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2

        142.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보수 모르타르와 직접 혼합 가능한 결정성장형 자기치유 고상캡슐을 제조하였으며, 자기치유 고상캡슐이 혼합된 보수 모르타르의 품질 및 균열 치유 성능 특성을 평가하였다. 자기치유 고상캡슐을 혼합한 보수 모르타르의 테이블 플로우 및 공기량 평가 결과 혼합율에 관계없이 테이블 플로우 및 공기량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캡슐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정수위 투수시험에 따른 균열 치유 특성 평가 결과 초기 투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반응 생성물 발생하여 균열이 치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43.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 및 수밀성을 향상하기 위해 기존의 현장에서 사용하는 초속경 시멘트에 PVA 분말수지,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보수재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보수재료로 보수된 흄관의 보수 후 휨거동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PVA 분말수지, 나일론 섬유 혼입률 및 손상유형이며, 성능 실험으로는 압축강도와 보수재료 후 휨거동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개발된 보수재료는 PVA 분말수지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모든 배합에서 보수재료의 요구 성능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된 관 시험체들의 휨강도 실험결과, 나일론 섬유를 혼입하고 PVA분말을 적정량을 첨가하여야 보수재료의 성능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험체들의 휨거동은 다소 철근비가 작은 구조부재에서 나타나는 휨거동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의 흄관에 배근되는 철선량이 다소 부족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즉, 철선의 배근량이 다소 적어 콘크리트와 철선의 거동이 극한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고 곧바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초과하여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계식 신축이음장치는 온도변화, 크리프 등에 의한 상부구조 수평변위를 수용하고 불연속면을 연속화시켜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교량부속장치이다. 하지만 윤하중의 직접재하 및 제설제 등에 노출되어 신축이음장치의 파손, 후타콘크리트 균열 및 탈락 등 많은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공용기간 중 약 10년 주기로 교체 공사가 필요한 소모성 구조부재이며 매년 동일한 수준의 국가 예산이 지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신축이음 교체 공사 시 기존 교량에 무조인트 교량 시스템을 도입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145.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원인에 의한 포장체에 손상이 발생하면 신속한 통행재개를 위한 급속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산화마그네슘인산염복합체의는 경화시간이 짧고, 조기 강도발현이 가능하여 급속보수재료로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연구에서는 경소마그네시아와 제1인산칼륨을 결합하여 보수재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물-결합재(W/B)비, 마그네슘-인산염(M/P)비 등의 배합비를 조정하면서 경화와 강도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장 적용시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사와 일반모래에 따른 거동차이와 지연제별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물-결합재비는 35%내외와 마그네슘-인산염비는 1.0~1.2 내외가 강도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W/B비 0.35, M/P비 1.2 변수에서 1일 강도 25.0MPa 이상 발현되어 조기 보수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업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붕산을 지연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화마그네슘의 순도는 90~95%내외가 경화시간 확보를 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research explores the impacts of third-party logistics (3PLs) within the aircraft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industry in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to explore the role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s for improving outsourcing. Globalization and time based competition have changed business environments and challenged the conventional management strategies that are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and operational models. Organizations are forced to devise innovative practices in which logistics outsourcing to 3PLs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in a leading global aircraft MRO organization whose reach spans across Europe, the Middle East, Asia and the Americas. The methods used face to face semi-structured interviews, validated through further focus group discussions. Results –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s on their role to improve outsourcing and also demonstrated that MROs gain several advantages from 3PL arrangements. However, any gaps in outsourcing management elevates potential risks to organizations as well, which could result in reputational, operational and financial losses. Conclusions – Although generalizability is not possible due to the case study approach, generalit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duce reputational, operational and financial risks, enhanced collaboration with 3PLs is recommended to optimize outsourcing arrangements.
        14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microwav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mortar. The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and bond strength of epoxy mortar was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crete substrate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ssess its effect on the bond between epoxy mortar and concrete. To verify the efficiency of concrete repair, flexural strength of repaired beams was measured. It was observed that microwave can effectively used to cure epoxy mortar and develop adequate strength in shorter time when compared to curing at room temperature.
