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은 『小學文獻序跋彙編』에 수록된 역대 소학 관련서의 서와 발 중 학자들의 “정자”와 관련된 이론적 견해를 발췌하여 학술사의 관점에서 정자관을 정리하고, 역대 학자들의 정자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오늘날 진행 중인 한자의 표준화 작업이 지니는 실제적 의미도 고찰해 보았다.
역대 학자들의 정자관은 각각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과학적 정자관은 한자 발전의 객관적 법칙을 따르고, 한자의 구성 원리에 맞는 정자 표준을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역대 학자들의 과학적 정자 방법 및 경험을 수용하고 현대 사회의 실제 문자사용 양상과 부합하는 올바른 정자관을 견지하며 효과적인 한자 표준화 방안을 세워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ases on primary sources written in Sinograph and Nôm (vernacular Vietnamese script) by scholars in premodern Vietnam, to make a pedagogical analysis on the role of the Sanzijing (三字經) in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premodern Vietnam. Thus, this paper claims, the study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premodern Vietnam should be covered from its starting point, the primary level, to fill the gap of a partial concern by modern scholars of the high level.
중국 고대 한자교육인 “識寫分流, 先認後寫”의 전통에 따라 “三, 百, 千”등 중 국 전통 교재의 편찬 경험을 흡수하고 중국 현대 어문교육 연구의 성과를 병합하 여 소학 1, 2학년 어문 교재는 아래와 같은 이념을 가지고 있다. (1)많이 알고 적 게 씀으로써 아동들이 조기에 독립적으로 독해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인식 하고, 쓰고, 말하는 분별화된 교육이 하나로 합일되게 함으로써 서로 간섭되고 영 향을 미치는 관계를 통해 최대한 상호 작용을 하도록 한다. (2)한자교육 교재는 최대한 아동들의 일상 언어 생활의 실제에 부합하도록 하여 아동들의 인지 발달 에 가장 가깝도록 함으로써, 아동들의 언어 발전을 돕도록 한다. (3)일정한 양의 기본 한자를 인식한 후 병음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한자에 대한 흥미를 만족 시키고 조절함으로써 한자 병음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도록 한다. (4)여러 한자 학 습 방법을 채용한다. 각 한자교수학습 방법은 각기 그 응용의 장점과 한계가 있으므로, 서로 보충함을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한자교육의 이념을 사용하여, 교육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 반응을 살핌으로써 (1)아동의 한자 교육에 대한 흥미를 배가 시키고, (2)아동이 독립적으로 한자를 습득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식자량을 증대시키고, (3)아동이 여 러 한자 교육 방법을 습득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문은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 성과들을보고 하고 더 나아가 중국 소학 어문 교재의 “識字寫字”의 개선점과 관련된 여러 생각과 전략을 구성해 보았다.
A Chinese character can be described by a set of characteristics, including stroke number, orthographic structure (e.g. ‘記’ has a horizontal structure vs. ‘隻’ has a vertical structure), symmetry (e.g. ‘開’ has a symmetrical orientation vs. ‘劉’ has a asymmetrical orientation), number of multiple‐character words it is included as a morpheme (e.g. ‘角’ appears in the words ‘角色’, ‘角逐’, ‘角落’ etc.), whether or not it is a phonetic (e.g. ‘交’ and ‘跤’ have the same pronunciation) ort radical, number of neighbors, frequency of appearance in a certain character corpus, and frequency of usage by children in composition etc.. It was accepted since Wang’s work that a character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should, or can, be taught earlier than other character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an elementary school graduate should learn about 2700 characters. Although the characters and when they should be taught to the children were published in 2008, the ground work of this line of research was conducted by Wang (1930), Hu (1935) and others in the 1930s according to Ai (1955). As far as we know, there was not any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studied Chinese characters’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and use the research results as a basis to select the characters for children to learn.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pertinent to these characteristics for a set of characters, and to find a guiding principle for the decision that whether or not a character should b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and which grade it could be taugh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for about 6000 characters were collected using two methods. The first was to collect information relevant to this research from literature. For example, the frequency of a character used in newspaper was obtained from Academia Sinica Balanced Corpus of Modern Chinese, and the frequency of a character’s usage in children books was from the Characters Used in Children Books Research Report. The second method to collect the information was to compute or conduct studies by the researchers of this research. The software C‐CAT was used to compute a character’s stroke number, orthographic structure, role as phonetic and radical, number of neighbors etc.. The writings of 2911 school children in composition classes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different characters used by the children, and the total frequency that a character used by them, and the earliest grade that a character was used were collected. Finally, in order to make the information useful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haracter should be taught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sked to provide their opinion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istics discussed above in selecting characters for children to learn. Based on this research’s results, the researchers selected a group of characters which could be taught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suggested when was the earliest grade that they could be taught. The characters will be available online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crl.psy.ntu.edu.tw/.
