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주름개선에 효능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난용성 성분 중 하나인 ursolic acid (UA)의 용해를 쉽게 하고, 나노캡슐을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고 경표피 흡수를 빠르 게 하는 것이다. UA의 나노 캡슐(nano-UA60)을 위한 최적조건은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 틴 (HyL), 0.5 wt%의 불포화레시틴 (UsL),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리소레시틴 (HyLL), 0.1 wt%의 피토스핑고신 (PhyS), 0.05 wt%의 세라아미드 엔피, 0.1 wt%의 콜레스테롤, 5.0 wt%의 BG, 5.0 wt%의 PG, 5.0 wt%의 DPG, 0.03 wt%의 수소첨가콜라겐 (HyC), 10.0 wt%의 에탄올, 72.22 wt%의 정제수에 1.0 wt%의 UA 혼합했을 때, 가장 파인한 나노캡슐을 얻을 수 있었다. Nano-UA60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 microfluidizer의 최적조건은 시료의 통과온도 60℃, microfluidizer의 통과횟수 3 회, 반응 쳄버 통과압력 10,000 psi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Nano-UA60의 입자크기는 60.2±3.7 nm이었 다. Microfluidizer에 3회 통과 시의 zeta potential이 -24.48±3.27 mV로 베지클이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ano-UA60의 pH범위는 pH 6부터 9에서 가장 안정하였으나, 그밖에 산성과 알칼리성 상태에서는 불안정하였다. 24시간 경과 시 Nano-UA60의 경표피의 침투량은 26.80 mg/cm2 침투되었으며, 피부두께를 0.7 mm로 가정하면 838.31μg/㎠가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였다. 1μM에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볼 때, 약 838.31 배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Nano-UA60의 안정성은 실온에서는 99.0%, 냉온에서는 102.1%, 가속조건에서는 97.8%, 가혹 조건에서는 97.8%가 검출되어, 비교군인 O/W 에멀젼의 57.9% 보다 안정하였다.
        4,9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변화 물질(PCM)은 상전이 동안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잠열 저장 물질로 활용된다. 최근 수십 년 동 안, 연구자들은 다양한 온도 적용을 위한 건설 물질로의 다양한 PCM의 통합을 탐구해 왔다. 그러나, PCM을 통합하는 콘크리트 의 기계적 및 열적 반응은 통합 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PCM을 콘크리트에 추가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에 마이크로 캡슐화 PCM(m-PCM)의 통합은 종종 기계적 강도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 기존 콘크리 트에 m-PCM의 추가와 관련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예외적인 강도 및 내구성 특성으로 인해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UHPCC) 가 선호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PCM을 통합한 신규 나노 엔지니어링 UHPCC를 개발하 였다. 또한, 시멘트 복합체의 기계적 및 열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벽 탄소 나노튜브(MWCNT)를 추가하였다. 결과는 MWCNT의 포함이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 복합체의 열적 성능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4,000원
        3.
        2021.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encapsulated Ni catalysts are synthesized by an electrical explosion of wires (EEW) method and applied for CO2 methanation. We find that the presence of carbon shell on Ni nanoparticles as catalyst can positively affect CO2 methanation reaction. Ni@5C that is produced under 5% CH4 partial pressure in Ar gas has highest conversions of 68 % at 350 oC and 70% at 400 oC, which are 73 and 75% of the thermodynamic equilibrium conversion, respectively. The catalyst of Ni@10C with thicker carbon layer shows much reduced activity. The EEW-produced Ni catalysts with low specific surface area outperform Ni catalysts with high surface area synthesized by solution-based precipitation methods. Our finding in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arbon-encapsulated metal catalysts for heterogeneous catalysis reaction including CO2 methanation. Furthermore, EEW, which is a highly promising method for massive production of metal nanoparticles, can be applied for various catalysis system, requiring scaled-up synthesis of catalysts.
        4,000원
        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6.
        2013.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C) nanocapsules were prepared by the chemical vapor condensation(CVC) process using the pyrolysis of iron Their characterizations were studi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long-chained Fe(C) nanocapsules hav-ing the mean size of under 70 nm could be obtained below in different gas flow rates.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ecomposition temperature, but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 gas flow rate. The Fe powders produced at consisted of three layers of phases, but it had two phase core-shell structure which consited of phase of core and graphite of shell at
        4,000원
        1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Purple potato contain sufficient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which has high antioxidant capacity. Due to poor water solubility of phenolic compounds and quick oxidation of anthocyanin, we could not get maximum health benefits from purple potato. Therefore, we developed surfactant based aqueous nano suspension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phenolic compounds and protect the oxidation of anthocyanin from purple potato. Methods and Results: Two types of surfactant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based on hydrophilic-lycophilic balance viz. Brij and Span. In our study, lycophilic surfactant showed highest efficiency in TP extraction compared to water and lipophilic surfactant below 10 mM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lipophilic surfactant showed highest efficiency in extracting flavonoid content.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hydrophilic surfacta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henolic compounds five times, and lipophilic surfactant increased flavonoid two times, and anthocyanin three times compared to control. Therefore, total antioxidant capacity was increases two times compared to control.
        1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형태의 나노에멀젼을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에 유화조건, 유화제 종류, 유화제 농도 그리고 아스타잔틴 농도에 따라 최적화를 되었다.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은 제타포텐셜, FF-SEM, 입도분석기,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아스타잔틴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160 ~190 nm로 균일하였으며 레시친에 의한 나노에멀젼 보다 glyceryl citrate/lactate/linoleate/oleate에 의한 나노에멀젼이 더욱 안정하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졌다. 아스타잔틴의 봉입도는 HPLC, FF-SEM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으며, 제형 구성 후 보관조건에서의 안정도 및 제타 포텐셜 값도 -41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13.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드름 나노화장품(nanocosmetics) 개발을 위하여 azelaic acid-milk nano powder의 nanoencapsulation을 fluid-bed processor로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유입공기온도(60 ~ 80 ℃), 분무속도(0.5 ~ 0.9 mL/min) 및 분무압력(1.2 ~ 2.0 kg/cm2)을 달리하여 나노캡슐(nanoencapsule)을 제조하고, 나노캡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나노캡슐의 예측된 수율의 최대값은 70.97 %로 수율은 유입공기온도, 분무속도 및 분무압력 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시료의 입자 크기는 유입공기온도가 높고 분무속도가 빠르며, 분무압력이 낮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식염수에서 나노캡슐의 용출율은 모두 유입공기온도 및 분무속도에 의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수분함량은 분무 속도가 증가하고 분무압력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수분활성도는 수분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색도인 L값과 b값은 유입공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수율이 높고 입자크기가 작으며, 피부적합성 나노캡슐 제조의 최적조건은 유입공기온도 67 ~ 73 ℃, 분무속도 0.6 ~ 0.8 mL/min 및 분무압력 1.8 ~ 2.0 kg/cm2 범위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예측범위 내의 임의의 점에서 실제 실험한 실험치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