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6

        14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서해대교, 인천대교와 같은 장대교량은 대부분 빈번하게 태풍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해안에 위치하였으며, 교량의 길이가 긴 만큼 풍하중에 의한 영향이 다른 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내풍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확한 설계풍속을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 인자로 중심기압깊이, 태풍이동속도, 태풍이동방향, 최단접근거리를 결정하였으며,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들의 확률 분포를 추정하고, 바람장 모형과 중심기압상승 모형을 적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체적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의 재현기간 풍속이 크게 나오며 고위도로 갈수록 작아지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특징이 나타난 가장 큰 원인은 고위도 분석지점 표본 태풍의 중심기압이 저위도 분석지점 표본 태풍의 중심기압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리나라에 해상에서 육지로 이동하면서 쇠퇴기를 겪어 점차 약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로교 설계기준 100년 재현기간 풍속(10분 평균, 지상 10m, 지표조도 II)과 비교한 결과, 태풍시뮬레이션의 결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을 볼 때 도로교 설계기준의 기본 풍속이 높게 산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기상자료 분석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기본풍속 조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4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반도의 점토대토기문화가 遼寧地域의 주민 이주로 형성된 문화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자 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화 형성기의 개시연대에 대한 연구자들의 견해는 일치되지 않고 있 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현재의 편년안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편년과 개시연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학계에서 주류라고 판단되는 점토대토기문화 개시연대인 기원전 6세기 ~ 5세기설에는 여러모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시기 遼東地域에서는 雙耳 점토대토기 형식이 유행하였으며, 이 점토대토기는 한반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반면에 한 반도에서는 성립기부터 鈕耳 점토대토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이 형식의 토기는 요동지역에서 기원전 4세기 이후에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주민 이주를 전제로 하는 입장이라면 개시연대가 기 원전 4세기 이전으로 상향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요동지역에서는 지역 구분에 따라 시간성과 관계없이 점토대토기의 형식과 공반 유물에서 차이가 관찰된다. 반면 한반도 남한지역 성립 기의 유물 조합상은 전 지역에서 거의 동일하게 출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포는 이주 집단의 원거주지가 요동지역에서도 한정된 지역이었음을 시사하는 근거라고 판단하고, 太子河 유역의 本溪縣 일대가 이주민 집단의 기원지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14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gg SCP ( –47.2 ±1.0℃)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Parnassius bremeri, was lower than larva(–35.0 ±0.9℃). The difference (12℃) between egg and larva was revealed by chorion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OXEM EM-30, Korea). But considering of about 6 months’ pharate 1st instar in egg from June to November, function of egg seems not to be overwintering mechanism but rather estivation. In order to identify estivation function of chorion heat stress was carried out.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4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s of 25, 35, 45 and 55 °C for 2 hour, then allowed them to recover at 25 °C for 1 hour. Total 65 samples 0f 31 eggs and 34 pharate 1st instar out of an egg were used and replicated 3 times. All pharate 1st instar in egg and pharate 1st instar out of egg survived at 25℃ and 35℃. In case of 45℃ survival rate of pharate 1st instar in an egg (91.6±3.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37.8±9.4%) of pharate 1st instar out of an egg. All was dead at 55℃.
        14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Macrolygus Yasunaga, 1992 is the genus includes two Asian species. This genus described by Yasunaga at 1992, with a single type species, M. viridulus. Thereafter, Zheng and Lu (2002) reported the second species, M. torreyae from China. In this poster, We report M. viridulus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14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ristus Chaudoir is one of the genera in the tribe Lebiini Bonelli (Coleoptera: Carabidae). This genu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Anomotarus and Syntomus of Lebiini. However, Apristu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genera by having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asal pronotum with distinct posterior angles in dorsal view; tarsal claws smooth without denticulate or pectinate. A total of 61 species of Apristus are distributed worldwide and only one species, Apristus striatus Motschulsky has been known in the Korean peninsula. As results of taxonomic studies on Korean Apristus species, we discovered a newly recorded species, Apristus cuprascens Bates of Apristus. A key to the Korean Apristus species,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male genitalia are provided.
        14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afhopper subfamily, Typhlocybinae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caused direct damage by sap-sucking or indirect damage by transmission of viruses or diseases on the host plants, so typhlocybinae is one of the important pest groups in the world. Typhlocybinae distribute worldwide and a total of 471 genera and more than 4,300 species have been described. so far, 38 genera and 102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talk, we provide several taxonomic studies for the Korean typhlocybene fauna based on the genus-level reviews of the subfamily from the Korean Peninsula.