본 연구는 고대 종법사회에서 시작된 효가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현재까지 논의되고 있음으로부터 출발한다. 그간에 ‘효’의 연구는 주로 인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져왔으나, 근래에 들어 사회학, 의학, 법학 등의 대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본 논문 역시 효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실천방법을 찾고자 ‘인문학’, ‘심리학’, 그리고 ‘코칭학’이라는 별개의 학문을 접목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언론사에서 효의식과 효행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던 바, 효에 대한 의식은 높이 나타났지만, 효행 실천 항목에서는 잘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얻었다는 내용 때문이다. 즉, 효는 알고 있어야 할 덕목이 아니라 실천해야하는 방법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은 점이다. 두 번째 이유는 ‘효와 충이 상충’하는 문제와 ‘부모를 봉양한 자녀의 효행이 부모를 떠나 외지에서 성공하고 귀향한 자녀의 효행에 비하여 초라해지는’ 주관적 평가에 대한 모순을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효행의 실천을 목적으로 『소학』에 나타난 내면적 효의내용을 살펴보고 효행의 코칭 방법을 제안하는 범위로 제한하고자 한다. ‘효’의 내용을 분석하고 ‘효’를 실천해야하는 이유와 방법을 찾아보기 위해 먼저, 효의 전범으로서의 위상을 지닌 『소학』을 텍스트로 택하였고,『소학』에서 효와 관련된 내용만을 선별한 후,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전근대, 근대, 탈근대 자료들이 제시하는 불후의 통찰들을 모두 받아들인 켄 윌버의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코칭 방법론을 도구로 하는 실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Korea, there are some ancient dictionaries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We digitized and built corpus of ancient dictionaries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We hope that the Chinese cultural circle of scholars to share these resources. Use of these resources to study in the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lexicographer learn history and culture of science, the communication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history of the development.
싱가폴은 사회 언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의 대규모 중 국어 교육상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적게 가르치고 많은 것을 학습하자”에서 “즐 겁게 학습하고 실제 생활에 잘 적용하자”라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필자가 생각 하기에 이는 교수 전략상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나, 싱가폴에서의 중국어 한 자 교육의 핵심 문제인 “무엇을 학습하는가”(자종의 문제), “얼마나 학습하는가” (자량의 문제), “어떻게 학습하는가”(자서의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본문은 2007년 싱가폴에서 출판된 『小學華文』12권의 교재 중 핵심 단원 부분과 방과 후 독서 수업교재로 사용되는 『記憶像一個箱子』, 보충 교재인 『新朋友』, 『新天地』, 『新列車』등의 대표적 독해 읽기 자료, 중국어 신문인 『聯合早報』중의 국제, 국내, 교육 기사를 중심으로 한자의 빈도수를 조사하고, 이러한 네 종의 자료를 이용하여 코퍼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이를 자종, 자량, 자서, 누적률, 누적빈도율 등의 방법으로 각 읽기 독해 자료의 통계를 작성하고,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 다. 이를 토대로 현재의 싱가폴 소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서 학습하는 한자 가 현재 싱가폴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사용현상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어떻게 하면 싱가폴에서 사용되는 초등학교용 한자 학습 교재가 더욱 특색화, 과학화, 합리화, 시스템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 면서, 『어린이용 고빈도 한자표(兒童高頻字表)』를 제시하여 이를 교재에 실제 사용 할 것과, 다시 이를 학습의 순서에 따라 『어린이 상용한자표(兒童常用字表)』를 제작하여 이를 “滾動式” 한자교육법과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욱 흥미롭게 한자를 학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이것이 싱가폴 교육부가 큰 목소리로 주장하고있는 “즐거운 학습”이라는 교육이념과 “실제 생활에 잘 사용하 자”라는 교학법 주장에 부응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one of the stage results of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China’s Primary School Chinese Teach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 key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in 2009, included in the National Education Science "Eleventh Five-Year Plan"( Project approval No. DHA090170). The research mainly includes data statistics and analysis of a literacy diagnostic test survey for primary school entrance students so that it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nd different editions of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of Chinese literacy, such as editions from People's Education Press, Jiangsu Education Press,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Southwest Normal University Press, Jingshan Press, and for exploring different versions of words, quantities, orders, and ways of verifying the new idea of literacy education “Harmony and Order” that best fi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regions.
