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는 해안지역의 바위언덕을 중심으로 윷판암각화가 산재해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윷판암각화의 위치와 형태상의 특징에 의거해서 놀이용이 아니라, 밤하늘에 뜬 달의 모양과 위치로 하루의 시간을 알려주는 달 시계의 역할을 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달의 변화를 주기로 한달간의 날짜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리와 조금의 날짜를 알려주는 캘린더의 역할을 했으 니, 이는 농경사회 이전의 어로(漁撈)사회에서의 시계/달력 역 할을 수행한 일종의 천문의기(天文儀器)였음을 논증했다. 그리 고 윷판암각화의 사분원(四分圓)을 시공간에 적용하므로써 동 서남북과 춘하추동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삶의 주기를 규정하 는 기준으로 삼았을 가능성을 분석해보았다. 윷판암각화는 고대 한반도에서 일어나 아메리카 대륙에 까지 영향을 미친 고대문명의 자취이자, 그 이후에도 한국인의 우주 론·세계관과 인생관 그리고 생활습속 등에 걸쳐서 달중심의 문 화를 형성하는 바탕이 되었다고 본다.
        8,4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에 종교학적으로 답하기 위해 폴 리쾨르(Paul Ricoeur)의 미메시스(mimèsis) 이론을 그의 종교적 해석학에 접붙였다. 이 접붙임을 통해 드러나는 종교적 텍스트의 본유적인 기능은 개인과 공동체가 종교적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면서 개인과 공동체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한정적인 시간성(Zeitlichkeit)을 넘어선 영원성(eternity)이나 공(空)과 같은 근원적인 시간성과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보면서 일어나는 영혼의 변형과 서사적 정체성이다. 약한 인공지능(weak AI)의 경우, 인공지능이 지식적이고 교리적인 측면의 기능을 감당하게 되어 영혼의 변형이라는 종교적 텍스트의 본유적 기능이 강화될 것이다.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경우, 인공지능이 앞으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강한 인공지능이 등장하기 전에 지금까지 종교적 텍스트가 형성해 온 다양한 종교적인 서사적 정체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 안에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 공학과의 협업이 강력하게 요청된다.
        5,5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ǎohāor+de’ is composed of the syntactic superimposed form ‘hǎohāor’ and the structural auxiliary word ‘de.’ It is a structure that occurs very frequently in modern spoken Chinese. ‘hǎohāor’ can only act as an adverbial (have a good time) or an attribute (a quite good book in a sentence). ‘hǎohāor’ cannot be used alone, or act as a subject, an object or a predicate. Nor can it modify a noun or a noun phrase directly. However, ‘hǎohāor+de’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as a predicate, a complement, an attribute and an adverbial. Different syntactic functions of ‘hǎohāor+de’ have different semantic features. This is a difficult point for the students who are non-native speakers of Chinese. This paper discusses in detail the syntactic functions and the related semantic features of ‘hǎohāor+de,’ and also tries to probe into the source of it, hoping to provide some help for Chinese language teaching.
        4,600원
        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 불교교단의‘ks.ama’는 승려 자신의 범계(犯戒)에 대한 자각, 그에 대 한 승단 내에서의 시인과 용서, 재발방지 약속 등이 요구된 행위의 기법으로, 무거운 죄의식의 심리상태가 반드시 수반되는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단어가 중국에서‘참마(懺摩)’라는 음사를 넘어‘참회(懺悔)’라는 한 자어로 의역되면서 죄의식을 동반한 심리적 깊이감과 행위의 이미지를 동시에 갖게 되었고, 죄의식을 표현하는 독자적인 의례로서 참법(懺法)이 독립되어 집 단적 참회의식을 넘어 국가적 의례행사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는 재이를 막고 기복을 구하며 공덕을 얻는 세속적 이익추구의 행동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이는 무상(無常)과 무아(無我)라는 불교 고유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것이 었다. 이에 천태 지의(天台智懿) 이후 한자문화권의 불교사상가들은 참법을 사 참(事懺)과 이참(理懺)으로 나누어, 이참이야말로 일체공(一體空)이라는 세계 의 실상을 관할 수 있는 핵심단계로 보고, 오회(五悔) 등의 행위는 사참으로 분 류하여 별도의 수행단계로 간주하였다. 이로써 참회 또는 참법이라는 언어적 행위적 기표(記標, Signifiant)는 의식(意識)과 의식(儀式)이라는 두 가지 기의 (記意, Signifi´e)를 갖추게 되었다. 구원의 종교이자 고백의 종교이기도 한 기 독교의 참회/회개는 당초 타락한 종교문화에 대한 성찰과 그로부터의 각성· 회심이라는 심리상태를 세례라는 상징적 정화행위로 구체화한 개념이었지만, 점차 참회의식과 고백이라는 새로운 행위양식 속에서 복종과 신에 대한 관상 (觀想) 그리고 영혼의 구원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처럼 기독교 전통의 참회와 고백은 행위양식보다는 사고와 성찰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었다. 기독 교와 불교의 참회는 모두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신념에서 출발하며, 궁극적 실 재에 대한 증득과 체현이라는 점에서 상통하는 바 있지만, 불교의 참회/참법 개념에 각별히 의식(儀式)적 넓이와 의식(意識)적 깊이가 더해져 사참과 이참 이라는 두 방향으로 심화되었다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9,300원
        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s and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 auxiliary particle ‘man’ in Korean texts and discourses in order to apply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3,994 examples extracted from Korean written and spoken corpus were examin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ticle ‘man’ has three meanings: (a) limits of objects, events and situation, (b) limits of scope, and (c) emphasis of degree. The particle ‘man’ has the implication of negation of all excluding the preceded words. Furthermore, the distributions of the particle ‘man’ are changeable according to its meanings and contexts. The grammatical items related the particle ‘man’ are ‘man+un (만은), man+i (만이), man+do (만도), man+uro (만으로)’ and ‘ppun+man+anira (뿐만 아니라), N+man+V+umyun (N만 V으면)’ etc., considering the degree of fossilization and transition of their meanings. The particle ‘man’ also has many discourse functions: (a) revising a hearer’s premised expectation or general premised expectation, (b) expressing a speaker’s negative attitudes towards given events or situations, and (c) serving as a discourse strategy to express a speaker’s politeness and to reduce the burdens of a hearer.
