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항공방제의 환경 영향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경남 양산 금정산 일대를 무처리구와 처리구(3회 살포 및 5회 살포)로 구분한 뒤, 유인항공기로 살포된 티아클로프리드가 비표적 절지동물인 무당거미의 생물적 형질(체중, 체장, 머리가슴의 폭 및 뒷다리 전체 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7년 10월 11일에 각 조사구에서 성숙한 무당거미 암컷 성충을 채집하였다. 조사 결과, 무당거미의 생물적 형질은 살충제 살포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라졌는데, 특히 체장, 머리가슴의 폭, 그리고 뒷다리의 전체 길이는 항공방제구에서 채집된 무당거미가 무처리구에서 잡힌 개체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살충제 살포 횟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무당거미의 형태적 특성은 살충제 살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 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개체군의 건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장기적으로 살충제(직접 효과)와 먹이 가용성(간접 효과)에 대한 무당거미의 반응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금정산 소나무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문화경관림으로서의 소나무림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금정산 소나무 식생구조 분석을 위해 산성을 기준으로 내부 소나무림에 10개소, 외부 소나무림에 8개소, 총 18개소의 조사구(단위면적: 400m2)를 설정하였다. TWINSPAN분석결과 총 6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군집은 졸참나무-소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곰솔-소나무군집, 소나무-곰솔-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굴피나무군집이었다. 각 군집의 층위별 상대우점치 및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각각의 소나무군집은 졸참나무 또는 개서어나무군집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수령분석결과 산성내부 군집은 32~37년생, 산성외부 소나무군집은 44~57년생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0.4826~1.2499이었다. 소나무와 주요 수종간 상관관계는 때죽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산성내부는 소나무군집에서 졸참나무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측되었으며 산성외부는 소나무-곰솔군집에서 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측되었다. 소나무 경관림 관리방안으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참나무류 및 교목성상의 낙엽활엽수 간벌과 소나무와 경쟁중인 낙엽활엽수의 수관전정 등의 관리가 필요하였다.
        4,200원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탐방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금정산 북쪽사면의 생태적 특성을 평가하여 식생 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보면, 조사구1, 2, 3, 6, 7, 8은 산능선으로 해발고는 637 m에서 749m이며, 경사는 5°에서 15°의 신갈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사구4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05m, 경사 5°의 상수리-떡갈나무 군락, 조사구5는 산능선으로 해발고 645 m, 경사 5°의 졸참나무 군락, 조사구9는 사면으로 해발고 623 m, 경사 15°의 신갈나무 군락, 조사구10은 사면으로 해발고 380m, 경사 20°의 비목나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의 수고는 8-15 m, 아교목층의 수고 2-7 m, 관목층의 수고 0.8-1.5 m, 초본층의 수고 0.1-0.7 m으로 조사되었다.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조사구1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앞으로 이들 수종이 교목층을 구성할 것으로 생각되며, 조사구2, 조사구3, 조사구4, 조사구8, 조사구9, 조사구10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비목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당분간 현재의 식생군락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5와 조사구6은 현재 소나무가 우점되어 있으나 장기적으로 신갈나무 군락으로 천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초본의 우점도 및 군도를 분석한 결과, 애기나리와 족제비고사리가 대부분의 조사구에서 다수 우점하고 있었다. 단위면적(400㎡)당 출현종수는 조사구10에서 2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조사구2에서 10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등산객의 이용밀도가 높은 조사지역의 식생은 천이가 진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공조림수종은 천이를 방해하고, 다층구조 식생을 이루지 못하게 하여 산림을 생태적으로 불안정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식생관리방안으로는 본 조사 자료가 기초자료로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며, 식생구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한다면, 탐방객에 의하여 훼손된 도시림의 식생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5,100원
        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 금정산 범어사계곡의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군락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단위면적 100m2의 조사구 28개를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기법중의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류한 결과,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군락 I),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군락 II), 개서어나무-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 III), 개서어나무-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군락 IV),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군락 V), 편백-개서어나무군락(군락 VI)의 6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0.3832~1.0450의 범위이었으며 인공식재한 편백나무가 우점하는 군락 VI의 종다양도가 가장 낮았고 개서어나무와 기타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군락 I과 군락 V의 종다양도가 가장 높았다. 단위면적당(100m2) 종수는 6.8±3.2종이었다. 금정산 범어사계곡의 개서어나무군락은 기후극상림으로써 보전가치 높으므로 지속적인 보전관리대책이 요구된다.