Singapore changing social language environment has brought about two major reforms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namely “teach less and learn more”and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The objective is to motivate pupils to learn more and encourage the capable pupils to help the weaker pupils in the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reform is just a breakthrough in teaching strategies, but the core problem is not resolved. The primary school Chines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has not been resolved which include 3 basic aspects like word types, word content and word order. In this thesis, the author focuses on word frequency survey taken from the following: (1) 12 core units in the primary school Chinese text books from the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 Reading books which are widely used by Singapore primary school “Memory is like abox”. (3)The front page of the auxiliary publications including "New Friends", “New World ", "New Train ”. (4) The front page of the Singapore Chinese newspaper "Lianhe Zaobao" which includes international, domestic and educa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word species, the amount of words, word order and coverage of the four databases, statistics are compiled, analyzed and researched. It’s noted that the current Chinese languag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primary schools is not so adequate. The literacy teaching materials in Singapore can be made more adequate by making them more featured, more scientific , reasonable and systematic. The author proposes the creation of two unique charts relevant to the Singapore children. Firstly "children’s high-frequency words” chart to be used for literacy teaching materials and secondly“ children’s common usage words” chart to integrate with literacy teaching using' rolling strategy' and put it into the lesson plan design process, so that learning is made more interesting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ion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
주자학은 天人合一이라는 우주인간론적 비전을 골격으로 한다. 이 테제는 근대적 심성에는 매우 비의적이고 난해하다. 이 사고는 인간의 본성을 우주적 전체속에서 읽으며, 이는 인간을 우리가 욕망하는 것과는 다른 지평에서 읽을 것을 요구한다. 주자학은 우리가 역설적이게도 우리의 본성을 잘 모르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의 ‘본성’은 유전적 편향과 후천적 습관때문에 자각되지 않고,덮여있다" 주자학은 이 덮여지고 때묻은 본성을 지속적 자각을 통하여 벗기고 씻기는 것을 공부와 훈련의 과제로 삼는다. 그 과정에서 사적 자아는 공적 자아로 변환되며,자아와 타자를 분리하고 있던 장벽이 사라지면서 언간은 타물과의 우주적 소통을 확보한다. 그것을 전통적으로 철학적으로는 物我-如라는 통일로, 또는 문학적으로는 J홈 飛魚뿔이라는 자연 생명의 약동으로 묘사했다. 그것은 동시에 유가적 가치의 중심인 仁훌禮智가 발현되는 體用의 기제이기도 하다. 퇴계는 이런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돈했다. 이 논문은 퇴계가 정리한 주자학적 본체론을 제 1『太極圖』와 제 2『西銘圖』률 중심으로 해설하고, 이어 그것의 회복을 위한 공부의 규모와 방법을 제 3『小學圖』와 제 4『大學圖』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중심 에 지속적 자각의 파지로 번역될 수 있는 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