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16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공동주택은 내장재의 고급화, 가연물 증가, 초고층화 등으로 화재하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하중의 증가는 화재시 열방출(heat release rate)을 증가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며 화재위험성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열 환경변화에 따른 화재안전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1. 국내·외 모두 전체 화재 중 주거화재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국내는 매년 전체 화재의 약 30%, 미국은 2008년 기준 전체 건물화재의 78.3%, 영국은 건물화재의 65%가 주거공간에서 발생하였다. 2. 공동주택의 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에는 다양한 가전제품, 냉방 및 난방기기, 실내 장식물, 수납물, 불연성능이 떨어진 다양 종류의 마감재 등이 있다. 가전제품, 냉난방기기 등은 고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로써 잠재화재위험성이 높으며 화재 시에 발열량 증가의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열에너지가 많이 요구되는 제품으로 대형화되고 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소비전력을 요구하여 열방출율이 높다. 또한 유류, 가스, 전기 등 열 공급의 방식에 따라 화재발생 mechanism이 달라지고 열방출율을 예측하기도 어렵다. 또한 각종 관련 제품에 따라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소 및 열량의 차이로 화재하중이 달라질 수 있다. 공동주택의 마감재의 기준은 3층 이상이며 거실의 바닥면적 합계가 200 ㎡ 이상인 경우(5층 이상 시 500 ㎡) 거실부분 등의 마감재료로 불연재료 및 준불연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불연재료는 불에 타지 않는 재료로 10분간 305℃에서 가열시 잔류 불꽃이 없으며 20분동안 750℃에서 가열 시, 열 발생이 적은 재료이다. 3. 화재안전대책 : 동일한 평형의 거주공간이라 할지라도 세대별 실내장식물 양, 마감재 물성, 가전제품의 내구연한의 차이 등으로 인해 잠재화재위험성이 달라 화재양상이나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고정 및 이동 하중 증가로 인하여 화재 시 다종, 다량의 연기 및 유해가스 등의 발생으로 가시도 확보가 곤란해져 인명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주거공간에 가연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화재를 초기에 감지하여 진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재 초기에 화재 사실을 정확히 감지하여 통보하는 역할을 하는 감지기의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16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에는 거주공간과 옥외공간을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전망이나 휴식 등의 목적으로 건축물 외벽에 접하여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공간인 발코니가 있는데,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발코니는 필요에 따라 거실·침실·창고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아파트 입주자들은 더 넓은 거주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발코니를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2-745호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에 따라 별도의 대피공간을 설치하여야 한다.<br> 그러나, 아파트 대피공간의 출입구에는 차염성능 만을 지닌 갑종방화문을 설치토록 하여 화재시 재실자가 대피공간으로 피난하여 머무르는 경우 갑종방화문의 복사열 및 누설되는 고온 공기의 영향으로 인명안전이 확보되지 못하여 화재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br>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대피공간에 대한 목업 시험체를 제작하여 화재안전성을 평가하여 관련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6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도입된 이용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옥외공간 이용 활성화를 높일 수 있는 이용프로그램 도입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37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1.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은 총 조사대상지역의 16.5%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단지규모, 준공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옥외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옥외공간 넓이의 증가, 설계요소의 다양성, 공익적 기능의 강화 등이 옥외공간에서의 이용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2.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이용프로그램은 운영이 쉬운 체육강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축제, 장터, 정원관리, 텃밭가꾸기도 높게 나타났다. 운영방식은 외주보다 주민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 도입시 운영하기 쉽고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주민과 관리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매뉴얼을 제작 보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3.이용프로그램 참여 연령층은 성인과 노인이 대부분으로 모든 연령층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연령별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진행시 활용되는 옥외공간은 대부분 커뮤니티 공간이었는데 최근 커뮤니티 공간의 계획 및 설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이용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는 낮은 참여도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고 이용프로그램이 도입되지 않는 이유로도 낮은 참여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프로그램의 도입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주민 참여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를 하고 아파트 자생단체와 커뮤니티 전문가 제도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5.공동주택 주민이 좋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프로그램은 바자회가 가장 많았고 요가, 꽃밭가꾸기, 영화상영, 음악회, 텃밭가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개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영화상영이나 음악회와 같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선호도는 높으나 현재 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도는 낮아 앞으로 주민 재능 기부 등의 전문인력 도입시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 도입현황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주민을 상대로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164.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 this study, carbonation rate and W/C ratio were estimated by collecting actual data of each carbonation depth and compression strength from inner wall, outer wall, stair hall, and balcony floor of certain remodeling apartments. Through above tests, this study can be reference data of the method of life time prediction for the apartments that subject to remodel.