        4,000원
        9.
        199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식생단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지역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금정산(북위 03' ~17', 동경 01'~05')의 현존삼림식생을 중심으로 ZM 방식으로 식생분류를 하였고, 아울러 군락의 안정성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금정산 일대의 상림식생은 10개군락, 9개군, 2개소군으로 분류되었다. I. 개서어나무군락(群落)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A. 노각나무군(群) (Stewartia koreana group) I-B. 쥐똥나무군(群) (Ligstrum obtusifolium group) I-C. 초피나무군(群) (Carex humilis group) II. 굴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 졸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serrata community) III-A. 거북꼬리군(群) (Boehmeria tricuspis group) III-B. 전형군(典型群)(Typical group) IV. 등나무군락(群落) (Wisteria floribunda community) V. 신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V-A. 조릿대群(Sasa borealis group) V-B. 그늘사초군(群) (Carex lanceolata group) V-B-1. 족도리소군(小群) (Asarum sieboldii subgroup) V-B-2. 해변싸리소군(小群) (Lespedeza maritima subgroup) VI. 소나무군락(群落) (Pinus densiflora community) VI-A. 사스레피나무군(群) (Eurya japonica group) VI-B. 전형군 (Typical group) VII. 떡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dentata communty) VIII. 소사나무군락(群落) (Carpinus coreana community) IX. 해송군락(群落) (Pinus thunbergii communily) X. 상수리나무군락(群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2. 16개 식생단위중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Eurya japonica group)이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을 경계하는 지표식생군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노각나무군은 치묘와 치수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상충임관아래에서는 천연갱신이 어려운 종으로 사료되었다. 4.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과의 관계에서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해송군락은 주로 해발 500m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해발 5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식생단위와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은 사면중부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해송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사면중부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4,600원
        10.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정산 북문 산지습지의 생태적 특성 및 훼손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자연환경 및 자연생태계 특성 파악, 훼손 및 교란 실태 파악으로 구분하였으며 현황에 대한 정확한 도면화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경사도 5° 미만이 약 80% 이상으로 평지형 습지에 해당되었으며 화강암 기반 위에 이탄이 쌓인 구조로 집수구역에 입지하여 급격한 물 유출이 없는 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상은 총 41과 104속 143종이 분포하였는데 진퍼리새, 감자개발나물, 키큰산국 등 보호가치 종이 분포하였다. 현존식생은 진퍼리새, 기장대풀, 사초류 등 습윤지성 초지(14.22%)와 참억새, 비노리 등 건조지성 초지(12.56%)가 대표적이었는데 진퍼리새와 참억새, 관목이 혼생하는 지역은 건조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결국 대상지는 수계 단절, 이용압, 나지화로 인한 토사 유입 등에 의해 보호가치가 있는 식생의 면적은 좁아지는 반면, 참억새 등 건조식생은 넓어지는 등 건조화 진행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금정산 산지습지의 훼손현황을 크게 식생지역과 나지지역으로 나누어 보면 먼저, 식생지역에서는 상부 산림의 하층식생의 훼손과 나지 및 등산로 변에 조성된 인위적인 완충녹지, 건조지성 식생의 미 관리가 주 훼손요인이었다. 나지지역은 답압과 수계 유출, 나지로 인한 토사 유입, 귀화종 확산이 큰 훼손요인이었다. 등산로와 주차장이 대표적인 나지지역으로 잦은 등산객의 방문과 차량통행은 토양고결의 원인이 되며 원효봉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 및 지표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쳤다. 등산객과 차량의 출입은 귀화종 및 건조지성 식생을 유입할 수 있으며 나지 지역을 확산시킴으로써 강우시 토사유입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 복원, 습지복원 등을 통해 토사 및 유기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지표수 및 지하수 연결, 건조화 또는 훼손지 확산을 방지하여 산지습지를 온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산지습지의 보전․관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지속가능성의 달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번의 홍수와 가뭄 순환을 통해 적응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십수년간의 관찰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므로(Gorham and Rochefort, 2003) 정확한 생태적 특성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단기적인 관리보다는 모니터링이 전제된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본 연구는 식생학적 측면에서 금정산 북문 산지습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하였으나 생태계는 생물과 무생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생육기반에 해당되는 토양 특성, 소비자에 해당되는 야생동물에 대한 상세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건조화 및 훼손 방지, 생물서식처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의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단기적인 조사로는 기후변화와 연계된 식생변화, 훼손원인 등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장기적인 모니터링 계획에 따른 생태계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11.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undwater recharge characteristics in a fractured granite area, Mt. Geumjeong, Korea. was interpreted using bedrock groundwater and wet-land water data. Time series analysis using autocorreclation, cross-correlation and spectral density was conducted for characterizing water level variation and recharge rate in low water and high water seasons. Autocorrelation analysis using water levels resulted in short delay time with weak linearity and memory. Cross-correlation function from cross-correlation analysis was lower in the low water season than the high water season for the bedrock groundwater. The result of water level decline analysis identified groundwater recharge rate of about 11% in the study area.
