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IRG) cultivated under monoculture and mixed culture system to recommend suitable varieties that can be cultivated. Italian ryegrass cultivars, Green Fram (GF, extremely early-maturing), Kowinearly (KE, early-maturing), Kowinmaster (KM, mild-maturing), and Hwasan 104 (H104, late-maturing), were used for mono or mixed cultivation. The average monthly temperature in Cheonan over the past 30 years tended to be similar, but that in November and March are judged to be abnormal weather. The dry matter yield of GF+H104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harvest than that of GF (p<0.05). The dry matter yields of KE and KE+KM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harvest than the output standards of KE and K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ry matter yield of H104 and KM (p>0.05), but KM had the highest yield of 16,763.1 kg/ha.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during IRG harvest was obtained under monoculture and KE+KM mixed culture. Because the occurrenc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such as drought during spring is increasing recently, it is judged that IRG cultivation using early and middle growth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bnormal weather.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분스트레스 반응을 최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 초분광 단파 적외선 영상기술을 적용하였다. 수분스트레스에 노출된 고춧잎의 단파적외선 분광영상을 획득하고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수분스트레스 반응을 가장 잘 반영하는 파장영역을 선정하였다. 고춧잎의 단파적외선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분스트레스 판별을 위한 최적 파장은 1449nm으로 물분자의 광 흡수 영역대와 거의 일치하였다. 최적 파장에서의 고춧잎 상대반사값을 가우시안 회귀분석을 통해 정상군과 토양흡착수압이 −20kPa과 −50kPa일 때의 스트레스군을 구분할 수 있는 임계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기준으로 단파적외선 영상을 이진화하여 수분스트레스 반응을 판 단할 수 있는 최종영상을 구축하였다. 결과 영상에서 정상군과 스트레스군의 토양흡착수압이 −20kPa인 잎의 경우 스트레스 반응을 보인 픽셀이 72%이었고, −50kPa인 잎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을 보인 픽셀이 84%로 12%차이 가 났다. 정상군과 스트레스 강도가 다른 시료의 경우 영상의 결과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나 단파적외선 영상기술이 고춧잎의 수분스트레스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기재배 배 과수원 시비에 있어서 화학비료 대체를 위한 녹비작물 재배 이용기술 개발을 확립하고자 파종방법에 따라 토양에 무기성분 환원량과 이에 따른 배나무 생장에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파종방법은 전남보성의 배 과수원 독농가에 방임초생, 호밀(16 kg/10 a) 단파, 헤어리베치(5 kg/10 a) 단파, 호밀(6.4 kg/10 a) +헤어리베치(3 kg/10 a) 혼파로 나누어서 2007년에 10월에 처리하였다. 녹비작물의 줄기수는 단파처리가 혼파처리보다 월등히 많았다. 처리별건물중은 관행 방임 초생은 362kg/10a로 두 초종의 혼파 처리(856 kg/10 a)보다 낮았다. 전질소 환원량은 두 녹비작물의 혼파처리가 13.9 kg/10 a으로 관행대비 2.1배 높았다. 혼파처리는인산과 칼륨 환원량을 증가시켰고, 10-12년생 배나무 생장을위해 필요로 하는 질소(10 kg/10 a), 인산(2 kg/10 a), 칼륨(7 kg/10 a)을 충족시켰다. 방임초생 재배는 가장 높은 토양 용적밀도와 가장 낮은 공극율을 나타내었다. 배나무 잎은 예초후에 질소, 인산, 칼륨 농도가 증가되었고 과실 품질은 처리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해 월동 사료작물 재배기술을 보완하고 봄 파종의 가능성과 생산성을 구명하고자 수원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국내개발 품종을 공시하여 2009년 3월부터 6월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단파 3처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IRG) 조생종 Kowinearly, 중생종 Kowinmaster, 청보리 유연)와 혼파 2처리 (Kowinearly와 유연, Kowinmaster와 유연) 등 5처리였다. 생육기간 중 IRG에서 도
본 연구에서는 에어러솔 대기 상태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세 개의 단파 복사전달모델에서 산출된 복사속 성분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대기 복사 수지에서 에어러솔 역할도 분석하였다. 국내 모델들의 평가를 위하여, 15개 모델값을 평균한 Halthore et al.(2005) 결과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두 종류 에어러솔 농도(AOT=0.08, 0.24)에서 조사된 열대 또는 한대 대기의 에어러솔 강제력은 지표에서의 하향 일사 및 상향 산란, 대기 상부의 상향 산란, 그리고 대기 흡수도의 복사 성분들에 있어서 국외 연구에 비하여 국내 결과들에서 체계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에어러솔 강제력은 지표에서의 하향 일사에 대하여 -10∼-40Wm-2 이었으며, 지표 및 대기 상부의 상향 산란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큰 태양천정각과 고농도 에어러솔 상태에서 컸다. 두 종류 에어러솔 조건에서 지표에서의 하향 및 상향 산란값들은 대기 종류보다는 태양천정각에 더 민감하였다. 하향 산란은 상대적으로 작은 태양천정각과 고농도 에어러솔 조건에서 컸다. 에어러솔 농도 증가는 하향 산란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향 직달 일사의 감소가 이를 초과함으로써 지표 냉각을 유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일한 에어러솔 농도 및 태양천정각 조건에서 직달일사 소산은 열대 대기에서는 주로 수증기, 그리고 한대 대기에서는 수증기뿐만 아니라 오존에도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열대 대기에서는 수증기의 역할이 오존에 비하여 3∼4배 컸다. 저농도 및 고농도 에어러솔 대기에서 대기 흡수도는 국내외 연구간에 ±10% 내에서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레일리(순수 기체) 대기 조건 하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여덟 개 단파 복사전달모델에서 산출된 네 종류 복사속(flux) 성분을 상호비교함으로써 상대 오차를 조사하였다. 