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9

        16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풋고추(청양)의 육묘 온도를 주간온도는 같게 하고 야간온도를 달리하여 유묘의 화아분화와 생장 및 포장에서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육묘기간 중의 야간 온도가 높을수록 고추 묘의 엽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화아분화 및 첫 개화일은 단축되었다. 정식 후 초장, 경경, 분지장, 절간장은 저온구(28/11℃)에서 증가한 반면 고온구(28/21℃)에서 억제되었다. 측지수는 고온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온도 처리에 따라 주경에서 발달하는 1차분지의 수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고추 모종의 생장은 저온구에서 억제되었다가 하우스에 정식한 후부터 점차로 회복된 반면, 고온구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62.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a viewpoint of heat stress at high temperatures and contact thermal resistance, it is confirmed that the optimal structure is the skeleton structure using Cu substrate on the cooling side, which has excellent heat conductivity and the optimal installation method is to adopt a carbon sheet and a mica sheet to the high temperature side, where Si grease is applied to the low temperature side, under pressurized condition. The power of the developed modules indicated 0.5W in an module and 3.8 W with a SiGe module at 823K, respectively.
        16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망사시험관을 이용하여 20, 24, 28 및 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 및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부화율은 에서 100%였으며, 이 온도에서 멀어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졌다. 난기간은 에서 7일 이었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날기간이 길어져 에서 16.7일이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일로 가장 짧았으며, 영기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점점 길어져 5령에서 일로 가장 길었다. 약충기간은 20, 24, 28 및 에서 각각 38, 30, 23 및 18일 이었다. 우화율은 20, 24, 28 및 32에서 16, 41, 72 및 68% 이었다. 암컷 및 수컷성충의 수명은 에서 각각 63 및 60일로 가장 길었고, 에서 각각 20 및 19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전기간은 에서 11일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짧아져 에서 5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수는 에서 67개로 가장 많았고, 에서 21개로 가장 적었다. 발육임계온도는 알의 경우 였고, 1, 2, 3, 4 및 5령충은 각각 9.3, 12.7, 10.0, 11.0 및 였다.
        4,000원
        16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에 큰 피해를 주는 가로줄노린재의 형태적 특징 및 온도별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은 2줄씩 콩잎이나 꼬투리에 산란하고 원형에 가까우며, 암컷 성충의 체장은 9.8 mm, 수컷 성충은 8.7mm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크다. 부화율은 20, 25, 30 및 에서 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알의 평균발육기간은 20, 25, 30 및 에서 각각 10.7, 5.0, 4.0 및 3.0일이다. 에서 1령, 2령, 3령, 4령 및 5령 약충의 평균발육기간은 각각 3.2, 3.4, 3.4, 3.3 및 5.9일로 온도가 증가 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졌다. 각 태별 발육영점은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은 와 65.5일도, 약충은 와 322.8일도, 알에서 약충까지는 와 386.4일도였다. 에서 산란전기간은 10.0일, 성충수명은 암컷이 52.5일, 수컷이 38.2일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수명이 길었으며, 이때 성충 한 마리의 총 산란수는 496개였고, 난괴수는 21.5개였다.
        4,000원
        166.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L.)의 온도별 발육특성과 고랭지배추포장에서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15, 20, 22, 항온조건에서 알의 발육기간은 각각 9.2, 6.2, 5.0, 3.9일이었고, 유충의 발육기간은 각각 40.5, 30.1, 23.3, 21.2일이었다. 또한 알에서 성충으로 발육하기까지 각각 88.3, 63.0, 52.3, 42.8일이 소요되었다.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에 대해서 와 69.4 DD, 유충에 대해서 434.8 DD, 번데기에 대해서 와 344.8 DD이었다. 암컷의 총 산란수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커졌는데, 에서 1262.1개, 에서 1663.8개, 에서 1763.2개를 낳았다. 또한 난괴당 알의 수는 온도별로 각각 99.4, 114.7, 167.9개였다. 도둑나방 성충은 대관령 고랭지 배추재배지역에서 6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발생하였으며, 일년에 2회 발생하였는데, 6월 하순과 8월 초순에 각각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4,000원
        167.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 before oocyte activation in B6D2 F1 mouse. In experiment 1, two embryo culture media (CZB vs KSOM) were evaluated for the development of activated mouse oocytes. Parthenogenetic embryos cultured in KSOM showed better blastocyst development than ones cultured in CZB(56.2% vs 81.0%, p<0.01). Two-hour of pre-incubation before activ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hatched blastocysts in KSOM (22.0% versus 8.8%, p<0.05). In experiment 2, recovered oocytes were pre-incubated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before activatio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by 5 as follows. Group A: pre-incubation for 120 min at 37℃, Group B: pre-incubation at 37℃ for 90 min then at 25℃ for 30 min, Group C: pre-incubation at 37℃ for 60 min then at 25℃ for 60 min, Group D: pre-incubation at 37℃ for 30 min then at 25℃ for 90 min, and Group E: pre-incubation at 25℃ for 120 min before activation. Group A (67.6%) and B (66.7%) showed better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than other groups (Group C: 50.0%, Group D: 49.2%, Group E: 33.3%, p<0.05).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temperature before activation affects the development of B6D2 F1 mouse parthenogenetic oocytes and exposure to room temperature should be limited to 30-min when the oocytes are left in HEPES-buffered medium for micromanipulation.