        12.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ing, ground and thermal waters in the vicinity of Mt. Geumjeong and Mt. Baekyang area have been sampled and analyzed for major and minor elements. According to the Piper diagram, spring water belongs to Ca-HCO3 and Na-HCO3 types, groundwater to Ca-HCO3 type, and thermal water to Na-Cl type. Based on the phase stability diagrams of [Ca2+]/[H+]2, [Mg2+]/[H+]2, [K+]/[H+], and [Na+]/[H+] vs. [H4SiO4], spring water, groundwater and thermal water are mostly in equilibrium with kaolinite.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s three factors (factor 1, 2 and factor 3) for the spring water, the groundwater and the thermal water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influence of the dissolution of feldspar, calcite, anthropogenic source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s) and salt water.
        13.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plant resources of the Mt. KumJung(801m), Pusan, Korea were discussed. The field works was done for about twenty times in nine major areas from March, 1995 to Octover, 1996.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summarized as 103 families, 312 genera, 493 species and 564 kinds. The fourteen kinds of artificially planted, ten kinds of Korean endemics and twenty-nine kinds of Korean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the area were revised and compiled in the list. The flora of the area were categorized into the South-coast part of the Korean Region, where the species such as Platycarya strobilacea, Quercus serrata, Eut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Quercus acutissima were roled as major floristic components in the Korean Region and endemized in the south-cosat part of Korea. The natural communities such as Pin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pinus laxiilora Community, Wistaria floribunda Community and swamp vegetation in Bukmun area as well as upland grassland at the summit of Kodangpong were represented for their floristic values in the area. The thirty kinds of medichinal plant, fifteen kinds of ornamental plants and thirteen kinds of edible plants are faced potentially in endangered from the outrageous collections by the local peoples. The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management of the area which enables sustainable use by the local peoples must have established in the near feature.
        14.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ora of Mt. KumJung(801m)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flora of Mt. Hwang-Ryung, Mt. Cheon-Hwang, Mt. Chuiseo.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from March 1995 to Oct., 1996, were consisted of a total 564 taxa; 103 families, 312 genera, 493 species, 1 subspecies, 66 varieties and 4 forms. The Korean endemic plants of this area were 11 taxa, the alpian and endangered plants were 29 taxa, the special wild plants designating by Environmental Agency were 2 taxa and the alpian plants were 18 taxa. Because many plants, being necessary to conserve, are distributed KumJung, but if development is indespensable, destruction of natural ecosystem must be minimized.
        15.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dentified two characteristic turbulent flow cases, weakening and strengthening, which appear at the downwind side. Observations were made two times, Dec. 2-3. 1995 and Feb. 13-14. 1996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site located downwind side of Kumjeong mountain. Meteorological observation system, tethersonde, was adopted to present observation. In the case of the west wind which blows perpendicular to Sanghak mountain located westward from the site, the wind speed highly increased in exponential with height. Therefore, the low level wind speed was so weak just like Taylor(1988)`s review. While the wind speed was intensified at 200-400m layer when the northwest wind blows from the continental Siberian high. We suppose it is because of the strong vertical convergence of flow between the surface inversion layer and the upper one, and also the horizontal convergence along the saddle and valley between the two mountains, Kumjeong and Sanghak-because of Bernoulli`s effect. The inversion layer existed at surface-100m and 500-600m level and the strong wind existed at about 200-400m layer.
        16.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pairs in the vegetation of eastern valley vegetation in Mt. KumJung from September 20, 1991 to October 15, 1992. Eight sites were selected, each being divided into 5 quadrats, and thus 40 quadrats were in total. To know the correlation among plant species the x^2 value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method of Yat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Sneath and Sokal,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species examined can b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However, the relationships are not correlated with pH, water-content,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and mineral content of soil probably due to the environmental discontin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