        14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evaluation was made on the change of the pull - out performance of BFRP concrete interface after repairing cracks on the lower surface of reinforced concrete by using basalt fiber which is environment friendly and heat - resistant compared to glass fiber. The test standard was ASTM D7522 / D7522M, and the influence factor was considered as the crack thicknes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fracture pattern was the same regardless of the crack thickness and the bond stress was measured similarly.
        14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해에 콘크리트 구조물은 사용기간의 증가에 따라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보수를 포함한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결정론적인 방법으로 내구수명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비가 평가되고 있으나, 확률론적 유지관리 기법을 고려할 경우 연속적인 보수비용이 평가되므로 합리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기존의 확률론적 유지관리 기법에서는 정규분포만 고려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초기 내구수명 및 보수에 따른 수명-확률함수에 로그함수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OPC 및 GGBFS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하여 보수비용을 평가하였다. 로그 함수를 가지는 수명-확률함수는 중앙값 이전보다 이후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이므로 초기 내구수명 분포에 유리하며 전반적으로 낮은 보수비용을 도출할 수 있다. GGBFS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OPC 콘크리트 비하여 높은 내구수명과 낮은 보수횟수를 통하여 30% 수준으로 보수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확률론적 유지관기 기법은 정규분포 뿐 아니라 로그분포를 가지는 수명-확률함수를 초기 및 다양한 보수시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 합리적인 보수비용을 도출할 수 있다.
        150.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얀마 바간(Bagan)지역 전통 건축물의 벽체 보수에 사용되는 소석회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바간 지역 문화재 수리 현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석회 플라스터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얀마 소석회의 X-선 회절 분석과 열분석 결과 포틀랜다이트(Ca(OH)2)와 수활석(Mg(OH)2)이 주구성광물로 검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석회의 원석으로 백운석(CaMg(CO3)2) 광물의 함량이 높은 탄산염 암석이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미얀마 소석회는 0.5 μm 이상의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결정들과 소량의 0.1 μm 크기의 판상형 결정들이 응집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조직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국내에서 건식 소화시킨 소석회와 비교했을 때 결정의 크기나 균일도가 다른 것은 소석회 간 구성광물의 차이와 미얀마 특유의 전통 습식 소화방법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28일 동안 양생한 미얀마 석회 플라스터의 압축강도 값은 평균 1.13 N/mm2이며, bale (Aegle marmelos) 열매의 물 추출액을 첨가한 플라스터 시편의 압축강도 값은 평균 1.03 N/mm2로 측정되었다. 석회는 장기간 탄산화 과정을 거쳐 강도가 발현되는 기경성 재료이므로 향후 28일 이상 장기 양생을 통해 양생기간별 물리적 특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151.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 후 다양한 원인에 의해 물리적, 화학적 변형을 통해 물리적인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저하는 사용수명을 감소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보수보강이 필요하다.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효율적인 보수을 위해, 부착성능을 향상시킨 하이브리드 보수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초속경 시멘트에 PVA 분말수지, 나일론 섬유, 라텍스를 혼입 한 하이브리드 보수재를 개발하였다. 보수재료의 성능평가를 위해 압축강도, 건조수축, 부착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리 손상이 발생한 시험체를 제작한 후 보수 전후의 휨부착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휨강도 평가결과, 기존의 초속경시멘트만 혼입한 시험체를 제외한 모든 실험체에서 110%~150%정도 휨강도가 크게 나타났고, 휨강도에 의해 발생된 균열패턴은 모든 실험체가 기존 콘크리트와 일체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남해안과 제주도 연안에는 5,000톤 이상의 괭생이 모자반이 유입되어 양식장과 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환경훼손 등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괭생이 모자반에 존재하는 알긴산은 주로 의약품, 식품 등으로 활용되는 천연 고분자 물질이다. 하지만,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요처가 확보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괭생이 모자반을 활용한 바이오 폴리머를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응결특성 평가 시험에서는 바이오 폴리머가 12% 혼입된 L0BP12 배합은 합성폴리머만 혼입된 L12BP0 배합보다 종결시간이 최대 20%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흡수율 시험에서는 LOBP12 배합이 초속경 시멘트 배합인 Plain-URHC보다 0.3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바이오 폴리머 혼입으로 모르타르의 수밀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축 및 휨강도 시험에서는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KS F 4042 기준을 만족하는 최대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률은 12%로 결정되었다. 또한, 재령 4시간 기준 부착강도는 Plain-URHC시험체 보다 모두 향상되었으며, 1 MPa 이상을 확보하여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이 모르타르의 부착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15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dhesion in flexure and adhesion in tension between old-plain cement mortar and new-polymer cement mortar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finishing and repairing materials of RC structures. From the test results, the adhesion in flexure and adhesion in tension of polymer-modified mortar to plain cement mortar are much higher than that of plain cement mortar, and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polymer-cement ratio. The maximum strengths show at polymer cement mortar using EVA dispersion, and those are about 1.69 and 2.10 times respectively, plain cement mortar.
