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0

        14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얼굴의 물리적 특성과 얼굴의 성격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피험자들에게는 일본인 남녀의 정지화면이 제시되었다. 피험자는 31개의 성격특성 항목에 대하여 7점 척도를 사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의 결과 「사회적 바람직성」, 「활동성」, 「지성」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각각의 사진 자극에 대하여 얼굴 부분의 물리적 특성과 각 요인 득점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남성의 얼굴에서는 눈에 대한 특징 지표와 「지성」 요인이 여성의 얼굴에서는 뺨에 대한 지표와 「지성」 요인, 「사회적 바람직성」 요인이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얼굴의 성격인상 평가에는 그 얼굴이 남성인가 여성인가에 의해, 혹은 피험자의 성별에 의해 판단의 기초가 되는 특징이 상이함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143.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preferences, dietary habit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n=283). Mean dietary habit score was similar between sexes and was 46.1/100 in male students and 45.1/100 in female students. Average energy intake of male students was 2,019 kcal (80.8% of RDA) an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1,675 kcal (83.7%). Male students were taking less than 90% of RDA in calcium and vitamin B2 and female students were taking less than 90% of RDA in calcium, iron, vitamin C, and vitamin A. Students preferring Judgment had significantly higher dietary habit score than students preferring Perception. Extraversion had higher nutrient intake than Introversion both i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preferring Feeling had also higher nutrient intake than students preferring Thinking. Nutrient density per 1,000 kcal was higher in Thinking and Judgment than Feeling and Perception. In conclusion, students preferring Judgment and Extraversion have better dietary habit and nutrient intake than those preferring Perception and Introversion. More studies are necessary between personality preferences and dietary behavior to contribute to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4,000원
        144.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특성(trait) 이론에 기반한 Eysenck의 EPQ-R 설문지와 EEG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서, 피험자들은 한국판 EPQ-R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2회에 걸쳐 눈을 감은 조건, 눈을 뜬 조건, 암산과제 수행조건에서 EEG를 측정하였다. Neuroticism 은 눈을 뜬 조건에서 theta 파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Psychoticism 은 눈을 감은 조건에서 alpha파와 정적상관, delta파와 부적 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Robinson(2001)의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4,000원
        14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청각 사상관련전위(ERP)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격 특질 모형들의 생물학적 근거와,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48명의 대학생 피험자들에게 4가지 성격 측정 검사(NEO-Pl-R, EPQ-R, BIS/BAS 척도, IVE)를 시행하고, 이어 두 종류의 청각 자극 세트(50㎳와 300㎳)를 이용한 오드볼 과제를 통해 ERP를 측정하였다. 설문지 간의 상관과, 설문지와 ERP 내외생적 구성 요소 간의 상관, 그리고 그 상관의 두피 분포 양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각 성격 검사의 외향성 척도에 해당한다 할 수 있는 E, E, BAS-FUN은 양성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설문지 척도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50㎳ 자극으로 유발된 P3 진폭은 E와 BAS-FUN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Eysenck의 모델과 일견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그가 개발한 EPQ-R의 외향성 척도(E)보다는 오히려 다른 척도들이 뇌파에 반영된 성격의 생물학적 기제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신경증적 경향성을 반영하는 N과 N 척도는 50㎳ 자극에 대한 여성 피험자의 N1, P2 진폭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두 척도에 등가적인 것으로 예상되었던 BIS 척도는 설문지 간 상관이나 ERP요소와의 상관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Eysenck가 성격의 세 번째 축(차원)으로 제시했던 P(정신병적 경향성) 역시 여성 피험자들에게서 두드러지는 설문지간 상관을 보였으나, 300㎳자극에 대한 P2 진폭과의 정적인 상관은 양성을 합한 자료에서만 발견되었다. 여성의 상관 분포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양성 자료의 분포와 유사함이 확인되었다 이 실험의 결과는 P3 진폭과 외향성 간의 부적인 상관 관계를 보고하였던 기존 연구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 실험에서 확인된 Eysenck 모델의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정신병적 경향성이 ERP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나는 외생적 구성 요소들(Nl, P2)과의 상관 양상은, P3 요소에 집중하였던 기존 연구들이 외향성 이외의 차원으로 일관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 차원과 그것을 지표 하는 ERP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해석할 때에 성별이나 유발 자극의 속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4,000원
        146.
        200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51.
        199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52.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53.
        202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이 한 국어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를 한국어 발음 능력에 따라 상·중·하위 그룹으로 나눈 후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성격과 발음 능력의 연관성을 살 펴보았다. 상위 집단 학습자의 경우 민감한 어린이 페르소나와 배려지 향 페르소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집단 학습자의 경우 강함추구 페르소나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이 발음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54.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윤리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 내용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범주화 하고, 그와 관련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탐색하여 정보윤리교육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4차 산업 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으로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 되고, 현실 세계와 사이버 세계를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할 만큼 사이버 세계의 범주가 확산되는 만큼 정보윤리와 관련한 교육은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교육은 정보화 기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주를 이루는 것이 현실이며, 정보 윤리와 관련한 교육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또는 중학교 정보 교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정보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주제들만 주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 교육으로서 정보윤리교육을 탐색하여 사이버 세계에서의 인간 관계와 그로부터 비롯된 광범위한 윤리 문제들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 범주화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 제시법으로 활용된 ‘가치관계확대법’을 참고하여, 자신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미디어 이용 습관’, ‘개인 정보 보호’, 타인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관계와 소통’, ‘저작권 보호’, 사회·공동체 관계로서 ‘바람직한 디지털 문화 형성’을 핵심 주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가 현저히 부족한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각 핵심 주제와 관련있는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정보윤리교육의 실현을 도모하고자 한다.
