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거버넌스에 대한 서구식 혹은 비서국식 접근법의 이분법에 대해 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문제를 제기했다. 비 서구권 유명인사들과 UN 산하기구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해시태그 행동 주의는 어떻게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실현과 디지털 시대 자유주의 세계질서에 이바지할 수 있을까? 해시태그 행동주의와 명사외교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 본고는 1) 참여, 2) 글로벌 청중, 3) 영향 메커니즘의 세 가지 분석적 차원을 도출하고 방탄소년단의 유니세프 친선대사 위촉 사례를 분석하여, 방탄소년단 팬클럽 ARMY의 초국경적 글로벌 운동이 디지털 참여를 통한 글로벌 연대로 이어졌다는 것을 밝혔다. 방탄소년단 의 스토리텔링에 내재 된 자유주의적 가치는 글로벌 청중들이 사이버 활 동에 더 많이 참여하도록 했고, 밴드의 참여는 젊은이들의 플랫폼 역할 을 하는 상향식 영향 메커니즘을 만들었다.
        8,1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은 최근 중국어 연구에서 화두로 떠오르는 ‘양범주’ 이론을 통해, 품사분류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의미범주나 어법범주가 어떻게 양화(量化)되어 나타나는지를 명 사의 속성 대립을 통해 간략히 고찰해 보았다. 본래 ‘양범주’ 분석은 실사의 속성을 기반으로 범주를 분석한 것으로, 명사의 공간성과 동사의 시간성, 그리고 형용사의 정도성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어에서는 개별 단어의 품사 경계가 모호함으로, 본문에 서 제시하는 명사의 양범주는 구문에서 체언으로 기능하는 성분이 어떻게 양화(量 化)되어 명사성을 드러내는지를 의미와 기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 체언의 속 성 양범주인 공간성을 구성하는 ‘공간량’과 ‘물량’이 실제 구문에서 어떻게 인지되는 지를 ‘방위사와 ‘양사’의 대비분석을 통해 접근해 보았다.
        5,200원
        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에서는 형태변화를 나타내는 표지의 결핍으로 두 개 이상의 품사성을 지닌 많은 ‘겸류사’가 많다. 사실 ‘겸류사’의 탄생은 구문에서 품사의 다기능이 지닌 경계 의 설정에 있었지만, 오히려 ‘양사가 형용사를 수식’하거나 ‘부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비정상적 어법구조를 형성하였다. 본문은 어법화의 각도에서 개사와 조사의 어법화 과정을 ‘기능전환’과 ‘품사전성’이라는 두 가지 각도에서 대비하여 살펴보았고, 본래 품사가 지닌 전형적 ‘범주속성’의 ‘임시전환(游移)’현상에 근거하여 ‘기능전환’에 따른 ‘활용’이라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았다. 아울러 “양사가 형용사를 수식한다”는 주장에 대해 기존 ‘명물화(名物化)’ 관점에서 정도성 양범주의 공간화 관점에서 고찰하였으 며, 또 “부사가 명사를 수식한다”는 공간 양범주의 ‘형질화(形質化)’라는 측면에서 양 범주의 정도성을 통해 명사의 윤곽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았다.
        5,700원
        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usage of abbreviations of foreign proper nouns used in media articles based on a basic understanding of Korean abbreviations, and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ir use. Abbreviations of foreign proper nouns are widely used for reasons of economy, ease of identification, and to facilitate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ere are two types of abbreviations. Romanized abbreviations are characterized by strong economy and identifiability but have difficulty conveying meaning, and they also distinguish the social classes of speakers by their knowledge of loan words or understanding of foreign languages, thereby threatening to undermine social integration. In contrast, abbreviations translated into Korean have the advantage of easily conveying meaning and not hindering language accessibility, but they are weak in identifiability and their number remains exceedingly small. The reason for the excessive use of Romanized abbreviations by the government and media seems to be that no provision for Korean translation abbreviations was made earlier.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publicize Korean abbreviations widely, as well as create good Korean translation terms wit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proper nouns into Korean.
