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득수준별 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유형을 파악하 고, 변화유형 관련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 지패널 4개년도(12차, 14차, 16차, 18차) 조사에 모두 참여한 65세 이상 유배우자 1,545명을 연구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모형과 다항 로지스틱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득수준별 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 화유형은 빈곤층과 비빈곤층 모두 ‘고수준 증가형’,‘중수준 감소형’,‘저수 준 감소형’으로 확인되었다. 소득수준별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빈곤층 의 변화궤적의 영향요인은 생활만족도, 우울, 성별, 지역으로 나타났으 며 비빈곤층의 변화궤적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성별, 우울로 확인되었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부부관계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집단 내 이질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 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추진한 「한국복지패널조사」의 2022년 17 차 조사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6,717명을 연구대상자로 지정하였으며, SPSS 26.0, JASP 0.18.0 및 Stata 16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 상 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경로분석을 행하였다. 첫째,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넷째, 우울은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 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 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저소득층 가구 집단와 일반가구 집단에서 동일하게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 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독립변인인 우울, 가족관계 와 종속변인 삶의 만족도 간에서 전부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 과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정책 수립, 행정 개선, 관 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매체가 다양해지고 정보 가 유통되는 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지만, 노인 등의 정보취약 계층에게는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 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는 또 다른 형태의 삶의 격차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을 파악하고 초 급, 중급, 고급 등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향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수준별(초급, 중급, 고급)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및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등 정보화기기 활 용수준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둘째, 도시와 농촌 등 거주지역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에 따른 자아통합감,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 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도시지역 그리고 경기 도 포천의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2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실한 설문 응답지 250부를 선 택하여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별 자아통합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의 평가를 실시한 바,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 초급, 중급, 고급 모두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 초급에서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에 의미있는 영향이 없었지만 중급, 상급에서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통합감이 높으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역시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이 초급수준일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아지는 정도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도시지역에 거 주하는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이 고급 수준일수록 자아통합감 이 높아지는 정도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지속가능한 노인의 정보화 교육을 위해서 노인이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는 정보제공 및 정보화기기 활용교육 활 성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둘째, 노인 집단의 다양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자 아통합감, 삶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셋째 노인 세대의 정보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 고 그동안 노인층들이 정보격차가 큰 것은 최근에 나타난 정보 화기기를 노인들이 배우거나 활용할 기회가 없었던 것이지 노 인들은 원래 정보화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이 아니었음 을 인식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년층 정보화 교육은 농촌, 도시의 환경과 특성 을 고려한 다양한 지역자원과의 협력과 다양한 인력 활용 운영 방안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verse characteristics of females aged 25 to 49 years grouped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involvement in dieting within each BMI group. In total, 549 female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were divided into groups based on BMI(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Results demonstrated three key factors,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mong BMI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household income, and marital status), although no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as found. Second, differences according to BMI groups were found in body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 dieting, whereas were not found in self-esteem. Third, model testing for each BMI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all three group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 across BMI groups. Body satisfaction negatively affected and self-esteem positively affected involvement in dieting for the underweight and normal groups, whereas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overweigh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basic information of groups segmented by the level of BMI was obtained, which could be used for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paper provides data for produc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grape varieties by analyzing the satisfactionimportance of the grape selection attributes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aged 19- 59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on their fruit consumption level,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grape quality characteristic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grape selection attributes. Three hundred and eighty two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23. In th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grape quality characteristics, consumers tended to prefer a sweet taste, black color, and seedless grape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grap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level of grape consumption, the high consumption group considers texture, size, shape, color, ease of removing seeds, country of origin, area of production, certification, and brand to be more important. In satisfaction, the high consumption group rated satisfaction highly in texture, odor, size, shape, color, ease of removing peelings, ease of removing seeds, price, country of origin, area of production, certification, and brand. An analysis of the IPA of the grape selection attributes showed that improvement of price and shape attributes will be prioritized, an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roperties, such as seeds, peelings, certification, and brand will be required.