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2

        16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에는 매설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한국 연안역에서는 양식어장이라고 하는 특수한 여건과 조업 선박의 어구어법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호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해저케이블에 적용되어 있는 보호공법에는 해양의 저질 상태에 따라서 깊이를 달리하는 매설공법, 연속적인 Concrete mattress 공법, 주철관과 U-duct를 이용한 공법, Concrete bag을 쌓는 공법, 돌을 쌓는 Rock berm 공법, Mortar bag을 쌓는 공법 및 FCM (Flexible Concrete Mattress) 공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보호공법은 설치 해역의 해양환경특성과 친환경적인 공법보다는 해저케이블의 위해요소에 대한 안정성만을 고려하여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을 선정하여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와 수심, 해저질 등의 해양환경특성과 보다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해양환경특성별 적정 보호공법을 제시한다.
        4,000원
        16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계에 한랭 건조한 대륙성 기단이 서해를 통과할 때 서해 연안지역인 인천, 군산, 목포의 적설량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반도 서해 연안지역인 인천, 군산, 목포의 동계(12월~2월) 평균 적설량은 군산이 12.7cm로 가장 많았으며, 목포(9.0cm), 인천(7.8cm)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 지역에서 적설량은 12월과 2월에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인 적설량의 차이는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과 관계하였다. 대륙성고기압은 12월에 중국 화남지방에 중심을 두고 산동반도 및 한반도 서부연안지역을 통과하고, 1월에는 중국 화북지방에서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확장하며, 2월에는 중국의 북쪽지방에서 발해만과 요동반도를 통과하여 한반도의 중부지방으로 확장하였다. 이 대륙성고기압의 확장과 관련하여 인천은 적설이 2월이 12월보다 많았고, 군산과 목포는 12월이 2월보다 많은 적설을 나타내었다. 세 지역에서 대설은 열손실이 100 w/m2 이상일 때 나타났다. 또한, 대설은 대륙성 고기압과 저기압의 배치가 서부지역에 전선이 형성되는 서고동저형일 때 발생하였고, 이때 바람은 4-8m/sec 세기의 북서풍 또는 북풍이 우세하였다.
        4,000원
        163.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logical risk assessment(ERA), developed in Australia, can be used to estimate the risk of target, bycatch and protected species from the effects of fishing using limited data for stock assessment. In this study, we employed the ERA approach to estimate risks to tunas, billfishes, sharks, sea turtles and other species by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using productivity and susceptibility analyses of the ERA based on low(<1.30), medium(1.30-1.84) and high risk(>1.84). Albacore, bigeye, yellowfin, skipjack and bluefin tunas were generally evaluated in the medium risk. The susceptibility of tuna species, however, had higher risks than the productivity. Billfishes were also at medium risk, while sharks were at high risk by the tuna longline fishery. The risk of productivity was generally high, because most sharks caught by the tuna longline fishery have high longevities, i.e., over 10 years, including ovoviviparous species. Susceptibility, which is related with the selection of fishing gear, was also high, because the longline fishery has no gear modifications to prevent bycatch of protected species. Not only target tuna species were influenced by the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but also nontarget species, such as pomfret, mackerels rays, sea turtle were done. Ecosystem-based fishery assessment tools, such as productivity and susceptibility analysis(PSA), have the ability to provide broad scientific advice to the policy makers and stakeholders.
        4,300원
        164.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tagonian toothfish(Dissostichus eleginoides) was investigated in the southeastern Atlantic Ocean during the period of 19 March to 7 July 2007 by commercial bottom longliners. The number of 116 hauls were carried out individually in this study area by two bottom longliners during 111 days. The total catches were 89,559kg(9.91kg/100hooks) and 66,758kg(7.38kg/100hooks), respectively. Most Patagonian toothfishes were caught on the 46-48˚S, 6-11˚E of southeastern Atlantic Ocean. Patagonian toothfish comprised 67.01-92.49%(by weight) of the catches in the southeastern Atlantic Ocean. No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was caught during the surveys. Patagonian toothfish was foun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area, but the density was considerably greater in the layer of 1,300-1,900m, where 49.88% of the fishes were caught. Smaller fishes were generally distributed to the shallow waters and larger fish were more frequently caught with the depth. Mean size of Patagonian toothfish increased with depth of capture. Accordingly economically profitable fishing activities for the Patagonian toothfish fisher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tagonian toothfish by depth.