        8,6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朝鮮王朝實錄을 기초 자료로 삼아 15세기 명나라 사신의 서화 교류의 구체적인 발생 양상을 분류하여 정리하였고, 題畫詩및 題 跋⋅記文등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서화 교류가 문학 교류⋅우호 외교⋅ 문화 수출 분야에 담당하였던 역할을 밝혔으며, ‘朝中文化交流史’ 및 ‘東 亞藝術史’의 각도에서 15세기 명나라 사신의 서화 교류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15세기 朝鮮使行중 서화 교류의 구체적인 발생 양상은 주로 作 畫留書⋅禮物贈受⋅請書請畫세 가지로 분류된다. 일부 書畫에 능한 명나라 사신은 朝鮮을 방문하는 동안에 서화의 재능을 펼쳐 적극적으로 서화 교류에 나서는 동시에 조선 문인과 詩文唱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서화 교류의 결과물, 즉 그림과 글씨는 詩文唱酬의 대상이 되었고 한시는 당시 서화 교류의 형태를 기록하였다. 15세기 명나라 사신은 양국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고 문화적인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서화를 선물하곤 하였다. 명나라 사신은 귀한 선물을 사양하면서 조선왕실에서 증여한 書簇⋅畫簇⋅法帖⋅書帖등 서화 선물을 흔연히 받 아드렸다는 기록도 서화 교류의 융통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명나라에서는 조선 서화에 대한 생기면서 명나라 사신은 조선왕실에서 적 극적으로 조선 서화를 청탁하기 시작하였다. 15세기 명나라와 조선 간의 서화 교류는 보편성과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詩文唱酬를 진행하는 데 참여 인원이 높은 문학적인 수준을 갖춰야 한다는 상황과 달리 서화 교류는 쉽게 접할 수 있는 교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 많이 배우지 못한 명나라 內史⋅少監도 禮物贈受⋅請 書請畫의 방식을 통해 서화 교류에 많이 참여하였다. 한편, 서화 자체의 특성(휴대성, 적당한 가격, 예민한 문자가 없음 등)은 선천적인 편의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명나라 사신은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친한 조선 관원에게 서화를 선물로 하여 우호 관계를 추진하면서 서로 부담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朝⋅中문화 교류사’ 및 ‘동아시아 예술사’의 시각으로 볼 때 15세기 朝鮮使行중 발생한 서화 교류는 새로운 ‘畫題’⋅畫法을 도입 하여 15세기 조선 畫壇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고, 16~17세기 朝⋅明간 활발한 서화 교류의 성황을 위해 토대를 마련하였다.
        7,700원
        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common nouns, proper nouns do not depend on the situation. So a proper noun is defined as either pointing to a particular object or pointing to a single object. In philosophy, these proper nouns have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linking objects only to language and language extrinsic targets. For these reasons, however, proper nouns were not considered as importan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owever, after ‘the pragmatic turn of linguistics’ in the early 1960s, communication-orient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became important. Because communi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e and proper nouns are closely rela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us of proper nouns in the basic vocabulary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how these proper nouns are presented in the College Entrance Trial Tes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paper seeks to analyze how often the same proper nouns are repeated in the test, how the proper nouns are translated, and whether such translations are consistent. Im Gegensatz zu gewöhnlichen Substantiven sind Eigennamen nicht von der Situation abhängig. Ein Eigenname ist also definiert als entweder auf ein bestimmtes Objekt zeigend oder auf ein einzelnes Objekt zeigend. In der Philosophie ist bekannt, dass diese Eigennamen eine wichtige Rolle bei der Verknüpfung von Objekten nur mit extrinsischen Zielsetzungen von Sprache und Sprache spielen. Aus diesen Gründen wurden Eigennamen im Fremdsprachenunterricht jedoch nicht als wichtig erachtet. Nach der “pragmatischen Wende der Linguistik” in den frühen 1960er Jahren wurde jedoch der kommunikationsorientierte Fremdsprachenunterricht wichtig. Es ist wichtig zu beachten, dass es eine enge Beziehung zwischen Kommunikation und Kultur gibt. Kultur und Eigennamen haben miteinander zu tun. Der Zweck dieses Artikels ist es, den Status von Eigennamen im Vokabular des zweiten Fremdsprachenlehrplans zu untersuchen und wie diese Eigennamen im College Entrance Trial Test /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dargestellt werden. Diese Arbeit versucht zu analysieren, wie oft dieselben Eigennamen im Test wiederholt werden, wie die Eigennamen übersetzt werden und ob solche Übersetzungen konsistent sind.
