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9

        141.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65세 이상의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 노인(실험군: 67.2±5.4세; 13명)과 건강한 일반 노인여성(통제군: 66.73±9.7세;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요가 운동 전.후의 평형성(동적평형성 및 정 적평형성)의 변화를 알아보고 골관절염 노인여성의 요가 운동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연구에서 측정된 동적평형성 및 정적평형성은 시각정보(개안, 폐안)의 유무에 따른 2번의 측정이 진행 되었다. 동적평형성 측정은 Spacebalance 3D, (Korea)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정적평형성 측정 은 주로 사용하는 발의 눈감고 외발서기로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12주간 요가 운동에 따른 동적평형성(폐안)은 골관절염 실험군(p(.05)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동적평형성(개안) 측정에 따른 변화는 실험군(p(.001) 및 통제군(p(.05)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 결과가 나타났다. 정적평형성 결과 두 집단(실험군, 통제군) 모두 시기 별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12주간의 요가 수련은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 노인의 평형성을 증가시키는 유익한 운동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42.
        2021.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Aim: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raining requires varying degrees of staff assistance regarding operation of the fluoroscopy machine via a foot pedal. Efficiency is important to acquire during this training due to radiation risk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effect of controlling endoscopy and fluoroscopy unit on duct cannulation rates (CRs) and total fluoroscopy time (FT) for fellows in training. Methods: 204 patients undergoing ERCP were randomized to one of two groups: 1) “Endoscopist Driven” group in which the endoscopist controlled the foot pedal for fluoroscopy, and 2) “Assistant Driven” group in which attending or fellow controlled the foot pedal while the other team member controlled the endoscope. Various measures including selective duct CR and total FT were record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rocedure du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32 minutes vs. 33 minutes, p=0.70).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 (83.7% vs. 77.4%, p=0.25) or FT (3.27 minutes vs. 3.54 minutes, p=0.48). Conclusions: ERCP is a technically challenging procedure which requires extensive supervi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R and FT are not affected by who controls the fluoroscopy.
        4,000원
        14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선박과 육상 간의 정보교환은 더욱 빠르고 편리해졌으나 선박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져 사이 버보안 공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선박이 사이버 공격의 피해를 입게 되면 복구하는데 막대한 비용과 시간 손해가 발생하며, 해사 산업계는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를 지정하여 보안관리 업무를 담당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공격의 피해를 줄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하여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를 위한 전문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 교육과정과 법제정비 필요성 제시에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동향 및 사고사례, 주요 사이버보안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에게 필요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였고 관련 법제정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 교육과정을 개설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4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in-depth the meaning of evidence-based simulation training educ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is is a qualitative study employ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 seniors in Changshin university in Changwon,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9.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Giorgi. Results: A total of 4 components and 12 sub-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evidence-based simulation training educ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as found to be “burdening Because of the new teaching method,” “immersive,” “an experience of a new field of learning,” and “improving the nursing capacity.” Conclusion: Conclusion: Although the simulation training education burdened participants because of new teaching method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ducational effects in clinical practice and enhance practical clinical performance. Evidence-based simulation training educ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cide rationally by considering the best scientific evidence, clinical expertise, patient values and preferences, and available resources. In the furture, improvement in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is expected.
        4,300원
        146.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compares the preceding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for ATOs for mechanics and vocational ability evaluation system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support various vocational training.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systems for the protection and possible options of the consumer through disclosed notification and evaluation cases such as the traffic service evaluation system in the aviation sector. By extension, in order to ensure quality management and enhanced capability of flight schools,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introducing an evaluation model certified by ATOs for pilots that emerges from comparing the preceding study on various vocational training applied with the CIPP evaluation model of Stufflebeam and the procedures for the designation of ATOs for pilots and follow-up management thereon in Korea, dividing it into four stages, which are the preparation stage, screening stage, designation stage and management stage, and applying the items and performance indicators to be carried out at each stage.
