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5

        16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조기교통개방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제로 포장콘크리트의 현장조건하에서는 외부적 또는 내부적인 요소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분과 열에 의한 수축을 구속함으로써 인장응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인장응력은 균열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초속경시멘트 콘크리트내에 섬유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종류의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였고, 2종류의 섬유를 혼입하여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를 비교하였다. 시험결과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나타냈다.
        4,000원
        162.
        200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조기교통개방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제로 포장콘크리트의 현장조건하에서는 외부적 또는 내부적인 요소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분과 열에 의한 수축을 구속함으로써 인장응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인장응력은 균열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초속경시멘트 콘크리트내에 섬유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종류의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였고, 2종류의 섬유를 혼입하여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를 비교하였다. 시험결과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나타냈다.
        4,000원
        16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한 크리효과는 다른 각종 강도에 대한 크기효과에 비해 현저히 나타난다는 것이 많은 실험적 연구로부터 입증되었으며, 이를 배경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계 기준식들이 전단강도의 크리효과를 반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점점 대형화됨으로써 이와 같은 설계 기준식의 실험적 검토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괴역학에 근거한 비선형 유한요소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단보강철근이 없는 대형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한 크기 효과를 재현해 보았다. 또한, 해석 및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크기효과가 고려된 몇 가지 대표적인 전단강도식과 비교하였다.
        4,000원
        165.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강도콘크리트(압축강도 400-700kgf/cm/sup 2)를 이용한 구조물의 강도성능과 휨변형을 정확히 구하는 해석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으로서, 재료특성을 모델화하기 위하여 희귀분석을 이용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관계와 사다리꼴 응력모델을 검토하여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내력과 변형의 해석방법으로서는 단면을 요소분할하여 재료의 응력-변형률관계를 이용한 모멘트-곡률관계의 해석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본 연구는 재료특성의 불확정 변수와 해석시의 반복계산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확률적 개념을 이용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방법을 도입하여 내력 및 변위성능을 합리적으로 평가하였다.
        4,000원
        166.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물의 실제적인 단부경계조건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인접부재의 강성을 비선형거동과 부합시켜 해석하고, 인접부재의 단부구속효과를 고려한 중심축하중을 받는 장주의 극한강도를 해석하고저 해석모델을 정립하여 보-기둥의 2차강성매트릭스 해석법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해석하는데 있다.
        4,300원
        16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단층 구조물의 구조 부재 위치에 대한 비파괴검사법을 이용한 추정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둥, 벽체, 보 및 슬래브로 구성된 실험체를 제작하고, 기존 추정식과 비교 과정에서 정확한 분석을 위해 오차율 비교와 모평균 구간 추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접근을 통한 신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와 코어시험 결과를 비교한 전체 평균 오차 율은 18.8%, 반발경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와 코어시험 결과를 비교한 전체 평균 오차율은 20.1%가 도출되어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재별 신뢰성 부분에서 초음파속도법과 반발경도법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물 안전진단을 하기 위해서 각각 벽체 부재와 보 부재를 중심으로 압축강도 추정 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6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철근 콘크리트 내 강제 부식된 철근의 단조가력(Monotonic loading) 부착성능을 파악하고, 추후 해석모델 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전 연도에 진행된 연구(철근 콘크리트의 가속 부식 실험 방법 정립 및 부식 특성 분석)를 바탕으로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부식이 진행되었다. 철근의 직경, 철근 부식도,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실험 변수로 지정되었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체 제작한 인발 시험기를 활용하여 실험 변수에 따른 철근의 콘크리트 인발 거동을 실험하였다.
        16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로 보강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인장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피비 1%의 강섬유를 혼입하여 직접인장강도 시편과 3점 하중재하 휨 실험을 위한 프리즘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균열 유도를 위하여 시편 중앙에 노치를 설정하였으며, 각 평가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콘크리트의 균열 후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인장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응력-변형률 곡선을 분석하였으며, 3점 하중재하 휨 실험을 통하여 하중-CMOD 곡선을 얻고, 역해석을 수행하여 응력-변형률 곡선을 분석하였다.
        17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상하단 철근의 영향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강도를 평가하고자 단면의 상하단 철근의 R값을 변수로 비틀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캔틸레버 형태로 총 2체를 제작하였으며, 1000kN의 액추에이터 2대 를 이용하여 가력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상하단 철근의 영향에 따라 비틀림 내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17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축물 붕괴사고 빈도수가 증가하면서 안전진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신뢰도 높은 안전진단기법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2018) 자료에 따르면 노후건축물 수에 비해 안전진단관련 전문기관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 값과 코어 시험을 이용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추정오차율 비교와 신뢰도 구간 추정을 하고, 최소인원으로 신속하게 효율적인 구조물 안전진단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72.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강섬유의 혼입이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실험적으로 검토되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 100과 150 MPa의 초고강도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 폴리프로필렌섬유는 0.15 vol%, 비정질강섬유는 0.3 및 0.5 vol%가 혼입되었다. 시험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섬유혼입 조건에 따라 6수준이 제작되었고, ISO-834 가열곡선에 의해 가열되었다. 결과로써 폴리프로필렌섬유와 비정질강섬유가 혼입된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제어에 있어서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섬유가 형성하는 공극네트워크를 통해 수증기가 이동하는 효과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정질강섬유 0.3v ol% 혼입률에서는 폭렬제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0.5 vol%의 비정질강섬유가 혼입될 경우에는 수증기가 이동할 수 있는 균열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콘크리트 폭렬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수분막힘층(moisture clog)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3.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the applicability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ing the measurements of non - destructive testing techniques to identify the strength of concrete in the current state and to predict future strength. We also want to develop analytical techniques suitable for the strength evaluation of concrete among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17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strength correction factor to compensate the strength delay at designed age caused by the temperature drop in low temperature condition. Strength correction factors due to temperature drop T28 were provided using the constant function model.
        17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1,600 MPa strength steel fiber. The fiber aspect ratio and fiber volume fraction used in this study is 80 and 0.75%. The Cylindrical specimens with ∅150×300 mm and the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KS F2403 and ASTM C1609. As the result, specimens with high strength fiber has superior performance then that with normal strength fiber.
        17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y replacement ratio of blast furnace slag fine aggregate and ferronickel slag fine aggregat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natural fine aggregate with steel slag for fine aggregate. Test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steel slag fine aggregate improves the fluidity of concret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as higher than plain concrete.
        17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FRC reinforced by mixing different steel fibers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70 MPa. In this study, The fiber aspect ratio consist of 60 and 80 and tensile strength is 1,100 MPa used. Cylindrical specimens with a ∅150×300 mm were made fo compression test, and prismatic specimens with a 150×150×550 mm were made fo flexural and direct shear tests. Test results show that the superior compression performance was observed in SFRC with Mixing different steel fibers.
        17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s series of studies to provide how to apply coal gasification slag(CGS) as one of byproducts for high strength concrete, from a newly introduced power generation method in Korea, the possibility of using a mixed aggregate with 25 percent of CGS as a concrete residual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CGS at early age was lower than that using CS, but compressive strength at 28 days showed similar levels of strength enhancement.
        18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concrete mixed with electric furnace slag were evaluated. The concrete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the steel slag as coarse aggregate and heavy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From the results,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elastic modulus were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electric furnace s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