        4,000원
        16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남해안의 역사, 문화, 관광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학습하기위해 3D 낚시게임을 개발하였다. 흑산도 일대의 지형과 어종, 신안유물을 소재로 지역의 문화자원을 쉽게 학습할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 게임으로 구성하였다. 게임개발기술로는 바다표현, 어장생성, 텍스처 처리, 지형 메시 표현 등의 게임 제작 기술을 개발하였다. 해양에듀테인먼트게임의 활용은 재미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에 대한 교육효과를 쉽게 거둘 수 있으며 지역의 문화관광 활성화와 해양문화콘텐츠 개발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166.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tandardized catch per unit effort(CPUE) of the Korean longline fishery, which has been used to assess the status of stock as an index of abundance, for bigeye and yellowfin tunas in the Indian Ocean. The Generalized Linear Model(GLM) was used to analyze the fishery data, which were catch in number and effort data collected each month from 1971 to 2007 by 5 × 5 degree of latitude and longitud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GLM analysis were year, month, fishing area, number of hooks between floats(HBF), and environment factors. The HBF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while the area was divided into eight subareas. Although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southern oscillation index(SOI) were considered as environmental factors, only SST was used to build a model based on statistical significance. Standardized CPUE for yellowfin tuna showed a declining trend, while nominal CPUE for the speci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4,500원
        168.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성과 1970년 중 후반 이후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전반기의 인도양 해수면 온도는 동아시아 여름강수편차(EASRA), 북서태평양 몬순지수(WNPMI)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지만 후반부에서는 인도양 전 부분에 걸쳐 상관관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와 동아시아 몬순과의 상관성 관계는 봄철과 여름철 각각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봄철의 경우에는 적도 인도양을 중심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반면 여름철의 경우에는 벵갈만 근처의 인도양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수십년 주기의 변동성은 ENSO의 변동성보다 동아시아 여름 강수편차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ENSO보다도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성이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수십년주기의 변동성 차이(후반기 해수면 온도와 전반기 해수면 온도의 차이)를 모델의 강제력으로 주고 AGCM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델 실험 결과 실제 전 후반기 강수량의 차이 패턴인 동아시아 북부의 강수 감소, 한반도와 일본 남부의 강수 증가, 중국 남부의 강수 증가의 패턴이 보였다. 특히 8월의 북서태평양고기압의 확장으로 인한 강수의 증가는 실제 기후변화 차이를 나타낸다. 인도양 해수면 증가로 인한 모델상에서의 대기 순환은 벵갈만-인도양과 북서태평양의 상승기류 중심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주며 북서태평양에는 고기압성 기류를 강화시키고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저기압성 기류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승기류 중심을 북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증가 효과는 동아시아 지역과 북서태평양 지역의 반대위상의 변화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양지역별 해수면 온도의 민감성 실험에서는 적도인도양의 강제력의 경우에 북서태평양 상승기류을 강화하여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영향을 주었다.
        4,800원
        16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가축분뇨 폐기물의 해양배출에 관한 현황 및 정부와 업계의 입장을 살펴보고, 정부(해양수산부 및 농림부)와 업계(대한양돈업협회 및 해양배출협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대책을 검토하였다. 갈등해결을 위한 대책으로서 첫째, 가축분뇨 전량 육상처리의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검토, 둘째, 가축분뇨 육상처리에 따른 민원해결방안의 강구, 셋째, 법제화된 규칙의 시행 가능성에 대한 사전검토, 넷째, 양돈업계나 해양배출업계와 같은 관련 업계를 위한 지원 방안의 강구, 다섯째, 국가차원의 폐기물해양배출제도 전면 재검토 등이 제시되었다.