        15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시(CFBC ash)는 매년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활용성이 제한되어 매립,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시의 화학조성 주성분은 SiO2, CaO, CaSO4로써, 물과 반응하여 시멘트와 유사한 자기수경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시의 자기수경성을 활용하여, 폴리머 혼입 보수 모르타르를 개발하기 위한 최적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폴리머 혼입 보수 보르타르 개발을 위해 순차적으로 3 Case의 배합을 설정하고 기초 물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시에 실리카흄 10% 혼입과 폴리머 1.0% 혼입, 팽창재 3.5% 혼입에서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5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stablish preventive maintenance and to make a reasonable estimate of the required repair cost for bridges, the related history information of the existing bridge inspection and diagnosis was analyzed. It was analyzed that about 75% of the repair costs were required for the pavement, expansion joining, curb, and railings in the service area of bridges.
        156.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heavy rain damage and to identify effect of repair and improve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on heavy rain damag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balance of precipitation became worse over time from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econd, the analysis using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show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eavy rain damage amount and precipitation amount,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eavy rain damage amount and repair and improve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cost. Third, the analysis of the panel regression model shows that the negative impact of the repair and improve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cost on the heavy rain damage, which means that the increase of the repair and improve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cost can reduce the heavy rain damage.
        157.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균열에 사용되는 주입형 누수보수재료의 품질관리 방안으로 규격화된 국제표준 ISO TS 16774, Part 2 Test method for chemical resistance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누수보수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입형 누수보수재료 2계열 (합성고무계, 시멘트계), 3종류 씩, 총 9 종류의 보수재료에 대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이 처한 화학적 환경의 저항 안정성을 연구·검토하였다. 그 결과, 합성고무계는 RG-3를 제외하고, 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재료적 검토가 필요하고, 시멘트계는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는 재료적 검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학적 환경에서의 보수재료 선정 시 기본 지 표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에 연구 개발 되는 보수재료의 품질 향상에 반영할 수 있는 기준 자료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158.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retarder, fiber and admixture on durability properties of repair mortar mixed MPC(Magnesia phosphate composit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ance to freezing-thawing and chloride attack of MPC repair mortar with fibers and fly-ash were greater than those of MPC repair mortar without fibers and fly-ash.
        15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 in the fields of the repair and rehabilitation for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The codes used in this study are ISO 16311 and ACI 562-16. The ISO 16311 and ACI 562-16 focused on maintenance and repair, respectively. After, we will make to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to meet the domestic situation through analysis the repair and rehabilitation parts of the codes in detail.
        16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 생물학적 효과(Radio biological effectiveness, RBE)를 선량에 대부분 의존하는 X선과 달리 탄소빔 의 경우 LET의 변화량은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사항이다. 이는 X선 과는 극히 대조적인 선량 분포도를 갖 고 있기 때문이며 LET의 변화량이 중요한 이유가 된다. 따라서 기존의 LQ 모델이나 회복생존모델의 경우 이러한 점이 감안되지 않아 탄소빔의 분할 조사 시 문제점을 보이며 오류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 75keV/μm의 고LET 탄소빔 분할 조사 시 Potentially Lethal Damage Repair (PLDR)의 발생양을 확인하고 약 13keV/μm 저LET 조사와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PLDR의 감소에 따라 생존율 또한 감소하였다. 따라서 탄소빔의 생물리학적 모델 개발에 LET의 변화량은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 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