이들 복사속 성분은 지표에서의 직달 일사, 하향 산란, 상향 산란, 그리고 대기 상부에서의 상향 산란이다. 또한 국내 모델의 평가를 위하여, 15개모델을 평균한 Halthore et al.(2005) 결과(예, H15)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동일한 태양천정각에서 모델 간의 불일치는 열대 대기에서 수증기에 기인하였고, 한대 대기에서는 오존에 기인하였다. STREAMER를 제외한 국내 7개 모델의 지상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은 H15에 대하여 ±4%내에서 일치하였다. 이러한 상대 오차는 태양천정각이 커질 때 증가하였으며, Halthore et al.(2005)에서의 ±3%와 근접하였다. 네 종류 복사속 분석에서 SBDART 모델이 6S 모델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나, 근적외 파장역에서는 서로 비교할만하였다. 네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같은 SBDART 모델에서 산출한 지표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 간에도 12.1Wm-2(1.4%)의 불일치가 존재하였다. 불일치의 원인은 부분적으로 복사속 적분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파장 분해능에도 있었다. 본 연구는 단파 영역에서 최적 모델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Orchardu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양, 양분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양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 대조구, ; Fe, : Fe+Mn, ; Fe+Mn+Cu, ; Fe+Mn+Cu+Zn, : Fe+Mn+Cu+Zn+Mo 및 ; Fe + Mn +Cu+Zn+Mo + B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 대조구, ; Fe, ; Fe+Mn, ; Fe+Mn+Cu, ; Fe+Mn+Cu+Zn, ; Fe+Mn+Cu+Zn+Mo 및 ; Fe+Mn+Cu+Zn+Mo+B로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대구조, ; Fe, ; Fe+Mn, : Fe+Mn+Cu, ; Fe+Mn+Cu+Zn, ; Fe+Mn+Cu+Zn+Mo 및 ;Fe+Mn+Cu+Zn+Mo+B로 하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료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 대조구, T; Fe, T; Fe+Mn, T; Fe+Mn+Cu, T; Fe+Mn+Cu+Zn, T;Fe+Mn+Cu+Zn+Mo 및 T; Fe+Mn+Cu+Zn+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별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 대조구, T; Fe, T; Fe+Mn, T; Fe+Mn+Cu, T; Fe+Mn+Cu+Zn, T;Fe+Mn+Cu+Zn+Mo 및 T; Fe+Mn+Cu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 2.0. 4) ; 6.0, 5) B;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량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 2.0. 4) ; 6.0, 5) ;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수행하였다. I보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가시적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2.0. 4) ; 6.0, 5) ; 15.0me B/pot로 하였으며,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본 연구는 1995년 10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제주대학교 동물사육장 초지시험포장에서 초종혼파조합 차이에 따른 잡초억제 효과를 구명키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 처리(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와 세구 4처리(보조초종 단파; T1, 툴페스큐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2,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3,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4)를 3반복하여 분할구 배치법으로 처리되었다. 목초의 2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주구 즉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에서 각각 15,437kg/ha, 14,581kg/ha이었고, 세구 즉 T1, T2, T3 및 T4에서는 각각 14,815kg/ha, 15,407kg/ha, 14,629kg/ha, 15,187kg/ha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2년차 1차수확시 주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했으나 세구간 즉 T1(보조초종 단파)구가 3,376kg/ha로서 가장 낮은 건물수량을 보였고 T3, T4가 각각 4,591kg/ha, 4,816kg/ha로서 T1의 건물수량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2년째 평균 건물수량 역시 세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며 T4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고 T1 및 T3구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였다. 초년도 봄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보조초종으로 이용하는 것이 켄터키 블루그라스보다 잡초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여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없어져서 서로 비슷한 추세였다. 2년차 말에 보조초종 켄터키 블루그라스 이용으로 다소 잡초를 감소케 하는 경향이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2년 전체적으로 볼 때 오차드 그라스를 조합한 구(T2, T3 및 T4)가 보조초종 단파구(T1) 보다 잡초율을 낮게 했다. 목초의 조단백질은 처리별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10월 수확시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NDF와 ADF 함량이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것에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7월 수확시에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ADF 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것 보다 고도히 유의적 차이로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초년도 봄에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혼파하므로 잡초 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건물생산에 뚜렷한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본 시험결과로서 오차드그라스 조합이 잡초 억제에 가장 유리한 초종이었으며 건물수량도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