        14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Prostemmatinae (Hemiptera: Heteroptera: Cimicomorpha: Nabidae) is known as one of the predatory groups in true bugs, containing 5 genera and approximately 33 species in the Palaearctic region. All Prostemmatinae are ground-inhabiting (in litter layer, under stones, etc.), whereas most Nabinae are herbicolous and arboricolous. In Nabidae, most species are predators on various stages of insects (e.g., aphids, leafhoppers and lepidopteran eggs and young caterpillars), but several genera within the subfamily Prostemmatinae (e.g., Prostemma, Alloeorhynchus and Pagasa) are specialized predators of true bugs, especially of the family Lygaeidae. In this study the subfamily Prostemmatinae is revised from Korea. Among the four species recognized in this study, one species is a new record to Korean fauna, and Alloeorhynchus sp. nov. is described from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South Korea.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such as description and diagnoses, and biological information for each species are provided.
        14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polygus China (Hemiptera: Heteroptera: Miridae), comprising 64 species in the world, is one of the most diverse groups in the subfamily Mirinae, including well-known insect pests such as A. spinolae and A. lucorum. A total of 56 species are known in the Palaearctic Region up to date, and most of them have been described from China (28 species), Japan (26 species) and Russia (13 species) respectively. In this talk,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polygus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presented with three Apolygus sp. nov. and two newly recorded specie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host plants and distributions for each species, and a key to the Korean species are provided. Besides, COI barcoding as a diagnostic tool for this group is discussed emphasizing on the low genetic distances between some species.
        149.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 양식을 하고 있는 해역의 물리·화학적인 해양환경 특 성, 식물플랑크톤 색소 조성과 농도, 식물플랑크톤 및 방사 무늬김의 일차 생산력을 2014년 3월에 김 양식이 이루어지 고 있는 만호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수온은 9.1~9.6℃, 염분은 32.5~33.1이었고, 투명도는 높 은 탁도로 인하여 유광층이 낮아져 0.7~1.5 m를 보였다. 수 층의 용존 무기질소, 용존 무기인 및 규산 규소 각각의 농도 는 3.59~5.73 μM, 0.16~0.41 μM, 12.41~13.94 μM이었다. 클로로필 a 농도는 0.51~1.25 μg L-1이었고, 0.7~20 μm 범 위의 nanoplankton의 클로로필 a 농도가 58%를 차지하였다. 규조류의 marker 색소인 fucoxanthin의 농도는 0.51~1.25 μg L-1로서 전 정점에서 높은 값이었고, 20~200 μm 범위의 fucoxanthin이 64%를 차지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 차 생산력은 57.72±4.67 (51.05~66.71) mg C m-2 d-1이었고, 0.7~20 μm 범위의 nanoplankton이 76.9%를 차지하였으며, 면적을 고려한 일차 생산력은 11,337 kg C d-1이었다. 방사무 늬김에 의한 평균 일차 생산력은 1,926±192 (1,102~2,597) mg C m-2 d-1이었고, 면적을 고려한 일차 생산력은 39,295 kg C d-1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방사무늬김에 의한 일차 생 산력을 토대로 계산된 만호해역의 일차 생산력은 50,632 kg C d-1로 나타났다. 만호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 생 산력이 다른 해역보다 낮고, 김의 일차 생산력이 식물플랑크 톤의 일차 생산력보다 약 3.5배 높았다.
        4,300원
        15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의 고유한 지진-지체구조 특성이 반영된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확률론적 지진 위험지도를 제작하는 것이다. 지진입력자료들은 다수의 전문가에 의해 제공받았으며,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에 대한 지진위험도값은 USGS 지진재해도 프로그램(Harmsen, 2008)을 일부 수정하여 산출하였다. 전문가들로부터 제공된 지진입력자료들의 불확실성은 논리수목 방법을 적용하여 최종 지진재해도 계산에 반영하였다. PGA 분포 패턴은 각 전문가들이 제시한 면적지진원도 형상에 매우 민감하며, 그 형상과 유사한 모양을 보여준다. 지진 위험지도는 5, 10, 20, 50, 100, 250, 500년 동안 초과확률 10%에 해당하는 최대지반가속도를 등치선 형태로 나타내었다. 모든 재현주기에서 황해도 일대를 제외한 북한지역이 남한지역보다 현저하게 낮은(약 50%) PGA 기댓값을 나타낸 다. 전체적으로 남한의 동남부 일대와 북한의 황해도 일대가 약간 높은 값을 보이면서 북서-남동 방향으로 등치도 값의 분포가 신장되어 나타남을 보인다. 또한, 강원도 북부 일대가 타 지역에 비해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주요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산지는 많은 산들과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맥들은 대기환경에 큰 영향을 준다. 산맥의 분류조사는 1900-1902년 일본학자에 의거 수행 된 후, 현재 산맥의 이름이 매우 많고 혼선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맥 이름과 그 분류를 간단히 하여 사회적 교육적 활용에 가치를 두고 있다. 먼저, 중국 의 만주로부터 (대)한반도까지 주축을 이루는 세계적인 제2차 중규모산맥을 단일 이름인 고려산맥으로 명명하였다. 그 리고, 고려산맥에 수반되는 지역적인 제3차 산맥들은 지린(길림)산맥, 함경산맥, 태백산맥, 소백산맥으로 분류하고, 그 다음 제4차 산맥은 랴오닝산맥, 옌볜(연변)산맥, 함북산맥, 평북산맥, 황해산맥, 차령산맥, 경상산맥, 남해산맥 등 8개의 중소 산맥으로 분류 하였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산맥들은 지구규모 대순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산맥의풍상과 풍하 측에서 발생하는 공기환경적인 변화에 따라, 인간과 생태계에 주는 대기환경의 영향평가와 그 감시의 필요 성을 강조하였다.