        16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cent global economic crisis caused the recession of the domestic real estate, and accordingly maintenance and remodeling on existing public housing has been growing interested. As the aging of public housing, it has caused the increase of the CO2 emissions and the wor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o this study is to derive at the optimal remodeling time with an minimize CO2 emissions. Remodeling of the public housing is included in the long-term repair plan to public unit and the private unit based on empirical studies. The exterior of high-rise public housing and water supply, sanitation, gas and ventilation equipment,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facilities, etc., it was calculated CO2 emissions by repairs and remodeling. As a result, it can be predicted to when minimize CO2 emissions to the remodeling of public housing. And while maintaining the good condition of housing environment, the global environment friendly remodeling housing project can be expected to expand.
        166.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apartment structure and to evaluate and establish standards of thermal insulation defect in order to mak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the thermal performance degradation an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the exterior wall of the existing apartment. Furthermore, it is to predict the part of occurrence of the thermal bridge and condensation at the apartment building structure. On the other one hand, it is also to analyze the degree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rmal insulation and elapsed time, through the analysis by the workability of concrete.
        16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nd analys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stage by apartment houses structure using main materials.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s, by setting the evaluation model and using 6 kinds of main materials,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bout 6 environmental category was performed
        168.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seismic performance of FCW apartment building with porous hysteretic damping system(PHDS) is examined by comparing with the building designed by KBC2009. The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the seismic force-resisting system is designed to reduce the design seismic base shear by 75 percent, the building with PHDS is enough to satisfy the performances required by the national seismic code
        16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ven though the need for application of damping devices is being raised even in Korea, the design process for damping system is usually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not only if the design base shear has been reduced in proper ratio, but also if the response reduct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damping device has been actually occurred. In this research, response reduction effect was checked as a reduced base shear force, energy approach, and logarithmic decrement approach for the bearing wall apartment buildings with fluid damper.
        17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 of Shear Design Article of KCI 2012 on the isolated footing of 15-story and 25-story frame type apartment buildings of which an apartment unit area is 59m2. As a result, the footing depth of a 15-story building shows 30.7% increase, and 25-story one, 39% increase, respectively. The minimum footing depth of isolated footing to resist pile punching is 750mm for a 15-story building and 830mm for a 25-story one.
        17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pplied automotive vibration control technology to reduce interlayer noise of apartment housings. Light-weight impact sound and heavyweight impact sound were test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ound insul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automotive vibration control technology was superior in light-weight impact, however, heavyweight impact sound was unplaced.
        172.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planting construction for healthy plant growth.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lanting type, planting density, withering rate, soil characteristics, and cambium electrical resistance (CER) of withered trees in an apartment complex with a high withering rate. The major plant groups examined consisted of native broad-leaved tree species (39.3%), native narrow-leaved tree species (24.2%), and native broad-leaved– exotic narrow-leaved tree species (16.4%). The planting density of the green area, where trees were planted from 0.0 to 0.3 trees per unit area, was measured as 98.4%. Withered trees were found in 19 of the 20 planted species, and the withering rate was 41.8% (610 withered/1,461 planted). Withering rates for tree species were measured as follows: Sophora japonica and Salix babylonica (100.0%), Magmolia denudata (84.3%), Lindera obtusiloba (74.7%), cornus kousa (69.3%), acer triflorum (69.2%), diospyros kaki (66.7%), Prunus yedoensis (62.8%), Acer palmatum (52.6%), Prunus armeniaca (51.1%), Chaenomeles sinensis (43.7%), Ginkgo biloba (40.9%), Zelkova serrata (31.0%), Cornus officinalis (28.6%), Taxus cuspidata (25.6%), Pinus densiflora (21.4%), Pinus parviflora (15.2%), Pinus strobus (14.6%), and Abies holophylla (10.3%). Soil chemical analyses for 18 samples revealed that as the withering rate increased, the following occurred: (a) the ratio of silt and clay in soil increased; (b) the soil pH, organic matter rate,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in samples were graded as “inadequate,” based on the plant grading evaluation; and (c) the NaCl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evaluated as “somewhat satisfactory.” The measurement of CER for withering rate shows electrical resistance for higher withering rate are higher, which could predict that a tree will not grow well.
