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4

        16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청남도 천안의 농가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5 품종과 도입품종 5 품종 등 10 품종을 시험한 결과 국내 품종으로는 강다옥과 광평옥 품종이 건물수량이 각각 ha당 20,295 kg와 19,745 kg으로 수량이 많고 후기녹체성이 좋으며 내습성에 강한 특성을 보였으나 강다옥은 착수고가 공시품종 중에서 가장 높아 도
        4,000원
        17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확시기가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 전용 품종인 광평옥을 이용하여 숙기별 3회(유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옥수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ADF 및 NDF 함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TDN 및 in
        4,000원
        17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확시기가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 전용 품종인 광평옥을 이용하여 숙기별 3회(유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옥수수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TDN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섬유소인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숙기별 in vitro 건물
        4,000원
        17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논에서 가뭄조건에 따른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남 영광과 천안의 농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5품종과 도입품종 5품종 등 10품종을 시험한 결과 강다옥 품종이 생육특성과 수량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가뭄에 대해 비교적 수량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조건 재배에서는 강다옥의 건물수량은 21.8 톤/ha이었고 가뭄조건에서 국산품종인 강다옥의 건물
        4,000원
        178.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일리지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돼지 품종과 사일리지 급여 유무에 따른 등심의 품질 특성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돼지품종은 가고시마 와타나베 흑돼지 (B), 삼원교잡종[D (Landrace× Yorkshire)× Duroc], 미국산 버크셔종(A) 등에 대해 각각 시험구와 대조구 20두씩 총120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은 평균 69.3± 3 kg, 시험기간은 평균 66.7± 9.3일, 출하일령은 200〜210일이었다. 사일리지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 (C)에 비해 급여한 처리구 (T)가 조단백질 함량은 많았고, 육색은 밝았으며, 신선육 관 능평가 시 외관, 육색, 상강도 및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stearic산과 oleic산은 낮고, linoleic산, arachidonic산, 필수지방산 및 필수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사일리지 급여 시 단맛 관련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장점을 지닌 반면 육색의 적색도는 낮고, 가열감량과 육즙감량은 많아 다즙성이 낮았으며, 육의 탄력성이 낮고 지방의 밝기는 어둡고 황색도가 높은 단점을 보였다.
        4,000원
        17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된 주요 동계 사료 작물인 청보리 및 호밀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거세 한우의 비육 중기용으로 조제된 TMR의 소 체내 이용성을 배합사료 및 볏짚으로 구성된 관행 사료와 비교하고자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소 3두를 이용하여 3 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관행사료 급여구(대조구)에는 1일 두당 7kg (비육 중기용 배합 사료 5.6kg 및 볏짚 1.4kg, 건물 기준)을, 그리고 청보리 사일리지 TMR구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