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3

        16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dimethylsiloxane(PDMS) 몰드를 사용한여소프트 리소그래피 방법을 통해 Poly(3-hexylthiophene)(P3HT)가 서브 파장(subwavelength) 사이즈로 나노패턴 된 전기 변색 소자를 제작하였다. 나노 패턴된 전기 변색 소자를 사용한여 착색 및 소색 상태에 따른 빛의 편광 효과를 패턴의 방향을 바꿔가며 측정하였으며, 인가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고분자의 도핑 상태에 의해서 편광된 빛의 세기를 손쉽게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편광 효율을 최댓값과 최솟값의 비로 정의하여 실험을 통해 1.7의 편광 효율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산화, 환원 반응에 따른 고분자의 구조변화에 의해 도핑 상태에 따라 굴절률 차이가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편광 된 빛의 세기를 인가전압의 스위칭만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전기 변색 소자에 -2V와 2V 전압을 인가해 주었을 때 고분자 패턴과 전해질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61과 0.99의 값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2.
        201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건조밀도를 가진 압축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에 물의 염도가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압축벤토 나이트의 수리전도도는 벤토나이트의 건조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만,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 으며, 염도의 증가에 따른 수리전도도의 증가 정도는 벤토나이트의 건조밀도가 낮을수록 더 현저하였다. 건조 밀도가 1.0 Mg/m3 및 1.2 Mg/m3 인 압축벤토나이트의 경우, 0.4 M NaCl 용액의 수리전도도는 탈염수의 경우 에 비해 각각 7배 및 3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1.4 Mg/m3 보다 큰 건조밀도를 가진 압축벤토나이트의 경우에 는,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염도의 영향이 크지 않았으며, NaCl의 농도가 0.04 M에서 0.4 M 인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벤토나이트 시편을 탈염수로 미리 포화시키는 것은 수리전도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163.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모델의 하나인 Maxwell-Eucken(ME) 모델을 이용하여 불포화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기질, 물 그리고 공기가 각각 연속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3개 ME모델의 선형조합으로 표현되며, 매질 내에서 각 성분의 상대적 연속성 정도를 나타내는 '연속성계수'의 개념을 도입하여 선형방정식의 계수로 이용하였다. 기질의 연속성계수는 공극률과 선형의 관계를, 물과 공기의 연속성계수는 포화도와 선형 또는 비선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공극구조가 알려진 3개 시료에 대한 열전달 모사 결과와 3개 시료의 열전도도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제시된 모델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6개 시료에 대한 모델 예측값의 결정계수(R2)는 선형모델의 경우 0.86-0.98, 비선형모델의 경우 0.88-0.99로 나타나 모델의 예측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6개 시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질의 연속성계수와 공극률과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예측모델은 기질의 열전도도, 공극률 및 포화도로부터 불포화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를 계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4,200원
        16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전도도와 물리적 강도를 가지는 그라핀의 고른 분산성을 얻기 위하여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그라핀을 개질시켰다. 그리고 SPAES/그라핀 복합막은 각기 다른 함량을 첨가하여 제조되었으며 그라핀의 제조방법과 첨가된 그라핀의 함량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였다. 복합막의 모폴로지는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개질된 그라핀의 화학적 구조는 FT-IR과 TGA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라핀의 함량변화가 0.5~3.0 wt% 일 때 복합막의 이온전도도와 메탄올 투과도를 측정하였으며 80℃, 100% 가습상태에서 SPAES/그라핀 복합막의 이온전도도(0.216 S/cm)는 순수한 SPAES 전해질 막보다 높은 이온전도도(0.098 S/cm)를 나타내었으며 그라핀의 함량이 1.5 wt%까지 증가될 때 메탄올 투과도는 감소되었다.
        4,000원
        167.