        5,500원
        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베소서 6장 15절은 주로 ‘복음전도와 영혼구원’으로 환원되어진 교회의 선교 이해를 지탱하는 본문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구약성서의 11가지 용례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에베소서 6장 15절 ‘헤토이마시아’ 해석을 위해서는 (1) 하나님의 백성을 위해 제공하는 포괄적인 신적 예비라는 점, (2) 이 명사에 전제된 ‘하나님의 준비하심’이 근원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되, 그 ‘준비’의 의미는 능동이기보다는 수동 적 의미(what is prepared)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에베소서 6장 15절에 암시된 이사야 52장 7절은 ‘평화의 복음 선포자’ 모티프를 강조하는 듯 보이지만, (1) 에베소서 기자가 하나님의 전신갑주 모티프를 차용하게 하는 이사야서의 ‘신적-전사’로서의 야훼 모티프가 양 본문 사이의 진정한 평행이며, (2) ‘헤토이마시아’ 명사는 이 모티프의 내용/구조와 매우 유사한 본문인 나훔 2장 1-4절에 나타나 며 이 명사는 ‘신적예비하심의 결과물’로 해석된다는 점이 더욱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이러한 고려점들은 에베소서 6장 15절의 ‘헤토이마시아’를 (1)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평화의 복음을 통하여, 하나님이 친히 싸우신 싸움, 하나님이 이기신 그 승리가 하나님의 백성을 위해 가능하게 한 모든 ‘현실’(reality)을 지시하는 말이며, (2)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그 남은 싸움에 참여하게 하심으로 그 백성들이 누리는 동일한 ‘현실’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기를 열망하시는 모든 ‘현장’을 지시하는 말로 읽을 것을 요청한다. 본문의 이러한 독법은 복음전도와 영혼구원으로 환원되 어진 교회의 선교이해를 교정하고 더 포괄적인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교회 안팎의 모든 현장으로 보냄 받은 영적전사들의 공동체라는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질 수 있게 한다.
        7,800원
        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orts on the semantics study regarding the words expressing ‘Space’ in Japanese. The previous studies on Japanese spatial nouns were focused on individual meanings of the vocabulary. The present study, however, sought to categorize each space to each spatial noun in order to sort spatial nouns more systematically. It was found that unlike region-reference spatial nouns, direction-reference spatial nouns could be used in both exterior region-reference and partial region-reference. Partial region-reference is classified with boundary region-reference and interior region-reference. Furthermore, in order to make theoretical frame for translating of nouns which have various meaning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ntence structure of Japanese spatial noun /mae/, and proposed “ambiguity analysis rules of spatial noun /mae/. This rule is propos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meaning of /mae/ is determined by the meaning of predicate and the property of reference. This rule also contributes to a job of translation related to ambiguities of spatial-nouns.
        4,600원
        10.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ent of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ypical structure of nominal expressions in Mandarin Chinese is analyzed as [DP [NumP [ClP [NP ]]]]. (2) NP is a lexical category which describes the contents of entities or notions. (3) NumP is a functional category which denotes the number of entities described by a noun, and ClP, too, a functional category which makes nouns of Mandarin Chinese countable. (4) DP has the function of mediating between the description provided by NP and entities in the real world the description is applied to. It gives referential meanings such as “Definite”, “Indefinite”, and so on. (5) When D is lexically filled, DP has a definite referential meaning. A null determiner functions as an existential operator to produce an indefinite meaning. (6) A DP with a null determiner can appear only in the lexically governed position due to Empty Category Principle. (7) A sequence [Num+Cl+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wo structures, a DP with a null determiner and a NumP. (8) Bare nouns can be interpreted as “indefinite”, “definite”. An indefinite bare noun has the structure of [DP e [NP N ]] and a definite bare noun, [DP Ni [NP ti ]]. (9) In general, pronouns and proper nouns always carry a definite referential meaning and so can appear in D. (10) The pronouns and the proper nouns appearing in N do not denote a specific entity. Their meanings are similar to common nouns which denote types or kinds of entities. (11) NP"s can not be used as an argument but as a predicate.