        8,0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对‘反而’一词的研究大概始于20世纪80年代。马真在她的论文「说‘反而’」一文中 首次分析了‘反而’的语义背景。之后出现了一系列关于‘反而’的研究论文,内容包括 ‘反而’的语法意义和语用功能以及‘反而’与‘却’、‘倒’等近义词的比较分析。但 是大部分论文都没有提及对‘反而’一词的溯源分析,因此,本文先考察‘反’和‘而’ 的古代字形和字义,从而推测‘反而’词义的来源。据本文研究,‘反而’作为一个词来 使用是从战国时期开始的,之前虽然有并列使用的前例,但并不是作为一个词,而是作为 独立的两个字的结合来使用的。 对‘反而’进行溯源分析之后,本文着手分析‘反而’的现代用法,去了解它的语义 背景以及这些背景的省略形式,并分析了‘反而’的句法功能和语用功能。据分析,‘反 而’在复句里的句法功能主要表示转折和递进关系,但有时候它还可以用于单句。 在语用功能方面,大部分论文都认为‘反而’是一个语气副词,因此它可以表达说话 人的期待感、焦点以及主观情绪等,并且还可以起到加强语气的作用。 通过对‘反而’一词的语义分析和功能分析,可以得出以下结论:对‘反而’的理 解,不能只靠书面上的解释,而是要理解隐藏在其背后的语义和语用功能,并有必要对 ‘反而’进行比较全面的分析,这样才能够把握‘反而’的正确用法。
        5,400원
        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마을의 입구에 있는 연꽃방죽은 친수환경적인 경관창출과 레저․휴식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요소이다. 또한 농촌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전남 강진군내 3개소의 연꽃방죽의 특성과 기능 및 의미를 문헌조사와주민 인터뷰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 세곳의 연꽃방죽은 모두 마을 초입에 조성되어 비보 ․ 풍수적 기능을 하며 형국이나 전설과 관련하여 白蓮地, 鼈蓮池, 杏蓮池의 명칭이 부여되었다.방죽의 수체계는 뒤산의 개울 또는 공동 샘물과 우수를 수원으로 하여 지하수로를 통해 연꽃방죽에 집수되어 여과,침전, 미소동물 및 수생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정화과정을 거친 다음 농수로를 통해 최종적으로 농경지 및 하천으로유출되는 구조를 가졌다.마을 식수원인 공동샘과 약 100m 떨어진 곳에 조성되었고 수심 1.2~1.5m인 소택지로서 샘과 관련한 상징적 ․ 생태적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세 곳의 연꽃 방죽은 모두 배롱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오죽 등이 식재된 중도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현재 원형을유지하고 있는 곳은 백련지 뿐이고 별연지나 행연지는 치수 및 물량위주의 농어촌지원사업의 여파로 형태의 변형 및크기가 축소되었다.농촌의 연꽃방죽은 경관창출 및 레저휴양 기능 공간이자 어메니티(amenity) 자원으로서 매우 소중한 자원이며 보전복원대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꽃방죽은 과거 우리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이어져온 우리의 농촌문화경관요소이며 공동체적 산물로 재조명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4,000원
        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0.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1.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grammatical functions and meanings the for-to-Ⅴ construction possessed in the early Middle English religious prose Holy Maidenhood (original title: Hali Meidhad). It has been claimed that the for-to-Ⅴ construction arose in the early Middle English period. From the 19 examples containing for-to-Ⅴ sequences in Holy Maidenhood, it is found that they could have diverse grammatical functions such as subject, complement, and adjunct, and various meanings other than `purpose.` These findings are against Jespersen`s (1909-49, Ⅴ) and Mustanoja`s (1960) arguments that the for-to-Ⅴ construction originally expressed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