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help improve the grape varieties and develop products that meet the consumer needs,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grape farmer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인지ᆞ신체기능에 따른 활동수준과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 상관성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15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신체기능평가(Outpatient Physical Therapy Imporvement in Movement Log; OPTIMAL),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 생활만족도를 평가하였고, 피어슨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활동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중 시공간/집행기능, 지남력, 주의력, 추상력, 신체기능 중 하지 기능으로 나타났다. 활동수준 하위영역의 수단적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중 시공간/집행기능, 주의력, 지남력, 신체기능 중 하지 기능으로 나타났다. 여가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중 지남력과 추상력, 신체기능 중 체간과 하지 기능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인지ᆞ신체기능이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활동수준 및 생활만족도와 상관성이 있으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영역의 참여가 요구되는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활동수준 향상을 위해 관련된 인지ᆞ신체기능 요소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특별등급을 판정받은 클라이언트에게 대상자 중심 접근법을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하 였다. 가정 내 활동 수준 및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활동을 평가, 파악하여 중재 목표를 정하였고, 인지 수준 에 적절한 중재 접근 방법을 결정하였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활동 수준과 수행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 였고, 치매특별등급을 판정받은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치매특별등급 판정을 받은 84세 여성으로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 AHA)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평가를 통해 가정환경 내 활동들의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활동을 파악하였 다. 이를 통해 계단 오르기, 현관출입하기 등 10 가지 활동들을 중재 목표로 정하였다. 인지수준에 맞는 적절한 중재방법 선택하기 위하여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llen Cognitive Level Screen; ACLS)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치매노인의 기억력을 요구하지 않는 방법으로 가정환경 수정을 하였으며 중재를 실시한 내용, 종류와 사용법에 대한 보호자 교육을 제공하였다. 중재의 효과는 중재 직후 6개월 추적 조사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인지의 저하로 인해 수행에 감소를 보인 활동들의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 점수가 중재 후 향상 및 유지 되었고 그 효과는 6개월 후에도 유지되었다. 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 중심의 접근법을 활용한 가정환경 수정과 보호자 교육을 병행한 중재법은 클라이언트의 활동 수준을 유지 및 증진 시키고, 수행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효과가 있었다. 또한 치매특별등급 판정 을 받은 클라이언트들을 위한 케이스 매니저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There are so many definition of good work but generally job quality can be useful to analyze the good work. Good work may include some factors about health or working environment. This paper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quality in Korean employees. Especially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low an high job quality can be analyze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was used. The various job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6 component of job quality using factor analysis. Statistically mean difference tes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and distribution of the level of job quality. The result has shown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the level of job quality by the economic sectors and occupa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ositive cases of all of six components of job quality was 2.1% of Korean employees and the negative cases of all six components of job quality was 1.5%. The subjective general health status was correlated with job quality but work-related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job quality. This study was heuristic one, more depth analysis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causation of job quality and health status.
본 연구는 패션 관련 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치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교육을 통한 전공에 대한 만족, 그리고 인성 및 진로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패션 전공 관련 학과의 2년제, 4년제 대학생들이었다. 연구결과, 가치관은 물질지향 가치관, 사회관계지향 가치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실용지향 가치관, 감성지향 가치관,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전공만족도는 전공만족, 관계만족, 교수법만족, 교육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확신, 진로미결정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가치관의 물질지향 가치관을 제외한 5개의 요인들은 전공만족도의 6개 요인들과 다소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물질지향 가치관은 진로 결정수준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관계지향 가치관은 진로결정확신과,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은 진로미결정과 각각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는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포츠참여수준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정서 및 학교 생활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소재 605명의 고등학생들(남:274, 여:331)이며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조절,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정서, 학교생활만족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거쳤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수준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제외하고 그 어떤 변수와도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 능력은 신체적 자기개념이나 운동정서와 밀접한 영향력을 주고 받으면서 학교생활 만족도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했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했다. 본 연구결과에서 검증된 구조모형은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실태를 조망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