        4,300원
        14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공식적 교육훈련의 양적 및 질적 참여가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교육훈련의 양적 및 질적 참여가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력이 팀의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참가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교육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재무적 관점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니 실증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왜냐하면 교육 훈련의 성과는 재무적인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개인의 능력을 개발하여 조직 내에서 역량 을 발휘하고 조직 내부 프로세스 향상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직 전체의 맥락적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영자 관점이나 근로자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나 경영자와 근로자의 중간 위치에서 균형잡인 시각에서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실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7년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uman Capital Corporate Pannel Survey: HCCP)를 사용하였다. 공식적 교육훈련이 인적자원경쟁력에 미치는 영향과 팀 문제해결의 조절 효과를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에 독립변 수인 교육참가일수와 교육기회 충분도 중에서 교육 참가일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교육기회 충분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원의 교육 참가의 양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연간 교육 참가일수는 인적자원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교육 참가의 질적인 측면에서 교육실시의 충분함과 공평함을 인식하는 정도가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훈련에 대한 참여가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에 대한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서 교육훈련의 질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교육훈련에 대한 팀 문제해결의 참여는 교육 충분도가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팀에서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참여 정도 높은 경우 교육훈련의 기회 충분도가 인적자원 경쟁력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 하였다. 또한 팀에서 팀원들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와 자 기 효능감을 강화함으로써 인적자원경쟁력이 더욱 제고됨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의 경영자는 현장의 문 제해결이나 의사결정에 팀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조직문화와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조직의 방향성 을 팀장 및 팀원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성과와 팀 문제해결의 참여에 대해서 팀장이 인식하는 정도를 주요변수로 사용하여 현장 중심의 균형 잡힌 시각에서 효과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5,700원
        15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습 교육기간에 따른 실습생의 STCW 협약에 의거한 해기능력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H대학교 실습선에 승선 한 항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50개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자기평가 방법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기기능과 해기능력의 기본적인 이해도를 평가하고, 승선 기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이해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해기기능과 해기능력의 평가시기에 따른 이해도 변화 분석 결과, 해기기능의 경우 1학기와 2학기 승선그룹 모두에서 3차 평가로 갈수록 이해도가 대체로 향 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학기 승선그룹별로 이해도가 낮은 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실습선 교육 과정에 저조한 해기능력에 대한 추가적인 학습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로 도출된 실습선 교육 기간에 따른 해기능력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추후 실습선 및 해사대학 교육 과정 개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8.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임산부의 상호작용 기술 증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임산부 1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0일부터 31일까 지 상호작용기술 증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을 위해 아동-성인 상호작용 코칭척도(CICAIO)로 SPSS 21.0를 활용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임산부의 상호작용 중 코칭 기술 활용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TREASURE Talk 코딩 시스템(TTCS)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일치도를 보았다. 연구결과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놀잇감 선정, 스크립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관심가지고 따라가기(T), 반영하기(R), 격려하기(E), 긍정으로 이해하기(U), 기억하고 표현하기(R1), 축하하기(E2)의 TREASURE Talk 코칭 기술이 증진된 것으로 효과가 검증되었다.
        5,200원
        15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which originated in Germany, is a wall-hanging rock climbing-based therapy to increase the body's coordination through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against gravity.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to treat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esig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Methods: Fourtee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c stroke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into the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group (TCTG, n=7) and the standard rehabilitation program group (SRPG, n=7) group.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ame standard rehabilitation program consisting of 60 minutes 5 times a week for 6 weeks. TCTG participated additionally in the therapeutic climbing program consisting of 30 minutes sessions 3 times a week for the same 6 weeks. Berg balance scale (BBS), Gaitview Measure, Timed up and go test (TUG) were measured. Results: In the TCTG, revealed a statistical difference in BBS between the groups; in the difference of plantar pressure ratio in the static standing position revealed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 training; the balance ability in the one-leg standing tes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ime in TUG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in both groups; The changes in the difference of dynamic plantar pressure ratio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TCTG. Conclusion: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contribute to improve balance and walk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4,000원
        16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dder-climbing exercise training on neurobiological markers in the hippocampus of mice with type 2 diabetes (T2DM). Twenty-one C57BL/6 male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non-diabetic control (NDC, n = 7), diabetic control (DC, n = 7), and diabetic training (DT, n = 7) groups. The DT group performed ladder-climbing training (LCT) fiv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We measured the levels of hippocampal neurobiological markers (catalase [CAT],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nerve growth factor [NGF], amyloid-beta [Aβ], tau, and CC motif chemokine ligand 11 [CCL11]). The BDNF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T group than in the DC group (p < 0.05). The Aβ and CCL1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C group than in the NDC and DT groups (p < 0.05). The tau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C group than in the NDC group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T and NGF levels among the groups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2DM could induce neurodegeneration, LCT may be effective in alleviating neurodegeneration caused by T2D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