        17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조경 식재 유지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19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간관리비용이 500만원미만인 곳이 141개소로 75.4%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관리 비용의 부족으로 인해 조경유지관리회사에 위탁관리를 맡기지 못하거나 일부 관리 공종만 위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부분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유지관리를 실시하고 있어 모든 공종에 대한 충분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관리비용은 관리의 질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요인이나, 관리비용을 늘리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최근 조경에 대한 주민의식 향상에 따라 조경관리비용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알리고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경관리에 지불할 수 있는 관리비용을 설문조사 등을 통해 알아보고 적정한 관리비용을 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74.7%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이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관리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83%에 달하는 대부분이 조경 비전문가로서 전문적인 관리를 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리사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경 전문 과정을 통해 조경 관리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경관리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체 공동주택 중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72곳으로 37.9%에 그치고 있었으며, 매뉴얼의 내용부족 및 불명확한 기준과 표현 등으로 만족도 또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조경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매뉴얼을 통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쉽고 자세한 설명의 매뉴얼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조경 관리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각 공종별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75.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 investigated heat insulation condition and analyzes connection of construction period, heat insulation property for making databases related of heat insulation deterioration and repair reinforcement in existing building
        176.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회적 생활 환경이 향상되고 도시개발이 안정화됨에 따라 신규 주택건설공사에 대한 요구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신축 보다는 정비를 통해 구조물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리모델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리모델링 해체공사를 위한 구조해석 관련 기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보고된 리모델링 해체 공사도중에 발생한 사고중 슬래브 붕괴사고는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형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리모델링 해체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해석 관련 기준의 개발은 중요하면서도 시급하다. 슬래브의 경우 하중을 직접적으로 저항하기 때문에 균열에 취약해 질수 있고 균열이 발생할 경우 리모델링의 근본취지에 어긋남과 동시에 붕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균열을 억제함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슬래브 구조물의 초기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슬래브 구조물의 구조적 거동과 관련된 주요 요소로는 구조물의 형상과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이 있다. 슬래브 구조물의 형상과 작용하중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아파트 평면도를 분석하였으며, 해체잔해물의 단위중량, 콘크리트 강도 등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결과 주요 하중요소인 해체잔해물의 적재제한높이 및 적재방법에 대해 검토할 수 있었다. 또한, 소형해체장비의 이동에 따른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동적, 정적 재하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 이동하중에 따른 충격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충격계수를 결정할 수 있었다.
        17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쾌적한 주거환경이 중요시되는 트렌드에 따라 공동주택에서 녹지공간 확보를 위하여 대부분의 주차장이 지하로 옮겨가고 있는 현상을 고려할 때,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건설에 있어 균열에 의한 문제점 발생시 유지보수 관점이 아닌 예방이라는 관점의 새로운 차원에서 연구가 필요했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취지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먼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균열에 있어 설계 단계와 시공 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전문가 집단에 의한 가중치(중요도) 산정을 통해 실질적인 예방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예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다음으로 지하주차장의 균열을 살펴보고 각 균열 위험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어느 위험이 가장 위험한지를 파악하고, 그것에 중요도를 두어 설계 및 시공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균열 요인의 중요성과 균열의 위험도를 도출해 냈으며, 사례를 통해 문제점이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도출된 문제점을 전문가를 통한 AHP 기법을 통해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17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최초의 분산형 생태환경저류지 시스템으로 방재기능뿐만 아니라 초기 비점오염원에 대한 생태적 수질정화 및 생태복원, 근린공원의 친수적 이용성, 토지이용도 제고 등의 다양한 기능을 융합하여 대상지 특성에 적합한 다목적용 저류지가 조성되었다. 복원 후 수리·수문 모니터링 결과는 서울지역 재현기간 10년의 강우량과 홍수량에서 첨두홍수량은 12% 감소하고 20분의 지체효과를 보였다. 생태환경수로의 하상 평균소류력의 범위는 86.29-376.18N/m2, 유속의 범위는 2.76-10.07m/s이었다. 하상보호공은 평균 소류력이 133.94N/m2 이하인 곳에는 자연석을, 133.94N/m2 이상인 곳에는 생태목틀이 적용되었다. 현장조사결과 생태목틀과 자연석이 적용된 생태환경수로는 자연석의 이탈이나 자연석 주변 하상 세굴과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생태환경 저류지 시스템의 홍수저감효과와 생태환경 수로의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국내 융합적인 생태환경 저류지나 생태하천의 표준화와 적용에 필요한 중요한 기준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생태환경저류지 시스템 조성이후 생태적 안정화 기간인 2년 이상의 연구개발자(전문가)의 유지관리 참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일반기술자도 생태환경저류지의 조성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17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파트 베란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실내정원 도입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및 도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기 원하는 응답자는 83.7%로 나타났으며 실내정원 도입목적으로 “공기정화”, “취미활동”, “이미지 제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 “스트레스 해소”, “자녀들의 자연학습에 도움” 순으로 응답되었다. 둘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 도입유형은 “휴식형”보다 “감상형”을, 설치유형은 “정원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실내정원의 이미지는 “동양식 풍경”으로 “친근한 이미지”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넷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의 도입소재는 “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외래종보다 “자생식물”을, 식물의 종류 중 “관엽식물”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플랜터 및 마감재료는 “목재”를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의 조성비용은 “100만원”을, 관리형식은 “직접관리”를 선호하였으며 연간 위탁관리비용이 “20만원”이면 위탁관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여섯째, 응답자중 87.8%가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이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는 것은 공기정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할 필요성이 매우 높으며 목재를 이용하여 플랜터를 만들고 우리나라 자생식물중 관엽식물을 위주로 정원형으로 구성하되 동양식풍경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도입방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