        4,000원
        17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양정보 추출을 위하여 SAR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수유동 정보 추출을 연구하였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영상의 도플러 쉬프트 정보를 이용한 해수유동 정보 추출은 적용기술의 근본적 한계로 인하여 실제 유속이 아니라 위성궤도의 법선방향에 대한 유속장도만을 제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촬영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해역에서 해수유동을 관측하고, 관측된 해수유동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해수유동 정보를 보완 검증하였다. 위성영상 추출 해수유동정보의 위성궤도 법선방향 유속강도는 관측된 해수유동 유향분포도에 근거하여 실제 해수유동 유향에 맞게 보정될 수 있었으며, 보정된 해수유동 정보는 실제 해수유동 분포를 잘 반영할 수 있었다.
        4,000원
        171.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developed by GFDL on the basis of MOM4 of FMS are examined and evalua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global ocean status. The model employs a tripolar grid system to resolve the Arctic Ocean without polar filtering. The meridional resolu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1/3˚ at the equator to 1˚ at 30˚N(S). Other horizontal grids have the constant 1˚ and vertical grids with 50 levels. The ocean is also coupled to the GFDL sea ice model. It considers tidal effects along with fresh water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This model is integrated for a 100 year duration with 96 cpu forced by German OMIP and CORE dataset. Levitus, WOA01 climatology, serial CTD observations, WOCE and Argo data are all used for model validation. General features of the world ocean circulation are well simulated except for the western boundary and coastal region where strong advection or fresh water flux are dominant. However, we can find that information concerning chlorophyll and sea ice, newly applied to MOM4 as surface boundary condition, can be used to reduce a model bias near the equatorial and North Pacific ocean.
        4,200원
        172.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resents a basic statistical examination on the navigability of ocean-going ship from the point of estimating the time lasting period when propeller racing occurred by using the basic probability theory and the statistics. The propeller rac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akeeping qualities in relation to the safety of the main engine and shafting system. The trend of the racing has been mainly investigated in order to estimate allowable maximum propeller diameter, operation of ocean-going ships, etc.. In those studies, the propeller racing generally and mainly means the situation (propeller exposed) in which the relative motion amplitude between ship hull and wave surface would exceed a depth of point in rotary disk propeller. Therefore, it seems that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and its exceeding frequency of propeller racing have been examined as a principal subject of study as usual. However, the time during which the amplitude exceeds the depth of point, that is, the propeller exposes in the air, must be also one of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trend of propeller racing. Then, this paper proposes a new practical method for estimating the time lasting of exposed propeller related to propeller racing in rough-confused seas on the basis of the linear strip theory and the statistics. And, numerical examples of estimating the propeller racing probability are given for four wide ship forms. Finall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predicting propeller racing based on the time lasting period is discussed.