        2011.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moelectric power, dc conductivity, and the dielectric relaxation properties of La2NiO4.03 are report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7 K - 300 K and in a frequency range of 20 Hz - 1 MHz. Thermoelectric power was positive below 300K. The measured thermoelectric power of La2NiO4.03 decreased linearly with temperature. The dc conductivity showed a temperature variation consistent with the variable range hopping mechanism at low temperatures and the adiabatic polaron hopping mechanism at high temperatures. The low temperature dc conductivity mechanism in La2NiO4.03 was analyzed using Mott's approach.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rmoelectric power and dc conductivity suggests that the charge carriers responsible for conduction are strongly localized. The relaxation mechanism has been discussed in the frame of the electric modulus and loss spectra. The scaling behavior of the modulus and loss tangent suggests that the relaxation describes the same mechanism at various temperatures. The logarithmic angular frequency dependence of the loss peak is found to obey the Arrhenius law with activation energy of ~ 0.106eV. At low temperature, variable range hopping and large dielectric relaxation behavior for La2NiO4.03 are consistent with the polaronic nature of the charge carriers.
        4,000원
        168.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tasks such as sending text message (STM) and searching navigation (SN) on skin conductance level (SCL) during driving. The participants included 29 taxi drivers; 14 males aged 56.7 ± 4.3 with 29.7 ± 7.0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nd 15 females aged 55.5 ± 3.5 with 20.1 ± 5.7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ll subjects were instructed to keep a certain distance (30m) from the car ahead and a constant speed (80km/h or 100km/h). SCL was measured during driving only and driving with secondary tasks. SCL was more increased during the driving with secondary tasks than driving only. By increasing the driving speed, SCL was increased during the driving with secondary taks. Secondary tasks increased an activation of sympathetic nerve system.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L according to gender.
        3,000원
        17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tasks such as sending text message (STM) and searching navigation (SN) on skin conductance level (SCL) and deviation of vehicle speed during driving. The participants included 30 he
        4,000원
        171.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TCOs such as ITO, AZO(Al-doped ZnO), FTO(F-doped SnO2) etc.,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LCD,touch panel, solar cell, and organic LEDs etc. as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reveal n-type conductivity. But in order to realizetransparent circuit, transparent p-n junction, and introduction of transparent p-type materials are prerequisite. Additionalprerequisite condition is optical transparency in visible spectral region. Oxide based materials usually have a wide optical band-gap more than ~3.0eV. In this study, single-phase transparent semiconductor of SrCu2O2, which shows p-type conductivity, havebeen synthesized by 2-step solid state reaction at 950oC under N2 atmosphere, and single-phase SrCu2O2 thin films of p-typeTCOs have been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on alkali-free glass substrate from single-phase target at 500oC, 1%H2/(Ar+H2) atmosphere. 3% H2/(Ar+H2) resulted in formation of second phases. Hall measurements confirmed the p-typenature of the fabricated SrCu2O2 thin film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obility of carrier and carrier density 5.27×10−2S/cm,2.2cm2/Vs, 1.53×1017/cm3 a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Transmittance and optical band-gap of the SrCu2O2 thin filmsrevealed 62% at 550nm and 3.28eV.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rCu2O2 thin films deposited by RFmagnetron sputtering were compared with those deposited by PLD and e-beam.
        4,000원
        172.
        2010.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modify and improve the properties of functional thin films by hybridization with nano-sized materials. For the fabrication of electronic circuits, micro-patterning is a commonly used process. For photochemical metal-organic deposition, photoresist and dry etching are not necessary for microscale patterning. We obtained direct-patternable SnO2 thin films using a photosensitive solution containing Ag nanoparticles and/or multi-wall carbon nanotubes (MWNT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direct-patternable SnO2 thin films decreased with introduction of nanomaterials due to optical absorption and optical scattering by Ag nanoparticles and MWNTs, respectively. The crystallinity of the SnO2 thin films was not much affected by an incorporation of Ag nanoparticles and MWNTs. In the case of mixed incorporation with Ag nanoparticles and MWNTs, the sheet resistance of SnO2 thin films decreased relative to incorporation of either single component. Valence band spectral analyses of the nano-hybridized SnO2 thin films showed a relation between band structural change and electrical resistance. Direct-patterning of SnO2 hybrid films with a line-width of 30 μm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photoresist or dry et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icro-patterned system can be simply fabricated,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SnO2 films can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Ag nanoparticles and MWNTs.