        4,000원
        15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일어난 지진과 지자기장 변동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웨 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기술을 지진과 관련된 지자기장 변동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총자기장을 이용한 분석 결과 관측소 반경 100 km 이내에서 발생한 지진의 경우 일관적인 셈블런스 변동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Z축 성분 지 자기장 자료를 이용한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에서도 비슷한 변동양상을 확인하였다. 자료 질이 좋은 청양 관측 소 지자기장 자료를 중심적으로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보현산 관측소의 Z축 성분 자료를 해석하여 상관성에 대한 신 뢰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4,300원
        15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의 22개 지진과, 북중국의 46개 지진자료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지진규모 평가가 어려운 우리나라 역사 지진의 규모 평가 방법을 도출코자 하였다. 한반도를 포함한 Sino-Korea craton에서 지진효과, 피해 등으로부터 구한 최 대 진도(I0)와 지역규모(ML)와의 관계식은 ML=1.7+0.57×I0이다. 감진면적만 추정이 가능한 역사지진의 경우, 한반도에 서 적용 가능한 지역규모-감진면적(FA) 식은 ML=4.29−1.34×log(FA)+0.28×log2(FA)이다. 그러나 역사지진에서 감진면 적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진효과, 피해 기록과 감진 면적이 동시에 기록된 경우 최대진도-규모 관계식을 통해 규 모를 평가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본다.
        4,000원
        15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inese nation created splendid culture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development of reform and the enlargement of influence,the research about the spread and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 Korean peninsula became prosperous and obtained a series of achievements. This paper introduces and summarizes the achievements and insufficient about the research so as to scholar for further research.
        4,300원
        15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hyparus azumai azumai Nakane, 1956을 기반으로 Rhyparini족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형태학적 재기재, 수컷 생식기를 포함한 진단학적 형질 사진, 그리고 한국산 똥풍뎅이아과의 족 분류 검색표를 제공한다.
        4,000원
        15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caterpillars, the larvae of butterflies and moths(Lepidoptera), are herbivorous. Even though their major role in the ecosystem, details of biology are poorly known for most speci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5 in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From 2012, 2013, 2014 we are carrying out ‘Larvae Identification and Specimen Security of Primary Endemic Moths in Korea Peninsula through Rearing’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Of these this study is the list about special caterpillars feeding on the foliage wild peach (Prunus spp.) Total 209 species belonging to 15 families were collected and 52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identified. Among them wild peach dependent monophagous caterpillars are 17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oligophagous 1 species belonging to 1 families and polyphagous 34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Geometridae(65 species), second is Noctuidae(57 species) and followed by Pyralidae(21 species).
        15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Ps on larvae and eggs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P. brimeri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Kim and Kim (1977) with a thermocouple, BTM-4208SD (LT Lutron, Taipei, Taiwan), to detect the release of the latent heat of fusion as body water freezed. SCP of larvae during March goes below –27.4±1.7℃ and egg scp during November goes –47.2±1.0℃. In order to identify the reason of the difference(-17℃) between egg and larva we took photographed egg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OXEM EM-30, Korea). Chorion of P. bremeri were 100.1㎛, Papilio machaon and Sericinus montela in same family was 10.8㎛, 5.5㎛ respectively. P. bremeri was 10 times, 20times thicker than another species within the same family .
        15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redatory genus Cryptalaus Ôhira, 1967 (Coleoptera: Elateridae) in Korea is taxonomically reviewed in this study. Up to date, two species of the genus Cryptalaus, C. berus Candèze, 1865 and C. larvatus pini Lewis, 1894,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From the present study, C. yamato Nakane, 1957 which has been regarded as an endemic to Japan, is repor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A key to the Korean species of the genus Cryptalaus, diagnosis,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15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주둥이노린재과의 미기록속 Eocanthecona 속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Eocanthecona japanicola (Esaki & Ishihara, 1950)의 한반도 분포를 보고한다. 성충표본과 생식기 사진 등의 형태학적 정보 및 생태학적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4,000원
        16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진위험도 산출에서 불확실성을 줄이는 한 방법으로서 지진위험도 계산에 입력되는 파라미터들(a, b값, Mmax, 감쇠식 및 지진지체구조)이 지진위험도 값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진 전문가 10명이 제시한 입력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a값, Mmax값이 커질수록 PGA값이 증가하였으며, b값은 작아질수록 PGA값이 커졌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파라메타는 감쇄식, b값 및 a값이며, Mmax와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의 영향은 상당히 적었다. 따라서 영향이 큰 파라메타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지진학적 특성에 적합한 값의 산출이 요구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