        6,100원
        1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bout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Japanese spatial nouns. The three types of frame of reference proposed by Levinson (1996), classifies whole static spatial arrays in the following way: (i) Intrinsic frames of reference (not discussed here), (ii) Absolute frames of reference (not discussed here), and (iii) Relative frames of reference (discussed here). We could classify spatial nouns into two major classes; territory (dimension 2, 3)-oriented and direction (dimension 1)-oriented nouns. The territory-oriented nouns concern a territory of the reference object. The direction-oriented nouns concern the direction of a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such as “X no migi (the right of X)”, “X no temae (in front of X)” and so on. And territoryoriented spatial noun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subclasses: designating internal location of the reference object (internal), designating a location apart from the reference object (external), and designating a location on shape of the reference object (boundary).
        4,200원
        1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조 초기에 편찬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中平稱詞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의 고문에서 사용된 二人稱平稱詞의 종류는 ‘汝’, ‘女’, ‘若’, ‘而’, ‘爾’, ‘乃’, ‘戎’ 등 7가지로 다양하다. 고려조에 발간된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서는 ‘汝’․‘爾’․‘若’․‘而’ 등 4 가지의 이인칭 평칭사가 두 책에서 동시에 수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조선조에 발간한 高麗史에는 고려시대에 사용되던 ‘而’가 사용되지 않고, ‘而‘와 통사적 특성이 동일한 ‘乃’가 새로 사용되었다. ‘汝’․‘爾’․‘若 등은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女’․‘而’․‘戎’ 등은 수용되지 않았다. 이들의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면 중국의 고문에서 쓰인 용법과는 달리 쓰여진 면이 보이고, 또한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의 용법과 다른 점도 발견된다, 개개대명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汝’는 중국의 문장에서와는 달리 修飾語와 被修飾語사이에 관형격 조사 ‘之’가 배합되는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의 고대 문장에서는 ‘汝’가 관형어로 잘 쓰이지 않는 현상이 특징이었으나 􋺷高麗史􋺸에서는 관형어로 쓰인 경우가 주어나 목적어로 쓰인 횟수와 대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若’은 모두 ‘若等’․‘若輩’․‘若曹’ 등의 복수의 형태를 취하여 문장의 主語와 冠形語로만 사용되었다. ‘爾’는 단독으로 쓰여 복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관형어로 쓰인 ‘爾’와 被修飾語사이에 ‘之’가 배합된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지시대명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遠稱(彼), 근칭(此), 不定稱 (其)등으로 쓰였으나 高麗史에는 ‘近稱’과 ‘遠稱’으로 쓰였다. ‘乃’는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는 이인칭대명사로 사용되지 않았다, 高麗史에는 대명사로 사용되었는데, 모두 관형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에서 ‘乃’가 관형어로만 사용된 어법상의 특성이 조선조에 다시 수용되었다.
        6,300원
        1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assical Chinese and English are grammatically similar. So We can learn classical Chinese by using English grammar which we have learned for a long time. There are many kinds of word classes in English and classical Chinese but only noun and verb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Chinese noun`s usage is similar to that of English in word order. But there are different forms in their shape of a word. Chinese noun does nor change its`form although it is moved to the other part in the sentence and the case is changed. On the other hand, English noun changes its` form according to singular plural and case. Chinese verb does not change its` form like English even though number and tense are changed. Except for this, there are many resemblant shapes of using verbs between Chinese and English. We can find out the usage of transitive intransitive auxiliary verb awarding verb causative verb and be have verb is very similar. The western people are accustomed to logical and analytic thinking. They like to classify somewhat. But eastern Chinese people do not so. they like to be significant inclusive and adaptable. We can also find out the perce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ir language habits.
        8,000원
        16.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8.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20.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