        155.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mpirical research is aimed at testing the relationship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namely openness to experience, extraversion, consciousness, agreeableness, neuroticism, and risk aversion with the investment in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belonging to Balochistan, Pakistan. The primary data is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structured form that consists of a series of closed-ended and open-ended questions) from a sample of 397 active individual investors belonging to different districts of the province. The data is empirically analyzed by applying the Partial Least Square (PLS) path modeling technique by using the estimation package available in Smart-P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l the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investors’ investment intention with risk aversion as the strongest predictor. Moreover, openness to experience, extraversion, consciousness, agreeableness, and risk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an investor’s investment intention, whereas neuroticism is negatively related to an investor’s investment intention. The results extended by this study can be used by financial planners and investment bankers to channelize the available financial resources in diversified portfolios. The results will help financial planners to make available diverse investment alternatives for investors in Balochistan, thus catering to their unique needs. Academia must offer courses on contemporary finance paradigm based on behavioral finance to enable future business graduates to make wise financial decisions.
        156.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networking behavior is an effective job search method to students, far too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echanisms explaining the antecedents and networking behavio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HEXACO personality dimensions on graduated students’ job search networking behavior through their network size. A survey of 773 participants was conducted to assess personality traits, network size, and networking behavior. All constructs in the study were measured by 5-point Likert scales. This study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and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ality of emotionality negatively influence students’ network size, whil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cope of their social network. Second, the findings confirmed that network size is directly related to the level of looking-for job behavior, particularly networking behavior. Finally, our results explored that network size played the mediating effect on how personality traits affect networking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twork size is a dynamic mechanism that help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search networking behavi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as well a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157.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and measuring key personality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of salesperson working in the machinery industry in Vietnam. A total number of 218 salesperson working in machinery industry were surveyed. After evaluating Cronbach’s Alpha an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e impact level of personality trait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of salesperson working in machinery industry. Ordered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effects on job performance, these factors are: agreeablenes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Five research hypotheses are accepted. Specifically,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have positive impacts on job performance of salesperson working in machinery industry in Vietnam. However, neuroticism has a nega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of salesperson. Th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e level of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the sales staff performance in machinery industry. Many people apply to this profession as a career choice. Each occupation is suitable for certain personality trait, which changes very little during adulthood. Research also shows that each personality trait always has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create conditions for learners to develop their character in a natural way.
        158.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논하고 있는 『대학』을 통해서 역량 중심의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의정심(誠意正心)’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육의 사태에서 실천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첫째, 수기(修己)의 과정에서‘성의정심(誠意正心)’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삼강령과 성의정심의 관련에서 볼 때 『대학』이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는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주희와 다산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격물치지론이 팔조목에 대한 인식론적 수준에서의 해명이라면 성의정심론은 삼강령의 신민(新民)과의 관련에서 정(情)의 작용까지 포괄하여, 심(心)의 뜻을 보다 구체적이며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성의정심은 마음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성(人性)’은 경(敬)에 상응하는 성의와 정심의 교섭 작용을 통해서 이해 될 때 비로소 교육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인성은 말과 행동으로 외부에 표현되기 이전의 ‘미발(未 發)’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발시 함양에서 인성의 교육적 측면이 부각된다. 이 글에서, 인성교육의 목적은 자아의 실현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수기(修己)하는 것과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경(敬)을 거점으로 지(知)와 행(行)이 병행될 때에 삶을 통해 만나게 되는 부단한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159.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s primary purpose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apital roles and personality traits of Big-Five in predicting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erformance of task in Indonesia’s electricity sector.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employees of four major cities in Indonesia, in Southeast Sulawesi, comprising 246 employees.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a PLS (partial least squares) base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sonality traits of Big-Five relate significantly to OCB and the performance of task. Nevertheless, against our expectations, OCB does not significantly relate to the performance of task.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tipulate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Big-Five personality traits aimed to improve employee performance and can be most effective if specifically targeted at OCB. Given that both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OCB, caring training initiatives that focus on mutual help can be very valuable for organizational improvement. In a managerial perspective, organizations can increase OCB by conducting open communication strategies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to further stimulate and strengthen the ability of employees to display extra-role behaviors.
        160.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국내 팀 종목 운동선수의 자기애 성격과 자아존중감, 인지된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팀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242부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방법은 SPSS 23.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선수의 자기애 성격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선수의 자기애 성격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국내 팀 종목 운동선수들이 지니는 자기애 성격의 긍정적인 측면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연구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