        4,000원
        174.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극한 해상상태나 돌발적인 환경하중에서 양광시스템의 진수와 인양이 이루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이프의 점핑현상과 이에 의해 유발되는 파이프의 장력변화 및 위해도를 위한 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동적 과도응답 해석은 본 논문에서 제시된 기법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식의 임펄스에 대해 수행되어졌으며, 해석을 위한 모델로 KT-Submarine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계로호' 양광시스템의 진수, 인양 시스템을 선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양광시스템관련 해상작업을 위한 지침이 제시되었다. 정성적인 해석기법의 검증과 비교를 위하여 ROV진수 시 발생 가능한 케이블장력 과도응답을 해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시도한 수학적 모델링과 이상화된 임펄스에 대한 파이프의 과도 응답과정이 충분한 정성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4,000원
        17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의 해양 심층수 자원 기반 환경 연구의 일부로 청결기술을 적용하여 해수 중의 용존 미량금속(Cd, Co, Cu, Ni, Pb, Zn) 농도 분포와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원과 경북 지역에 총 6개 정점을 선정하고, 각 지역마다 최대 채수 수심 각각 200-300m와 500m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본 연구의 미량금속을 위한 연안해수 표준물질(CASS-4)의 분석 결과 각 원소 평균 회수율은 Co의 89.4%에서 Cd의 99.8%의 범위였다. 용존 미량원소의 분포는 해역 및 시기적인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Cd, Ni, Zn의 경우는 영양염 의존형으로 표층에서 낮고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Co, Cu, Pb은 수직적으로 불규칙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동해 심층수 원수의 중금속 농도는 해역별 수질 기준과 먹는 물 기준을 만족하였다.
        4,000원
        177.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현상과 인도양 쌍극자 모드(Indian Ocean Dipole, IOD) 현상의 상호 관련성과, 우리나라 기온, 강수량에 대한 두 현상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1954년부터 2004년까지 51년간 NINO 3 지수, IOD지수, 그리고 전국 11개 지점 지역평균한 월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엘니뇨현상과 IOD현상은 봄과 가을에는 동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인도양에서 해수면온도 분포는 엘니뇨 해에는 남북진동이, IOD 해에는 동서진동 형태가 뚜렷하였다. 엘니뇨 해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에 냉하다우, 겨울철에 온난다우 경향이 뚜렷한 반면에, IOD 해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대기대순환에서도 엘니뇨 해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위도에 통계적으로 신뢰할 만한 편차패턴이 나타나지만, IOD 해에는 그렇지 않았다.
        4,000원
        178.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d the experimental squid jigging fishery conducted by a commercial fishing vessel in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from August to October 2005. Author carried out experimental jiggings of 65 times during 57 days by three type of jigs which were pick jig, soft jig and soft luminous jig. The total catch, effort/day and catches/line-day of northern shortfin squid (Illex illecebrosus) were 12,726kg, 35 auto jigging machine and 3.5kg, respectively. Higher CUPE was observed in September, August and October. Catch ratio of pick jig was higher by 57-86% than those of soft jig and soft luminous jig. Higher catch was recorded at the 42˚55'N, 62˚10'W with surface temperature ranging 18-21℃. The range of the dorsal mantle length was from 13.5cm to 23.0cm with average 17.2cm for female and from 13.0cm to 20.0cm with average 17.0cm for male. Sex ratio showed 55.4% of female.
        4,000원
        179.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from August 13 to October 13 in 2002, using gill nets of different mesh size(30, 33, 35, 37, 39 and 42mm) constructed from two kinds of twine material(monofilament, twisted multifilament nylon web). The relative efficiency of two material gears was expressed as the ratio obtained by dividing monofilament catch by multifilament catch in number. The master selection curve of each material gear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The catch of experimental gears is mostly Pacific saury(98.6%), Cololabis saira. The kinds of bycatch are common squid(0.7%), Pacific mackerel(0.6%), etc. Catch comparisons in the two gears showed that monofilament nylon nets are 1.7 times more efficient. The optimum values in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Pacific saury are 8.28 and 8.23, respectively.
        4,000원
        18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은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인 지구 환경 및 생태계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인류의 번영에 필수적인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세계 주요 해양국가들은 국내외의 해양자원안보를 강화하고 해양안전안보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해양안보를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또한 이들 업무를 추진하는 전문기관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관할해역의 확대와 더불어 산업화, 과학기술의 발달 및 사회문화의 발달에 따른 해양안보의 수요급증, 해양안보의 국제협력 증대 등 해양안보의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바, 해양안보의 집행수단 확보, 정보수집능력의 강화. 교육훈련의 강화 등 해양안보의 확보를 위한 정책의 강화가 요구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