)이 불균형하고, 코티칭에 대한 서로의 의견이 암묵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황이 야기되었다. 또한 원어민 교사와의 코티칭 관련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바 있었다. 한국인 영어교사들은 코티칭 수업에 대한 진지한 의견을 공유 하려는 시도 자체가, 그들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에 의해 "방해 (혹은 간섭)”으로 받아들여질 것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네 명의 참여자들 모두 코티칭에 필요한 요소인 협력하는 방법을 제대로 연수 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을 인터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코티칭 교사들 사이에 건설적인 협의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145.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자주 만들어 내는 분절음의 오류가 한국인 영어교사의 이해 가능성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사 인식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 있다.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나는 음소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분절음의 오류를 음소 부담량과 자·모음으로 구분하였다. 영어 원어민의 이해 가능성과 이해도 점수를 비교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이해 가능성 과제에서 오류 분절음이 모음일 때 음소 부담량이 높은 음소는 한국인 교사에게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사와 화자가 같은 모국어를 공유함에도 해당 음소의 오류를 이해하는데 특별한 이점이 없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해도 과제에서는 해당 분절음 오류에 관한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없었다. 이는 한국인 교사가 실제로 높은 음소 부담량의 모음 오류가 포함된 단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편하게 이해하였다고 잘못된 판단을 내렸음을 보여준다. 또한, 세계 영어를 교실에 수용하고자하는 교사의 태도와 관련하여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발견되었다. 낮은 수용도를 가진 교사들이 높은 음소 부담량을 가진 모음의 오류에 대해 더 낮은 이해도 점수를 부여하였다. 해당 오류에 대한 교사의 낮은 이해가능성 점수를 고려하면, 현 실험 상황에서 낮은 수용도의 교사의 이해도 점수 부여가 좀 더 합당한 것으로 보인다.
        146.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fidenc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ir assessment of English teaching taught by native speaker English teachers. A total of 1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ked on a 5-point Likert scale instrument to assess their native English teachers in terms of their teaching ability, provision of opportunity to use English, classroom management, and language assessment ability.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rate how much they were confident with their English. All of the responses were submitted to the SPSS 22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es. First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how much they felt confident with their English. Secondly, a MANOVA was run to investigate any group differences in how they perceive their native speaker teachers’ teaching ability, provision of opportunity, and language assessment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nguage confidence was indeed an important variable not only in subjects’ learning English but also how they perceived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s a whol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also discussed.
        14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료의 수업코칭이 영어교사 교수 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주요 연구 문제는 수업코칭이 교사들의 수업 문제점 인식, 수업 설계, 수업 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상세히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인의 현직 중학교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7개 월에 걸쳐 수업코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코칭이 영어교사 교수 역량 구성 요소 중 자기 수업 성찰과 동료와의 협력, 수업 설계와 실천,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업코칭은 코치교사와 함께 자신의 수업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업교사들의 자기 수업에 대한 문제점 인식은 코치교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및 성찰을 통해 새로운 생각의 도출로 이어져, 발전적 수업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여 발전된 수업 설계와 실행으로 이어졌다. 또한 수업의 계획과 실천 과정에서 느껴졌던 불안감과 회의감은 코치교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 참가한 수업교사들의 수업 성찰과 동료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자기 수업 개선의 노력 은 영어교사의 교수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48.
        2018.10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유아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시에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50명,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카이제곱검증(x2)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부모의 인식이 교사의 인식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어교육의 목표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친밀감 갖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육방법으로 교사와 학부모는 만3~5세의 유아들에게 유아교육기관에서 주 2~3회 20분 이내 모든 유아들에게 일시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수법으로는 데일리루틴 교수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 유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영어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이 증진된다는 것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9.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영어교육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하여 그들의 영 어수업과 학교 및 학교 밖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탐구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들의 보다 직접적이고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는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두 명의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 명의 한국인 영어 교사의 생생한 경험담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부족한 교사 연수, 상이한 교육 환경, 협력수업 시스템의 문제, 소통과 공동체 부족 문제, 그리고 학교 밖 사회 활동에 대한 지원 부족이 주요 문 제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교사 연수와 협력 수업에 대한 토 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는 교사들이 협력 교수를 위한 학습자 또는 동료 코치라 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15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purpose is to explore how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in Korea describe constraint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in a different culture. The second purpose is to attempt to analyze these teachers’ perspectives on what kind of support proves to be helpful during the initial teaching experience. By analyzing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s during threemonth period, this study tried to capture certain cultural patterns and operational principles underlying th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meaning making of their teaching in a different cultural context. The overall findings from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several way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point ou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seeing themselves developmentally. It was also posited that the process of becoming a teacher in a different culture is somewhat idiosyncratic, however, strongly affected by contextual factors, especially by the role of the native cooperating teacher and the role of the men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 way to generate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15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ole of students' affective factors in assessing their non-native teachers of English. Studies in Modern Gramm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nativ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non-native teachers and their own affective variables. A total of 189 subjects in this study responded to a Likert-type scale instrument that measur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 anxiety, class participation, their perceived teachers’ teaching ability, closeness with their teachers, and anxiety aroused in the presence of their teachers. Following principal factor analyses to check the construct validity of each construct,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o what extent subjects’ perceptions of their non-native teachers of English can be related to their affective states are re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sets were moderately correlated in two functions with canonical coefficients 0.52 and 0.37, suggesting that perceptions of non-native teachers may be related to learners’ affective states.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students who reported high on self-regulatory learning behavior and classroom participation were likely to feel that their teacher was close to them, were still likely to feel anxious, and tended to feel positive about their teacher’s teaching 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low foreign language anxiety were likely to manifest low belief in their teacher’s teaching ability, were likely to feel distant from their teacher, and likely to hav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