        4,000원
        17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체전해질 알카라인연료전지(SAMFC)가 근래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술폰화 폴리벤지이미다졸(PBI) 유도체를 이용하여 SAMFC용 막을 제조하였다. 술폰화 폴리벤지이미다졸 유도체는 KOH에 의해 쉽게 도핑되고 도핑된 막은 높은 OH-의 전도도와 기계적 강도를 보였다. 특히 sPBI-co-PBI (술폰화 PBI : 비술폰화 PBI = 75 : 25)의 경우, 90℃ 100% 상대습도 하에서 2.98 × 10 -2 S/cm의 높은 OH-의 전도도를 보였다.
        4,000원
        17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전달 라디칼 중합을 이용하여 poly(epichlorohydrine) (PECH)를 주사슬로 한 양친성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PECH로부터 poly(methyl methacrylate)(PMMA) 및 poly(butyl methacrylate)(PBMA)의 가지형 중합이 성공적임을 1H NMR과 FT-IR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합성한 가지형 공중합체에 KI나 LiI 염을 도입하였을 때, ether 신축진동 피크가 낮은 wavenumber영역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는 배위결합 상호작용 때문이다. PECH-g-PBMA 복합체의 이온 전도도는 PECH-g-PMMA 복합체에 비해 항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고무상인 PBMA 사슬의 높은 이동성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고 이온전도도 값은 질량비 10 wt%의 KI가 도입된 PECH-g-PBMA 전해질체에서 2.7 × 10 -5 S/cm로 나타났다.
        4,000원
        17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aggression and skin conductance level during watching attack image. Twenty three male (2 1. 4土1. 8 year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 personal aggression of
        4,000원
        177.
        201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설계 및 장기 성능평가를 위한 입력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처분연구시설 부지에서 실시된 경사시추에서 얻은 암석 코어를 이용하여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열전도도에 미치는 함수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함수비에서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화강암의 광물 조성, 결정구조 및 이방성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비교적 측정이 용이한 유효공극률과 함수비를 이용하여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실험적 관계식이 제안되었다. 이 관계식은 지하처분연구시설 부지에서 채취한 유효공극률 2.7% 이하인 화강암의 열전도도를 10% 오차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
        4,000원
        178.
        2010.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wo aspects of the percolation and conductivity of carbon black-filled polyethylene matrix composites will be discussed. Firstly, the percolation behavior, the critical exponent of conductivity of these composites, are discussed based on studying the whole change of resis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and relative permittivity or ac conductivity. There are two transitions of resistivity for carbon black filling. Below the first transition, resistivity shows an ohmic behavior and its value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matrix.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the change in resistivity is very sharp, and a non-ohmic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current has been observed. Secondly, the electrical conduction property of the carbon black-filled polyethylene matrix composites below the percolation threshold is discussed with the hopping conduction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lectrical conduction property of the composites below the percolation threshold based on the frequency dependence of conductivity in the range of 20 Hz to 1 MHz. There are two components for the observed ac loss current. One is independent of frequency that becomes prevalent in low frequencies just below the percolation threshold and under a high electrical field. The other is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applied ac voltage in high frequencies and its origin is not clear. These results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below the percolation threshold is tunneling.
        4,000원
        180.
        201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 dc conductivity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DyCoO3 were report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7 - 300K and in the frequency range of 20 Hz - 100 kHz. It was observed that at low temperature, ac conductivity is much higher than dc conductivity and the hopping carrier between localized states near the Fermi level was the dominant loss mechanism. A comparison of the measured ac conductivity σ(Ω) was made with some of the models of hopping conductivity of the proposed earlier in the literature. It was observed that in DyCoO3 the measured ac conductivity, over the entire frequency and temperature region, can be explained reasonably well by assuming two contributions σ1(Ω) and σ2(Ω) to the measured σ(Ω). The first, σ1(Ω), which dominates at low temperature, may be due to impurity conduction in a small polaron; the second, σ2(Ω), which dominates at higher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measurements, may be due to the hopping of a small polaron and is reasonable for the dielectric relaxation peak.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