        3,000원
        17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 발육실험은 15-35, 습도는 60-70%, 광주기는 16:8 (L:D h)에서 수행 하였다. 진딧물 약충 사망률은 초기 1-2령의 사망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사망률이 높아져 32.5에서 36%였으며, 35에서는 1-2령의 사망률이 44%, 3-4령이 56%로 이 온도에서는 진딧물의 발육이 이루어지지 많았고, 3-4령의 사망률이 1-2령의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체약충의 온도별 발육기간을 보면 15-3까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발육기간이 11.5에서 4.6일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온의 영 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32.5에서는 오히려 발육기간이 5.5일로 길어졌다. 발육영 점 온도는 5.이였고, 유효적 산온도는 106.8일도였다. 온도별 발육율은 변형된 Sharpe와 DeMichele의 비 선형 모형 에 잘 적합되었다.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표준화하여 누적시킨 값들은 3개의 변수를 갖는 Weibull function에 적합되었다.
        4,000원
        178.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o save energy in freeze dryer. The objective part in the freeze dryer was a shelf with an electrical heater and cooling compressor. The shelf was a fluid circulation heat exchanger.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helf is generally a feedback control by present and set values of the shelf temperature only, whereas in new control algorithm the circulating fluid temperature and fluid circulating speed were included as well. The control algorithm was based on a concept of refraining the heater and cooler from being in operation if unnecessary. Actuators in use were mainly thyristor for heater, relay for cooling compressor, inverter for fluid circulating pump, etc. Type of Interfaces were RS232C, and digital-analog converter and digital-output converter. Program language was Visual Basic 6.0. Finally, control performance by the new algorithm could be improved in terms of energy saving and accuracy.
        4,000원
        179.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온조건이 애반및불이(Luciolalateralig)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 유충, 용의 발육기간은 15-3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참았으며, 1와 35에서는 발육이 되지 많았다. 부화율은 23 93.3%, 91.8%로 23, 에서 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유충기간은 15에서 341.5 23.2일, 2에서 265.5 17.5일, 에서 250.911.7일이었다. 용기간은 15에서 94.711.5일, 2에서 4179.1일, 에서 18.57.4일이었고, 우화을은 각각 23.3, 89.3, 80.7%이었다. 성충 암컷의 수명은 15에서 18.0일, 2에서 20.4일, 에서 10.7일, 3에서 5.8일이었다. 평균산란수는 다른 온도조건보다 2에서 가장 많았다. 각 태별발육영점온도는 난이 10.6, 유충 14. 그리고 용은 13.1이었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214.8, 1,564.8, 229.2일도이었다. 세대당 순증식을은(R ) 23에서 177.19로써 가장 높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r )27에서 0.019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써 애반딧불이의 발육과 생식에 적합한 온도는 2에서 이었다.
        4,000원
        180.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15 에서 80.6일, 3에서는 27.3일로 3에서 15보다 약 3배 정도 짧았다. 발육온도의 범위는 15-3이었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 생존률은 에서 70.6%로 가장 높았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15에서 12.3일 그리고 3에서 8.0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암컷 한 마리 당 평균 총 산란수는 에서 816.6개로 가장 많았으나, 3에서는 85.4개로 가장 적었다. 세대순증가율(R )과 내적자연증가율(r )은 에서 각각 913.0, 0.175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멸강나방의 성장에 최적 온도는 =25.로 판단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